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레드오션이라고 하는 사람들 중
대학교에서 CS혹은 통계를 전공했으면서 AI를 제대로 공부한 사람이 얼마나 될까..
이번에 석사 진입하면서 대가리 깨져가면서 공부하면서 느끼는게
앞으로 연구해야 할 것들, 응용할 수 있을 것들이 아직도 천지 삐까리인거 같은데..
채용 시장도 해외로 눈 넓히면 엄청 크고, 대체 어떤 거를 보고 레드오션이라는 거임?
+) 존문가한텐 레드오션일 수 있겠다라는 생각은 듬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0개
Rudyard Kipling*
2021.01.05
레드오션인 우리분야도 연구할거리와 할거리는 널렸음
근데 3년간 교수채용 없음 ^오^ ㅋㅋ
Johannes Bosscha*
2021.01.05
ㄴ무슨 분야인진 모르곘지만 애초에 CS전공했는데 교수 들어가는건 좀 아웃사이더 아닌가
Marcello Malpighi*
2021.01.05
연구할거리야 모든 분야가 다 널렸음
Rudyard Kipling*
2021.01.05
ㄴ 레드오션이여서 박졸자가 그나마 갈수있는 괜찮은 직장이 교수인데도 그 교수직이 우리분야에서 3년간 채용공고가 없었음 ㅋㅋ
이런정도의 레드오션인데도 연구할거리는 많으니, 할거리가 많다는 이유로 블루오션이니 레드오션이니 가르지 말라는 뜻임
이 간단한 말도 못알아듣는 니가 AI갔으니 얼마나 블루오션인줄 알겠다
아 이 뜻은 이해하지?
대댓글 1개
2024.10.28
얘는 왤케 예민함 그리고 위에 사람이랑 같은소리한거 아님?
Dawon David Kahng*
2021.01.05
아니 레드오션의 뜻을 모르나..? 연구할거리가 10000가지인 곳에 연구자가 10000명인 곳, 연구할거리가 10000가지인데 연구자는 100명인 곳에서 전자를 레드오션이라 하는건데...ㅋㅋ
Dawon David Kahng*
2021.01.05
그리고 레드오션이라는건 박사학위자들 입장에서 6년뒤 취업하는데 그 과정에서 쏟아져나오는 박사들 생각해서 레드오션이라 하는거지 현재 채용 상태를 비교하면 안되지. 2차전지도 지금 각광받고 많이 채용하지만 지금 석박 밟으려는 애들한테 레드오션이라고 말하는 것처럼
Johannes Bosscha*
2021.01.05
ㄴ 교수 채용 공고 하나 가지고 레드오션 블루오션 논하는 님이 더 어이가 없는 것 같은데여..
님 분야 교수채용 쪽이 밥이됐든 죽이됐든 저는 관심 없다구여 싸가지없는 친구야 ㅇㅂㅇ
Johannes Bosscha*
2021.01.05
앞으로 채용규모가 늘면 늘었지 줄거라고 생각안하는 입장임
Johannes Bosscha*
2021.01.05
위 댓글들 CS는 커녕 컴전공 근처도 안가봤다에 김박사넷 건다
2021.01.05
원글
AI가 레드오션이라고 하는 사람들 중
대학교에서 CS혹은 통계를 전공했으면서 AI를 제대로 공부한 사람이 얼마나 될까..
이번에 석사 진입하면서 대가리 깨져가면서 공부하면서 느끼는게
앞으로 연구해야 할 것들, 응용할 수 있을 것들이 아직도 천지 삐까리인거 같은데..
채용 시장도 해외로 눈 넓히면 엄청 크고, 대체 어떤 거를 보고 레드오션이라는 거임?
+) 존문가한텐 레드오션일 수 있겠다라는 생각은 듬
2021.01.05
ㅎㅎㅎ 잘 해 보셈.
2021.01.05
본인 생각하고 다르면 x문가 취급하는데 인성을 보아하니 글쓴분은 무슨분야든 그냥 안될거 같네요.
2021.01.05
컴공, 통계 전공인데 말도 안통하는 ㅈ문가 글쓴이와는 대화할 가치가 없네
Rudyard Kipling*
2021.01.05
걸게 없어서 김박사넷을 거냐 ㅋㅋㅋ
2021.01.05
그런데 머리 깨질만큼 공부할게 있나요?
