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정출연 vs 국립지집대 교수

Robert Frost*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0.12.26

43

21138

어느게 더 선호될까요? 물론 본인 가치관에 따라 다르지만, 지잡대 교수되면 뭔가 현타 빡세게 올거같은데.. 랩실 인원 적고 애들 능력은 떨어지고 공부안하고 그러는거 보면, 물론 다 포기하고 편하게 살기엔 좋겠지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3개

2020.12.26

원글

어느게 더 선호될까요? 물론 본인 가치관에 따라 다르지만, 지잡대 교수되면 뭔가 현타 빡세게 올거같은데.. 랩실 인원 적고 애들 능력은 떨어지고 공부안하고 그러는거 보면, 물론 다 포기하고 편하게 살기엔 좋겠지만
Robert Frost*

2020.12.26

ㄴ 솔직히 포장없이 속마음은 저런사람 많지 않나요??
R. D. Laing*

2020.12.26

정출연도 죄다 키스트 같은 곳만 있는 줄 아나. 쓰레기 정출연은 니가 벌어서 니 월급 챙겨야 함.
Robert Frost*

2020.12.26

ㄴ 반말틱틱하는거 보니 각나오네요
R. D. Laing*

2020.12.26

'지집대' 이런 오타 내는거 보니 니 손가락 관절 각도가 기형인듯? 부모한테 따져봐. 에프터서비스해달라고 해.

2020.12.26

저거 다시말하면 국립 대니까 지거국 아님? 지거국 교수vs 정출연이면 당연히 지거국이지
Robert Frost*

2020.12.26

지거국은 지잡대는 아니죠. 경상까지도 전 지잡취급안해서

2020.12.26

그럼 국립지잡대가 아니라 제목을 지잡대 교수로 바꿔야하는거 아님?
Robert Frost*

2020.12.26

국립은 좀 덜 짤리지 않나? 사립보다

2020.12.26

밸런스게임 하려면 덜짤리는 국립대가 아니라 폐교직전 사립대 해야 비교가 되지...
Robert Frost*

2020.12.26

그럼 저기에 답은 닥 교수라는거?

2020.12.26

국립 지잡은 뭐 안동대 공주대 말씀하시는건가요
Robert Frost*

2020.12.26

직접 학교명을 거론하기는 그렇지만 대충 각나오는 몇개의 학교들이요
Thomas Sowell*

2020.12.26

왜 저런곳을 가려하지. 걍 삼성이나 sk 가는게 인생에서 훨씬 나을텐데
Paul Cézanne*

2020.12.26

누구 하나 열받았네 ㅋㅋ
여기 교수도 댓글 달긴 하나보네
뭐 어디 교수이던 간에

2020.12.26

딱 말씀 드릴게요. 지방 지잡이든 뭐든 국립대면 무조건 백번 천번 교수가 나아요. 공무원 연금에 윈글 말대로 대부분 다 포기하고 살죠. 아주아주 편하게. 과제 하나정도 교수님 단독으로 하면서 혼자 연구하고 여행다니고 그러시더군요.

대댓글 1개

2024.07.28

공무원 연금이 보장 가능한가요.. 무엇보다 다 포기하고 살아야되면 굳이 갈 이유가;

2020.12.26

학령인구 없어져서 상위대학 아니면 교수 별로인듯

2020.12.26

IMF때 젤 먼저 자른게 연구원이에요. 공무원 혜택은 없는 준공무원이라하죠. 국립대 망해도 다른 국립대에 흡수시켜 버립니다. 오히려 통폐합을 은근 기대하는 학교도 있어요.. 연구? 못하죠ㅋㅋ 직장으로써 봐야하고요 그정도 레벨은. 직장으로썬 국립대 교수 아주 아주 편하고 월급 적당하고 결정적으로 누구 눈치 상대적으로 젤 안보는 워라밸 최강 직업입니다. 자존심만 좀 내려 놓으면ㅋㅋ

2020.12.26

위에 삼성이나 하이닉스 가라고 하는건ㅋㅋㅋㅋㅋㄴ 세상물정 모르네 진짜... 들어가기 힘들고 정년보장 되는 순서는 교수>>>>정출연>>>>>사기업임

2020.12.26

정출연에서 학교로는 많이 이직함. 그 반대는 거의 없음.

