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글쓴이 님의 상황은 안타깝지만 일반적인 케이스는 아닌 것 같네요. '무조건 펀딩 잘 주는 곳으로 가세요' 와 같은 근거없는 일반화는 공감되지 않네요. 보통은 글쓴이같은 상황을 많이 겪진 않습니다. 연구 핏을 보고 가는게 제일 중요하고, 펀딩을 포함한 재정적 상황도 확실히 해야 하는건 맞지만 우선순위는 압도적으로 연구핏이 높다고 봅니다.
다음 정규학기부터 펀딩 끊겼습니다. 오퍼 수락 아직 안한분들 펀딩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준다는 곳으로 가세요.
14 - 찐따세요? 알잘딱갈센 좀 하세요
다음 정규학기부터 펀딩 끊겼습니다. 오퍼 수락 아직 안한분들 펀딩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준다는 곳으로 가세요.
19 - 당연히 잘못이 아닙니다. 제 연구실에는 이런 학생이 없으면 좋겠네요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50 - 부끄러워 하지 마십쇼.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8 - 우리 그만하자...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20 - 대입시험 잘보는거랑 연구 잘하는거랑 완전히 일치하진 않으니,
낙담마시고 열심히 해서 연구 실적으로 증명하면 됩니다 응원합니다 ㅎㅎ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2 - 포스텍에서 한동대,해양대,제주대 얘기 듣고 팍 식음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4 -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구나.....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1 - 연구를 원하면 기어야죠. 생태계 파악이 아직 안되셨군요.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10 - 하버드 스탠포드 MIT에도 학부는 지역 칼리지 출신 많다.
색안경끼고 보는 사람이 이상한거다.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2 - 연고대무새가 자꾸 아랫글부터 보이는데, spk면 모르겠으나 유니스트면 yk이상이라고 봐요
유니스트 지금 컨택해도 괜찮을까요?
19 - 이직한 케이스 주위에서 보면 사모님이 제일 좋아하시고 교수랑 대학원생들은 싫어하던데요 ㅎㅎ 서울이직만으로 연구환경 비교는 어렵죠
유니스트 지금 컨택해도 괜찮을까요?
13 - 그냥 연구실 나가라
징징글)올해 석사 3학기차인데 논문을 아직 하나도 못썼습니다
11
학교선택 고민ㅠ
2020.12.13

학교 두 군데에 합격했습니다. 편의상 A, B라고 지칭할게요. 네임밸류는 A,B 모두 같은 라인입니다.
A대학교
석사로 합격했고 학교는 집에서 대중교통 이용 시 편도 1시간 정도 걸립니다. 생긴 지 그렇게 오래 되지 않은 연구실이라 박사 졸업생은 없습니다. 석사 졸업생은 5명 배출되었고 그 중 1명이 박사 과정에 진학했고 나머지 4명은 대기업갔습니다.
인건비가 많지 않습니다. 월 100이 채 되지 않으며 등록금 지원이 이뤄지지 않기에 석사 2년동안 집에 손을 벌리거나 자체적으로 수급해야 할 것 같습니다.
B대학교
석박통합과정으로 합격했고 출퇴근이 불가능한 거리라 기숙사 혹은 자취를 해야 합니다. 박사 졸업생은 10명정도 배출되었고 Alumni 현황이 공개되지 않아 정확한 진로는 알 수 없으나 교수님 말씀으로는 절반 이상이 대기업에 갔고 나머지는 미국 포닥을 갔다고 들었습니다. 입학에서 졸업까지 보통 5,6년정도 걸리는 것으로 파악됩니다(물론 제가 가서 하기 나름이지만요ㅠ)
인건비는 잘 챙겨주시는 듯 합니다. 등록금과 기숙사 비를 제하고 5,60정도는 남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박사 생각도 없지 않습니다.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석사로 들어가서 박사 각을 보는 건데 A대 연구실의 경우엔 솔직히 석사는 괜찮은데 박사까지 할만한 연구실인지 계속해서 회의감이 듭니다. 졸업생이 없어서 졸업 후 진로 판단도 어렵고 논문이 많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신생랩인건 감안해야겠지만요... 연구분야는 B대 연구실이 좀더 마음에 드나 석박통합이라는 리스크가 다소 존재합니다.
