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로 들어가도 요즘엔 다이렉트 과장 되는 것 같지도 않고, 업무상 차이가 많이 날 정도인가요? 점점 박사 우대가 사라지고 있다고 들어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René Magritte*
2020.12.29
업무는 당연히 다르죠?
삼전들어가서 뭘 하고 싶은데요?
Aldous Huxley*
2020.12.29
ㄴ 연구원이요. 당연히 업무는 다른건 아는데, 석사로 입사해서 CL3되었을 때랑 박사로 입사해서 CL3되었을 때랑 차이가 많은가요?
2020.12.29
연구원이면 무조건 박사 해야 함. 석사로 연구원되면 승진하기 힘듬
Johannes Stark*
2020.12.29
님은 박과장으로 부르고 박사는 김박사라고 부름. 박사 승진이 좀더빠름.
이거말고는 차이없음
2020.12.29
자잘한 차이가 누적되면 서럽습니다.
IF : 5
2020.12.29
ㄴ요게 약간 있는듯
-박사입사자
Aldous Huxley*
2020.12.29
흠... 약간 본인의 자격지심이 될 수도 있겠네요... 산학협력 입학생이라 고민이 많습니다.
IF : 5
2020.12.29
아직 회사에서 저연차라 식견이 좁을 수 있다는 건 참고하세요.
저 개인적 생각으론
나이는 당연히 박사가 좀더 빠르구요
(박사입사자 30~31, 석사는 32~33+군대기간 에 과장 닮)
그 서른 초반때까지의 기간동안
박사입사: 학교에서 돈못받고 물적, 심적 고생하는데 어디든 쓸 수 있는 박사학위가 있음. 3~5년짜리지만 자기 실적+학위기간동안 연구한 분야의 전문성 있음
석사입사: 회사에서 돈받아가며 고생함
둘 중 어떤걸 선택하냐 차이같아요.
개인적으로 학교에서 박사하며 겪을 수 있는 고생 중 안좋은 케이스가 회사 고생의 안좋은 케이스보단 훨씬 심한 것 같습니다. 박사하면서 고생을 꽤 했는데 그때보단 회사에서도 손꼽히는 빡센 부서에 있는 지금이 더 낫기도 해요.
Aldous Huxley*
2020.12.29
ㄴ 정말 도움 많이 되는 답변 감사드립니다. 글 저장해놓고 유념해서 봐야겠습니다. 꼭 복 받으실 겁니다. 한가지만 더 여쭤보자면, 석사로 입사했을 때랑 박사로 입사했을 떄랑 입사자들 사이에서 차별이 있을까요? 석사 연구원이라 차별받는다는 등의...
René Magritte*
2020.12.29
기존 사원들이 보기엔 박사입사자들은 중간에 떡하니 과장급이나 혹은 그 아랫급으로 들어오는데
회사실무경험이라는건 하나도 없고 학교에서 연구하듯이 일하는 성향이 남아있어서 아니꼽게 보는 경우가 있죠
그런 가운데 회사에서 필요로 하는 직무가 본인 전공과 다르고 실력을 빠른 시일안에 보여주지 못하면 바로 물박사소리듣고, 빠르게 회사마인드 장착하고 실무에서도 좋은 모습 보여주면 역시 박사소리 듣습니다
석사는 어차피 공채로 학사졸이랑 같이 뽑기때문에 기존 사원들의 입장일겁니다
Aldous Huxley*
2020.12.29
ㄴ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IF : 5
2020.12.29
저는 박사입사 당사자이다보니 제가 겪는거 위주로 얘기드릴 수밖에 없네요.
어린 과장이라 좋은건 그래도 박사라고 막 대하지는 않는거? 좀 있어요. 직급의 힘같은데 이게 다른 부서랑 일할때도 은근 커요. (선임들 말 잘 안들어주는 타부서 책임들 많음.....ㅂㄷㅂㄷ) 참고로 선임 7~8년차보다 제가 보통 더 어려요.
반대로 저한테 기대하는 수준이 좀 높은건 느껴져요. 신입이면 신입답게 휘적휘적 여기저기 부딪히기도 하고싶은데 그러기엔 좀 빡빡한 분위기랄까요.
그래도 여전히 신입인건 맞으니 잡일같은거 안빼고 잘하면 다들 좋아합니다.
저희는 석사졸과 학사졸 사원 간 대우 차이는 별로 안느껴지는 것 같아요. 학석/박으로 나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IF : 5
2020.12.29
ㄴㄴㄴ 전공적합도는 반반인게, 회사는 상위권대로 갈수록 '뭘 전공하고 왔든 박사애들도 가르쳐야하는건 똑같으니 똘똘한 애 데려다 키워쓰자' 마인드로 뽑는 경우가 꽤 많아요.
2020.12.29
향후 계획을 세워보고있는데,
박사 후 기업에 입사했을때 연봉이 어느정도될지 어디서 알아 볼 수 있을까요?
Aldous Huxley*
2020.12.29
ㄴ 정성어린 답변 감사드립니다. 많은 참고 하겠습니다!
2020.12.29
논문을 한편 쓰는것보다, 재테크 하나 하는것이 더 낫다.
- 우리연구실 파트 박사-
대댓글 1개
2021.07.30
ㅋㅋㅋㅋㅋ 극공감해서 빵 터졌네요
2020.12.30
국박은 거의 사원8년차 수준 대우 받았던거같은데. 석사는 뭐 오면 2년치 호봉 인정받는 학사랑 똑같지 않나요?
2020.12.31
@Sinclair Lewis
저도 혹시 한가지 여쭤봐도 될까요?
박사까지는 개인 사정상 힘들 것 같고 S전자 석사 취업이냐 학사 취업이냐 고민인데, 전 연구에 가까운 일을 하고 싶어서 석사 취업을 희망합니다. 학석사 대우가 같다면(하는 일의 Level 차이가 크지 않다면) 무의미한 일일까요? 요즘 너무 망설여지네요..
IF : 5
2020.12.31
ㄴ혹자는 연구개발직에 진입하기 석사가 학사보다 더 쉽다고 얘기하긴 하던데 전 아직 거기까진 잘 모르겠어요. 다만 입사하고 처음 5~6년간은 연구보다는 그 지원(행정처리, 셋업 등등 무한잡일)쪽 일을 주로 한다고 생각하셔요.
처음에 비 연구개발부서로 배치받아도 나중에 전배가는 게 아예 불가능하진 않습니다. 내부 구인구직시스템도 있긴 있어서요.
2021.01.02
@Sinclair Lewis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23.07.15
석사로 가시는게 좋은것 같아요.. 저때는 박사는 책임 달고 입사했는데 요즘은 석박통합 등 이유로 인정년수가 줄어든거로 알고있습니다.
삼성 조직 문화가 순혈주의가 남아있어서.. 석사 2년 인정받고 신입 입사하시는거 나쁘지않아요
2020.12.29
2020.12.29
2020.12.29
2020.12.29
2020.12.29
2020.12.29
2020.12.29
2020.12.29
2020.12.29
2020.12.29
2020.12.29
2020.12.29
2020.12.29
2020.12.29
2020.12.29
2020.12.29
대댓글 1개
2021.07.30
2020.12.30
2020.12.31
2020.12.31
2021.01.02
2023.07.15
대댓글 1개
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