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ist중 하나 재학중인 학부생입니다.
요즘 랭킹 관련 글이 자주 올라오길래 점심먹으면서 국제 랭킹좀 살펴봤는데
GIST가 의외로 정량적인 지표에선 두각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었고(대부분의 랭킹에서 하위권)
UNIST가 국내 대학 중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네요.
CS분야는 좀 다를 줄 알았는데 이것도 마찬가지구요.
이유가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0.12.31
G 자대생이지만 원래 지스트가 CS를 밀어주지는 않기도 했고...
그런 부분은 유니가 부럽긴 하더군요.
이번에 지스트도 AI 산단 생기면서 밀어주는 것 같으니까 믿어봐야하나..
Al-Zahrawi*
2020.12.31
카이가서 학벌세탁 ㄱ
IF : 3
2020.12.31
SKP에서 P가 상대적으로 국제랭킹이 떨어지는 이유는? 모름.
비슷한 맥락으로 이것도 모름. 학교 규모랑 상관이 있지 않을까 싶을뿐.
2020.12.31
저도 g 자대생인데 대학원 규모는 지스트가 더 크지 않나요?..
IF : 5
2020.12.31
국제랭킹 매기는거 어차피 별로 투명하지도 않고 대충 순위권정도는 의미있어도 세세하게는 아무도 모르는거 아닌가
참고로 둘 중 어디에도 관련없는 사람임
2020.12.31
ㄴ 물론 저도 크게 의미 없다고 보지만, 지스트는 너무 낮지 않나 싶어서요. cs랭킹은 아예 잡히지도 않을 정도고요. 지금의 위상에 대한 지속 가능성에 의심이 드는데, 아직까지 지스트의 전체적인 연구력은 건재한가요?
IF : 5
2020.12.31
ㄴ본인 학교 연구역량 수준에 대해 고민이 된다면 그런 랭킹보다 교수들이 논문내는 학회지 수준이나 상대적인 피인용수 레벨을 직접 찾아보시길 권해드려요
2020.12.31
조언 감사합니다. 아직 너무 아는게 없네요.
2020.12.31
취업해 보시고 사회 나와 보심 압니다. 국제랭킹 의미없다는것을. 세계 랭킹이야 옛날부터 있던거구요. 그때는 뭐 지스트 랭킹 높았나요? 지스트 qs평가는 반대로 세게 탑5안에 들지 않나요? 그거 누가 이야기 하면서 치켜 세우는 사람 있던가요? 지스트 위상은 오히려 경쟁 과기원 설립, 수도권 집중화 등의 국내 인식과 사정이 중요하지 설문기반이나 노벨상 필즈상 등으로 심사하는 국제랭킹이 죄지우지하지 않아요. 간혹 포스텍이 평가지표 바꾸자마자 세계 랭킹 28위인가? 찍었다가 또 평가지표 바꾸면서 좀 떨어졌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여기 최상위권 소사이어티 관점에서는 거의 비슷해요. 모르는 사람들이 이러쿵 저러쿵하지 그때나 지금이나 서카포는 지금 같았어요. 셋이 비슷하지만 학부는 설대, 대학원은 카이가 선호도가 근소하게 대중적인 선호도가 높았단 겁니다.
지금은 지스트 유니스트 위상 거의 차이 없고 자기 실적 높은게 장땡입니다.
2020.12.31
대학이 밀어주니 어쩌고 간접적으로는 중요할수 있는데 그렇게 따지면 광주랑 지스트가 ai관련 과제 엄청 큰거 따지 않았나요? 그런거보다 교수님 홈피 가서 논문 실적 비교해보구요, 실적 비슷하다 그럼 가도 전혀 문제 없구요. 근데 그분야 하는 교수님이 없다거나 확연하게 약하면 그분야는 그 학교가 약한겁니다. 랭킹가지고 판단하지 마세요.
2020.12.31
2020.12.31
2020.12.31
2020.12.31
2020.12.31
2020.12.31
2020.12.31
2020.12.31
2020.12.31
2020.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