IF : 3

2020.12.26

왜 교수는 지사립이어도 SPK가 많은지 좀만 생각해봐도 알 수 있지않나?
Arthur M. Schlesinger Jr.*

2020.12.26

KIST, ETRI, KAERI 같은데 빼곤 지방국립대가 압승일듯
William P. Murphy*

2020.12.26

둘다 임용되고 고민해라 븅신아
커뮤에서 이딴 글 싸는 새끼들 특징이
하나라도 임용되기 어려운 실력을 가짐
R. D. Laing*

2020.12.27

요즘 교사보다도 못한 취급 받는게 지사립 교수인데, 여기 애들 진짜 세상 물정 모르네.
교수가 옛날 교수인줄 아나..

교수 명예 그딴거 없어진지 오래고, 돈이 최고가 된 세상임.

대기업가서 상위 5%안에 들고, 제태크 잘 하면 굳이 가시밭길은 교수의 길 갈 필요가 없음. 연구가 진짜 너무 하고싶은거 아니면.

교수>>정출연>>기업 이딴식으로 서열질하는 애들은 아직도 고딩때 배치표 보고 인생 등급 결정했던 감성에 빠져있는 어린애들이지..
Hans von Euler-Chelpin*

2020.12.27

존나 어이없는 글 많네 ㅋㅋㅋ

대기업 가봐야 임원 못 달면 그냥 일개 직원이야
임원은 일찍 들어와서 회사에서 키워준 애들이 보통 다 독식하고
40대후반만 되봐라 회사에서 그냥 애물단지 밥벌레 된다
20대박사들 들어오는데 쉰내나는 늙은박사를 어따쓰겠냐
R. D. Laing*

2020.12.27

Hans von Euler-Chelpin //

그래서 상위 5%라고 단서를 단거 아니야 ㅄ아. 교수평균 회사원 평균 따지면 당연히 교수가 훨신 높겠지. 하지만 교수 될 수 있는 능력치인데, 포닥하기 싫어서, 돈이 좋아서 혹은 박사과정중 운이 없어서, 분야가 비전이 없어서 그냥 학계에서 인더스티리로 간 애들도 과연 지잡대 교수들을 부러워할까?

그리고 20대에 박사받고 임원코스로 들어간 애들 40초반이면 상무달아 ㅄ아. 그런 사람들이 30대 중후반까지 포닥하다가 임용되서 40 중반 넘어서야 테뉴어 받고, 그제서야 자기가 하고 싶은 연구 하는 인생이 딱히 부러울까?
회사에서 억대 연봉받다가 교수로 가는 케이스는 테뉴어 보장되는 자리를, 그것도 돈 벌반큼 벌었으니까 옮기는 그런거고.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조교수 오퍼는 처다도 안 본단다. 설마 이런 케이스 보고 아직도 교수가 신급 직장이라고자위하는 애들은 없길 바란다.

요즘 지방대는 고사하고 서울권 대학 교수들도 개고생에 재임용 안되서 이직하는 케이스 늘고 있는데? 셋팅비용 천만원주고 돌대가리들 데려다가 연구해야 하는 지방대를, 미박에 미국 탑급 회사(구글,페이스북,마소 등) 오퍼 받은 애들이진짜 가고싶어 할 거라고 생각하냐? 국내 임용되는 조교수들 스펙 많이 내려갔고, 진짜 뛰어난 사람들은 학계건 산업계건 미국에 남는 케이스 엄청 많아지고 있음.

여기서 교수,정출연 빠는 애들 보면 딱 90년대 말 지방대 의대 버리고 서울대 농대가서 나도 서울대입네 하는 사람들 보는거 같아. 그냥 주변 인식, 카더라 지들 주관이나 현 상황 돌아가는거 파악하는 능력은 좆도없고.

