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두 군데에 합격했습니다. 편의상 A, B라고 지칭할게요. 네임밸류는 A,B 모두 같은 라인입니다.
A대학교
석사로 합격했고 학교는 집에서 대중교통 이용 시 편도 1시간 정도 걸립니다. 생긴 지 그렇게 오래 되지 않은 연구실이라 박사 졸업생은 없습니다. 석사 졸업생은 5명 배출되었고 그 중 1명이 박사 과정에 진학했고 나머지 4명은 대기업갔습니다.
인건비가 많지 않습니다. 월 100이 채 되지 않으며 등록금 지원이 이뤄지지 않기에 석사 2년동안 집에 손을 벌리거나 자체적으로 수급해야 할 것 같습니다.
B대학교
석박통합과정으로 합격했고 출퇴근이 불가능한 거리라 기숙사 혹은 자취를 해야 합니다. 박사 졸업생은 10명정도 배출되었고 Alumni 현황이 공개되지 않아 정확한 진로는 알 수 없으나 교수님 말씀으로는 절반 이상이 대기업에 갔고 나머지는 미국 포닥을 갔다고 들었습니다. 입학에서 졸업까지 보통 5,6년정도 걸리는 것으로 파악됩니다(물론 제가 가서 하기 나름이지만요ㅠ)
인건비는 잘 챙겨주시는 듯 합니다. 등록금과 기숙사 비를 제하고 5,60정도는 남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박사 생각도 없지 않습니다.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석사로 들어가서 박사 각을 보는 건데 A대 연구실의 경우엔 솔직히 석사는 괜찮은데 박사까지 할만한 연구실인지 계속해서 회의감이 듭니다. 졸업생이 없어서 졸업 후 진로 판단도 어렵고 논문이 많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신생랩인건 감안해야겠지만요... 연구분야는 B대 연구실이 좀더 마음에 드나 석박통합이라는 리스크가 다소 존재합니다.
어디갈지 고민하느라 머리만 빠지는 것 같습니다ㅠ 어딜 가는 게 더 좋은 선택이고 후회가 적을 지 답이 안 보여요. 님들이라면 어디에 갈 것 같나요.. 혹은 학교 선택 시 어떤 기준에 가중치를 두는 것이 좋을 지 팁을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0.12.12
등록금은 에반ㄷ
Arne Tiselius
IF : 1
2020.12.12
B
2020.12.12
흠 하나는 한양이거 하나는 고려이군
2020.12.12
Max Planck // 그건 아닙니다. 한 곳은 인서울, 한곳은 지방 학교입니다.
대댓글 1개
2021.03.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인서울이랑 지방대가 어떻게 같은 라인임..? 나라면 인서울갈듯. 주변 학생 수준이나 연구조건이나 등등 고려
2020.12.12
2020.12.12
2020.12.12
2020.12.12
대댓글 1개
2021.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