어디갈지 고민하느라 머리만 빠지는 것 같습니다ㅠ 어딜 가는 게 더 좋은 선택이고 후회가 적을 지 답이 안 보여요. 님들이라면 어디에 갈 것 같나요.. 혹은 학교 선택 시 어떤 기준에 가중치를 두는 것이 좋을 지 팁을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대학원 고민중입니다. 김GPT 1 15 2354
대학원 선택 고민 김GPT 2 5 6112
대학원 연구실 조언. 김GPT 2 5 4611
대학원 선택의 고민 김GPT 0 6 3882
인공지능 대학원 선택 김GPT 0 5 7104
지방대 대학원 VS 타대학원 김GPT 0 13 2934
대학원 진학 선택 김GPT 0 1 1205-
0 5 4728 -
0 4 2190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명예의전당 1079 72 192432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 명예의전당 149 34 98875-
166 20 7175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35 - 교수님 목소리만 들어도 눈물이 나요.. 어떡하면 좋죠
53 - 국내 산업계나 학계는 글러먹었음
26 - 김박사넷에서 제일 보기 싫은 글
30 - 나 교수인데 미국 >>> 교수 == 대기업
20 - 이재x xxx. ㅅcㄲ 좋냐?
29 - 랩실 사람들이랑 친하게 안지내도 되나요?
9 - 교수님을 너무 믿지 마세요.
21 - 복잡한내용도 쉽게설명하는게 진짜 중요하다는걸느낌
22 - 교신저자 문제
4 - GPT가 답한 대형랩의 에이스 탄생 시나리오
10 - 도대체 외국어도 못하면서 무슨 학문을 한다는 걸까요?
5 - "외대" 라고 하면 어디가 먼저 떠오르나요?
5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여성분들이라면 어디 선택하실건가요?
36 -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32 - 이공계는 보통 월에 얼마씩 받나요?
28 -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23 - 서성한 vs ist
16 - 한 랩에 연구교수가 3명이나 있는 건 왜일까요?
15 - 유니스트 지금 컨택해도 괜찮을까요?
13 - 신임 교수를 뒤에서 욕하는 인간 부류 제일 경계하고 조심해야함.
10 - 징징글)올해 석사 3학기차인데 논문을 아직 하나도 못썼습니다
18 - 논문 작업하거나 할때 정말 밥만 먹고 이것만 하는게 일반적인가요?
11 - 포닥 1년만에 교수
9 - 마감 없으면 무한 연기하는 교수님 밑에서 살아남는 법?
9 - Spk 분들은 번역기나 gpt 안쓰시겠죠..?
13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 오퍼 펀딩 잘 확인해보세요
31 - 미국 유학/ 전반적인 팁
23 -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35 - 교수님 목소리만 들어도 눈물이 나요.. 어떡하면 좋죠
53 - 국내 산업계나 학계는 글러먹었음
26 - 김박사넷에서 제일 보기 싫은 글
30 - 나 교수인데 미국 >>> 교수 == 대기업
20 - 이재x xxx. ㅅcㄲ 좋냐?
29 - 교수님을 너무 믿지 마세요.
21 - 복잡한내용도 쉽게설명하는게 진짜 중요하다는걸느낌
22 - GPT가 답한 대형랩의 에이스 탄생 시나리오
10 - 도대체 외국어도 못하면서 무슨 학문을 한다는 걸까요?
5 - "외대" 라고 하면 어디가 먼저 떠오르나요?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대학 바이오계열 다이렉트 입학 조언 부탁드립니다.(석사입학도 조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1 - 올해 어드미션 합격 가능성 평가 부탁드립니다
10 - 다음 정규학기부터 펀딩 끊겼습니다. 오퍼 수락 아직 안한분들 펀딩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준다는 곳으로 가세요.
11 -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32 -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23 - 서성한 vs ist
16 - 한 랩에 연구교수가 3명이나 있는 건 왜일까요?
15 - 유니스트 지금 컨택해도 괜찮을까요?
13 - 신임 교수를 뒤에서 욕하는 인간 부류 제일 경계하고 조심해야함.
10 - 징징글)올해 석사 3학기차인데 논문을 아직 하나도 못썼습니다
18 - 논문 작업하거나 할때 정말 밥만 먹고 이것만 하는게 일반적인가요?
11 - 마감 없으면 무한 연기하는 교수님 밑에서 살아남는 법?
9 - Spk 분들은 번역기나 gpt 안쓰시겠죠..?
13

Your Future, Unlimited.
UST 2025학년도 후기 신입생 모집
2020.12.13
2020.12.13
2020.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