진지하게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딥 러닝 이론같은걸 정말 깊게 배울만한게 있나요?
GAN이나 디
2021.01.05
딥러닝 시초인 ALEXNET이나 이후에 RESNET 처음 나왔을때처럼 임팩트가 아직 남아있을까 싶은데요.
딥러닝 아키텍쳐같은 경우 구글, 페이스북 그룹에서 개발하는 것을 따라잡기도 벅차고요
2021.01.05
AI의 장점은 미래가 유망하다.
그런데 단점은
개나소나 달려든다.
별 잡스런 대학들에서 AI대학원 세우고 아주 난리도 아닌게 문제..
SPK AI야 지금이나 미래에나 아마 교수나 정출연 기업에서 모셔갈 것이고
잡대학 AI관련 박사들은 그대로 백수일 확률이 높죠.
어차피 잡대학 AI 박사보다 학/석에 프로그래밍 기가막히게 하는 사람들이 훨씬 회사에 유용할테니까요.
2021.01.05
물론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저도 AI분야 유망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중 한명입니다.
기업에서 이와 같은 연구를 많이 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유망하지 않을까요
비전문가라 잘 모르겠지만, 취업으로나 다른쪽으로 컴퓨터 사이언스 만큼 유망한 분야가 있을까요?
2021.01.05
레드오션은 학문의 범용성이 정하는 게 아니라 수요와 공급이 정합니다. 논문을 영어로 써야한다고 영문학과 박사들이 잘팔리나요? 글쓴님이 사회에 나가려면 2년에서 5년정도 걸리실 텐데, 사회가 그동안 어떻게 돌아갈지 몰라도 대학원이 우후죽순 생기고 있고 학위를 하지 않더라도 누구나 접근 가능한 오픈소스와 강의들이 널린 컴퓨터 공학 분야이기에 그 때에도 대우가 좋을지 속단할 수 없다는 말입니다.
2021.01.05
그리고 원래 석사 처음 시작하면 머리가 깨질듯이 공부해야 정상입니다. AI라고 그런거 아니예요
Franz Liszt*
2021.01.05
ML전공자고 현직교수인데 레드오션 맞음
옛날엔 타이피스트란 직업이 있었지만 지금은 없지
누구나 컴파일러를 쓰지만 컴파일러 연구하는 사람은 별로 없음
대댓글 1개
2023.09.24
컴파일러 연구하는 사람이 없다고요? 컴공 교수 맞나?
Franz Liszt*
2021.01.05
이미 상위 IT기업 똑똑한 개발자들은 ML 스터디해서 툴 익숙하게 쓰게된지 몇년 지났고
딴 연구하던 사람들 다들 자기 도메인에 ML 접목시켜서 논문 내고 있는 중임
이 상황에서 ML 코어연구에 올인하는 건 굉장히 위험함
물론 본인이 능력이 출중해서 살아남을 수 있다면 아직까지는 추천
IF : 1
2021.01.05
ML 전공 교수 입니다. 윗분들 지적대로 너무 많은 리소스가 투입되어서 연구되고 있고 알고리즘이나 이론 자체는 상용화 가능한 현실적인 것들은 이미 연구가 많이 완료 되었고요. 이제 점점 연구를 위한 연구로 가는 느낌이 있습니다. 각 회사별로 또 고유의 알고리즘이나 코드를 개발하겠지만 오픈소스가 너무 성능이 좋아서 결국 알고리즘은 거기서 거기고 데이터 싸움 플랫폼 싸움으로 갈 겁니다. 코어 연구자들은 많은 수가 필요없다는 거죠. 모든 분야가 빠르게 연구되고 상용화되고 난 후엔 고학력을 요하는 연구 수요는 크게 줄어드는 역사를 겪어왔습니다.
2021.01.05
(Johannes Stark )
고학력을 요하는 연구수요 감소는 어떤걸 예를 들 수 있을까요?
Trofim Lysenko*
2021.01.05
석사니? -IST 교수 포스텍 교수한테 AI레드오션이란 말 들었음 (실제로 한 말)
2021.01.06
ml말고 cv, nlp 쪽은 어떤가요? 마찬가지인가
2021.01.06
CS나 통계만으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거에서 이미 에러.