여기나 하이브레인넷이나 교수지망생들 사이트에서 이런얘기 해 봤자 쇠기에 경읽기지만... 한심해서 답글단다. 진짜 주변 인식이랑 웰빙이라는 환상에 빠져서 교수직에 목숨걸지 말길.
R. D. Laing*

2020.12.27

아, 그리고 교수도 대가급 교수되서 학교에서 어려워 할 수준 아니면 일개 학교 직원이야.
Hans von Euler-Chelpin*

2020.12.27

그러니까 5-60만불씩 받는 미국 회사라면 당연히 일장일단이 있는데
꼴랑 '억대' 연봉 국내회사를 가지고 누구 코에 가져다 붙이냐고 ㅋㅋㅋㅋ
국내 사기업이랑 비교하면 단순히 소득만 계산해봐도 웬만한 공대교수가 더 높단다
지잡대 교수들도 지역 기업과제나 용역과제 한두개만 해도 잘먹고 잘 살아 ㅋㅋㅋㅋ
연구 못해서 현타올거라고? 대기업에선 학회라도 맘대로 갈 수 있는줄 아냐 ㅋㅋㅋ

그리고 사원에서 임원 올라가는거 1% 될까말까하고
평생 공부만 하다 박사 연구원으로 들어온 사람이 임원되는 경우는 없다니까 ㅋㅋㅋㅋ

국내 회사간애들이 자기합리화하는건 알겠는데 좀 적당히 하자 웃겨 죽겠다
Paul Cézanne*

2020.12.27

오히려 저분은 지방대 교수로써 본인 경험담 말한거같은데 뭔 자기합리화
R. D. Laing*

2020.12.27

Hans von Euler-Chelpin //

평생 공부만 하다 박사 연구원으로 들어온 사람이 임원되는 경우는 없다니까 ㅋㅋㅋㅋ
--> 넌 여기서 수준 인증했음. 너 삼전에서 임원 직급 어떻게 되는지 모르지? 요즘 해박 탑스쿨 애들 30대 초에 데려와서 40대 초중반에 연구임원 및 상무 다는 케이스 엄청 많다.

https://m.blog.naver.com/for_my_blog/221899850633
여기 삼성전자 등기/비등기 임원 명단 볼 수 있는데, 여기 연구위원급 임원들은 태반이 박사야 ㅄ아.

지잡대 교수들도 지역 기업과제나 용역과제 한두개만 해도 잘먹고 잘 살아 ㅋㅋㅋㅋ
--> 과제 한두개로 뭐? 먹고 살어? 진짜 웃기는 짬뽕이네.
너 국가 과제따면 인건비로 가져갈 수 있는게 얼마인지, 그중 연구책임자가 가져갈 수 있는게 얼마인지 알고는 말하는거냐? 그 쥐좆만한거 받아가지고 먹고살기는 개풀이 먹고살어.
국가과제말고 기업과제라고 치면, 고작 '지역' 기업에서 지방대 교수한테 인센티브 몇억씩 주면서 연구용역 시킬 거 같냐? 지방대 대학원이 돌아가는데가 얼마나 있다고 대학원생도 없는데 무슨 연구용역을 받는 소리 하고 있어..그리고, 그나마 이런건 공대나 경영대만 해당되지 자연대나 농대에서 기업에서 주는 연구용역 받아 먹을 수 있을 것 같냐?
R. D. Laing*

2020.12.27

Paul Cézanne // 해박에 해외기업에 있다가 현재 지방국립 현직인데 (지거국아님) 다시 나갈 준비 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도 이런 댓글 썻는데 교수가 다시 기업으로 간다고 하니까 안 믿더군요. 아마 해외에 있다가 들어오신 분들은 저처럼 후회 하는 경우 많을 겁니다. 물론 저는 연구중심대학에 오퍼를 못 받았으니 이게 내 한계려니 합니다.

정출연이랑 교수 노골적으로 비교하는 원글쓴이도 그렇고, 저 댓글쓴애도 그렇고 하도 어처구니없어서 험한말이 좀 나왔는데, 여기애들 교수 환상이 어이없을정도로 심하네요. 대충대충 편하게 살려면 교수가 좋아서 교수하고싶다는 댓글이 달리질 않나.

