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사에서 하는 일이 이거 맞나요?

2021.01.04

4

7373

제가 찾아본 바로는

1. 교수님의 프로젝트 돕고 인건비 받기

2. 자신의 프로젝트 (논문)

3. 학점 따기

이 정도인 것 같은데

제가 가려고 하는 대학원의 교수님이 어떤 연구를 하고 있는지가 중요한 게 바로 1번과 같은 이유인가요?

자신이 관심없는 프로젝트를 도울 수도 있기 때문에 최대한 비슷한 연구를 하시는 분께 가는 건가요?

만약 자신이 관심있는 분야의 랩실이 전공과 다르면 어떡하나요...
(ex. AI연구를 희망하나 막상 관심있는 랩실은 문화기술융합쪽인 경우)

아직 저학년생이라 여러 가지 찾아보고 있지만 아직 감이 잘 오지 않습니다

그리고 구글링이랑 논문검색으로 제가 관심있는 분야를 계속 찾고 있는데 잘 나오지 않습니다...원래 다 이렇게 찾는 건가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1.01.04

관심 분야가 어떤 건가요?

2021.01.04

ㄴ ai 쪽입니다!

2021.01.04

ㄴ 정확히는 애니메이션 작업에 쓰일 수 있는 인공지능쪽입니다!

2021.01.04

AI 쪽은 하는 사람이 너무나도 많아서 열심히 찾지 않아도 찾을 수 있을 것 같은데.. 너무 세부전공까지 맞추시려고 하는 것 아닌지 모르겠네요. 세부관심사까지 맞추려면 자기가 자기 이름대고 연구비를 딸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혼자 쉬는 시간에 해도 되고요. 아니면 30-50명 넘어가는 초거대랩으로 가면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지 신경쓰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여지가 좀 있습니다.

1번과 2번은 완전히 구분되지 않습니다. 구분되는 곳도 물론 있긴 한데요, 대부분 학생이 연구주제를 정하는 것 자체가 교수의 연구과제 틀 안에서 결정이 되고, 연구과제의 주제도 갑자기 어디서 전혀 관련없는 걸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고, 학생들의 연구주제로 적당한 것으로 결정될 때가 많습니다. 연구비가 궁할 때는 간혹 연구용으로는 부적절하고 100% 개발 프로젝트인 과제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런 랩은 석사학위용으로는 괜찮은데 박사를 생각하면 피하는게 좋겠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