2021.01.06
웃프네요 ㅜ 레드오션맞는데 (다음달 박사졸업)
2021.01.07
ㅋㅋ책한권읽은 사람이 무섭다고 이번 석사진입이란 말은 석사1년차인거 아님?ㅋㅋ자기가 모든걸 안다고 생각하네
Torkel Weis-Fogh*
2021.01.08
당장 최근에 퍼블리쉬된 탑티어 논문들 훑어봐도 되게 간단한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경우가 많음. 적어도 학문적으로 볼 땐 블루오션임
2021.01.08
나도 레드오션이라 생각하는 편인데 이유는 AI 가 범위가 모호해서 CS 말고도 AI, ML 타이틀 붙이고 시도할 수 있는 학과가 꽤 많고, 제대로 하려면 데이터랑 서버땜에 돈이 많이 드는 분야라 학교에서 상용화 할만큼의 성능 나올 뭔가를 보여주기가 어려움. 그리고 이 분야는 스타텁이나 사기업/사기업 연구소쪽에서도 워낙 크고 작게 진행하는 프로젝트들도 많음. 그만큼 이미 시도해본것과 논문 외에 미디어에 노출되어있는 사례들도 많고, 그래서 몇년전 조금만 AI 달고 그럴듯 하게 포장하면 지원금 투자금 받던때랑은 좀 상황이 다름. 장점은 다른 분야 대비 취업 기회는 괜찮은듯.
2021.01.08
해외 취업 시장의 경우도 만만하게 볼 일은 아닙니다. 미국에 있는 탑티어 AI 관련 학교들은 정말 많습니다. 꼭 칼텍 카네기멜론 이런데 아니더라도 아이비리그는 CS 분야가 순위가 좀 낮은편이라서 CS 학교 탑 랭킹에서 잘 안보이지만 취업은 잘되는 편이니 이런 학교들 다 포함+ 미국학교에 전세계 각국 국가/기업 장학금 받은 사람들이 수두룩하다는거 계산 + 매년 구글 페북 아마존 등등 너무 뻔한 이름이지만 일단 인턴 경력 있으면 취업에서 유리해지는곳 거쳐간 사회 초년생들까지.. 암튼 포화상태가 아닌 동네는 아닙니다.
2021.01.08
연구할건 많지 ㅋㅋ 그게 돈이 안되니깐 문제인거고...
2023.06.19
spk ky 학부 아닌데 cs나 ai 해서 spk ky 얘들이랑 경쟁할 자신 있음? 난 솔직히 실력차이 너무 크다고 봄. 싸우지마셈
대댓글 1개
2023.09.24
그업계가 학교 랭킹순으로 승부보는데가 아닙니다…
2023.09.24
여기 댓글단 인간들은 주식은 하지마라 ㅋㅋ
2023.12.05
AI----> 앞으로 더 유망해질거라고 생각하는데, 대신 순수 연구보다는 리서처에 가까운 엔지니어들이 결국 살아 남을듯. 그래서 교수가 목표면 박사는 가야겠지만, 그게 아니면 석사까지만 해도 될듯.
2024.10.09
인공지능이 레드오션이 아니라 그냥 필수임. 모든 연구에 컴퓨터가 필수로 쓰듯이 인공지능도 그렇게 간다. 안쓰면 신뢰도 낮은 걸루 취급하는거지.
2021.01.05
2021.01.05
2021.01.05
2021.01.05
대댓글 1개
2024.10.28
2021.01.05
2021.01.05
2021.01.05
2021.01.05
2021.01.05
2021.01.05
2021.01.05
2021.01.05
2021.01.05
2021.01.05
2021.01.05
2021.01.05
2021.01.05
2021.01.05
2021.01.05
2021.01.05
2021.01.05
대댓글 1개
2023.09.24
2021.01.05
2021.01.05
2021.01.05
2021.01.05
2021.01.06
2021.01.06
2021.01.06
2021.01.07
2021.01.08
2021.01.08
2021.01.08
2021.01.08
2023.06.19
대댓글 1개
2023.09.24
2023.09.24
2023.12.05
202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