그리고 테뉴어 받는게 무슨 학교에서 언터처블이 되는게 절대 아닙니다. 테뉴어 받아도 재계약 3-6년에 한번씩 꼭 해야 하고요, 사립대의 경우는 연구 안하는 교수 쥐어짜는거 일도 아닙니다. 옛날에는 국립대의 경우 5년이면 테뉴어 나왔는데, 요즘은 국립대도 테뉴어까지 최소 재직기간이 11-12년 정도로 기준이 계속 상향되고 있습니다.
R. D. Laing*

2020.12.27

그리고 요즘 기업에서 일하는 친구들 이야기로는, 40대초중반으로 임원들 나이가 내려가는 대신, 50대 수석들도 임원들이랑 상호 존대해가면서 잘들 다니는 분위기랍니다. 군대 장교-부사관 같은 개념으로요. 저 위에 40이면 짤리네 마네 하는 개소리는 듣지 마세요. 30에 박사받고 삼전가서 50까지 다니면 어짜피 앵간한 스타 교수 아니면 평생 못 벌 돈 법니다.

IF : 1

2020.12.27

국내에서 국립대 교수하다 기업으로 가는 케이스는 임원급 스카웃 아니면 거의 없죠. 사실 spk급으로 빡세게 state of the art 따라가는 연구 안하면 불르지도 않고요. 근데 상무급은 고용 불안과 교수 총 수입 크게 차이 안나서 spk급 교수들은 오퍼 수도 없이 오는데 거의 다 거절합니다. Sp는 특히 삼성 상무보다 훨씬 잘버는 사람들 많아요ㅋ

근데 수입으로 대기업 임원과 지방 그것도 지거국 아닌 국립대 교수랑 비교하는건 말도 안되는거 같구요. 기업 임원이 훨씬 많이 벌고 젊을때는 특히 야망도 채울수도 있죠. 용역이나 기업과제가 평균적 지방 국립대 랩실에 떨어지는 경우 극히 드물죠. 대부분 외부 평가 일당이나 월급만 받죠. 하지만 지방 국립대에서 테뉴어가 실질적으로 스트레스가 되는지는 모르겠네요. 제가 아는 분들은 정말 정말 편하게 만족하고 살고 있는듯 하네요ㅎㅎ 해외 나가는거는 사는 환경 자체랑 육아 등에서 누구나 심각하게 고민해볼만한 거죠. 지방 국립대서 해외 기업 가는거라면 수긍이 됩니다.
Hans von Euler-Chelpin*

2020.12.27

말이 왜이리 앞뒤가 안맞냐 국내 기업 이야기하다가 왜 은근슬쩍 해외기업으로 바뀌는데 ㅋㅋㅋ
공대 아니고 자연대 농대면 과제 없다고? 자연대 농대면 해외기업 취업도 안될텐데?
연봉센 해외 IT기업들 자연대 농대나와서 어차피 못가니 비교가 의미없잖아?
그리고 정교수되야 테뉴어다는데 옛날엔 5년? 요즘은 12년? 대체 어느 학교가 그렇게 줌?
사기업 50살까지 버틴다고 해도 교수는 15년을 더 버티는데 계산이 안 되나?

내가 탑스쿨 해박인데 국내 대기업 아직도 다니는 동기나 후배는 거의 없단다.
처음부터 연구소장 이런 포지션으로 산 애들 몇 명 빼고
다 중간에 도망나와서 정출연이나 학교 가지 ㅋㅋㅋ
Hans von Euler-Chelpin*

2020.12.27

Georgia O'Keeffe/ 기업 임원이 당연히 연봉은 훨씬 많이 벌고 임원승진과 정년이 보장되어 있다면 기업도 좋겠죠. 그런데 박사따고 연구원으로 늦게 입사한 사람이 관리/정치능력을 요구하는 임원까지 올라가는 경우가 드물다는게 문제라는거죠. 그리고 임원승진시 퇴직금 받고 계약직 되는거고 일찍 임원이 되면 그만큼 일찍 옷벗을 가능성이 높죠. 국립대 전임교원은 95프로 이상 테뉴어받고 정년까지 버티는거랑 비교가 안되죠.

그리고 제대로 돌아가는 지거국 공대 랩 보면 3책5공, 학생 인건비 100프로 꽉꽉 채운 데가 많습니다. 신기한데 정말 그렇더라구요.
Confucius*

2020.12.27

삼전에서 30-50살, 학교에서 35-65살 (교수되려면 포닥도 해야하고 나이가 좀 많을수 밖에 없으니) 이렇게 치면 20년 vs 30년 이고, 기업을 삼전으로 교수를 지거국으로 치면 솔직히 생애소득은 기업이 많을 수도 있는데? 지거국 교수가 기업과제를 엄청 많이 하거나 창업하지 않는 이상. 또 30대에 1억이랑 40-50대에 1억이랑 가치가 다름. 돈이라는게 복리효과가 있기 때문에 적절히 제태크만 하면 순수 돈으로는 이미 지거국 교수가 30살에 삼전들어가서 50살까지 버티는 케이스를 이길 수가 없음.

요즘 삼전가서 사내대출+기대 대출받아서 동탄에 아파트 산 친구들 보면, 말 다했고. 아무래도 교수직은 이런 금전적인 혜택을 보기가 힘들지.

게다가 교수될만한 능력이 있는 회사연구원이면 승진도 빠를거고, 임원 달기만 하면 솔직히 금전적으로는 지거국 일반적인 교수는 게임이 안되고.

Hans 이사람은 뭔가 말투도 그렇고, 자기가 무슨소리 하는지도 모르면서 댓글다는 듯..?
Confucius*

2020.12.27

그리고 지거국도 아니고 그냥 지방 국립대면...
요즘 수원대 같은 학교들 어찌 돌아가는지만 봐도...답 나오는데.
한국사회에서 교수는 여전히 좋은 직업이라고 생각하지만, 지금 과도기인것도 사실이긴함.
교수되는데 필요한 기회비용 고려하면 젊을때 빡세게 벌고 50되기전에 은퇴하는 삶이 꼭 더 못하다고 보이지많은 않음. 부부 모두 대기업 맞벌이 하는 부부들 보면 이런 목표로 사는 사람들 꽤 많고. 요즘 젊은사람들 인식도, 유능함의 척도를 더이상 승진 빨리하고, 가방끈 길고, 교수되고 이런것으로 여기지 않음. 다 자본을 유능함의 척도로 생각하지.
Hans von Euler-Chelpin*

2020.12.27

- 요즘 지거국 신임교수들 보면 전문연 국박 + 포닥 2-3년 해서 32-33살 정도가 많음
- 사내대출이라고 해봐야 연봉 60% 이런식으로 리밋있어서 얼마 안됨
- 교수도 똑같이 전문직대출 혜택 있음.

그리고 왜 회사원만 재테크를 잘한다는건지? 투자해서 500억 번 카이스트 김봉수 교수 못봄?
Confucius*

2020.12.27

ㄴ 김봉수 교수는 카이스트 때려 치고 그렇게 번 거고. 김봉수 교수야 말로 교수가 돈 버는 직업이 아니라는것의 방증인데 .그분은 자연대 교수긴 하지만.

교수 전문직 대출도 사내대출처럼 무이자 혹은 초 저금리로 해주니? 아닌걸로 아는데. 사내대출은 회사가 일종의 직원에게 서비스로 해 주는거고. 비교할걸 해야지.

그리고 사내대출 연봉 60%제한? 이런거 없는데. 참고로 나는 3년차에 1억5천 받음. 내 연봉은 당연히 2억보다 훨 작고.

지거국 32-33살 임용되는 케이스가 절대 대세가 아니라는건 알지만, 그래 35살 대신에 32-33살로 수정해야 한다 치자. 그렇게 따지면 기업에서도 50까지 다니고 바로 다 치킨집 차리는거 아님. 협력업체로 빠지기도 하고 재취업하기도 하고 등등.

해박 탑스쿨 출신이라면서 어투는 학부생들 말투네. 이빨 깔려면 글쓰기라도 좀 신경 쓰던가.

2020.12.28

댓글 개꿀잼이네ㅋㅋㅋ 돈은 회사가 많이벌긴하지 근데 가족이랑 시간보내기엔 지잡대가좋음

2020.12.29

나도 현직인데 R. D. Laing님은 교수랑 안맞는 분인 듯. 저는 돈이고 뭐고 애들 가르치고 싶어서 교수 합니다. 애초에 회사에서 돈을 더 많이 버네 마네 그런건 별로 고려사항이 아니었음.

2024.10.13

2024년 기준 알앤디 예산삭감에 국가과제가 대형화 집단화되서 일반국립대는 연구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점점 미국 따라가는것 같아요. 미국 기준 R1/R2 대학>= 네셔널랩>티칭스쿨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