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과 일반 커리를 다 타셔야하는데 보통 일반물리->고전역학,전자기학+수리물리->양자역학->통계물리 이런식으로 듣습니다
2021.01.21
근데 일반물리랑 현대물리정도만 알면 충분히 커버 가능해여 학부수준에서는
2021.01.21
일물, 고전역학, 수리물리학, 열통계 위주로 공부하시고 전자기, 양자, 고체물리도 공부는 해두세요.
랩바랩이기도 하니 교수님께 문의 ㄱㄱ.
아니면 수학과에서도' 그래프이론'이라는 이름으로 연구하기도 하니 수학과쪽도 알아보시길.
C. S. Lewis*
2021.01.21
복잡계 네트워크 이론은 정통 물리랑 많이 동떨어진 분야라서 (사실 왜 물리인지도 모르겠음) 상식인 일반물리랑 고전역학정도 아시면 될 것 같아요. 수학하고 코딩능력이 더 중요해 보이네요.
2021.01.21
수학은 어느 분야를 공부해두면 좋을까요?
C. S. Lewis*
2021.01.21
미분방정식이요
2021.01.21
그렇군요...그럼 미분방정식을 공부하기에 가장 적합한 교재나 과목이 있을까요?
그리고 선형대수나 확률론, 통계 및 미분방정식을 제외한 미적분 부분도 복잡계 쪽을 연구하기 위해서 필요할까요?
수리물리학에 선형대수+미적분의 내용이 들어가기도 한다고 해서 헷갈리네요 ㅠㅠㅠ
아직 아는 게 많이 없어서...
2021.01.21
수리물리, 통계과목 정도면 충분합니다
C. S. Lewis*
2021.01.21
미분방정식을 공부하기에 적합한 과목은 미분방정식이죠. 책은 교과서 아무거나 보세요.
C. S. Lewis*
2021.01.21
미적분은 당연히 알아야 합니다. 근데 컴공이면 수학 이미 다 들으시지 않았나요?
2021.01.21
수리물리, 양자알면 충분
2021.01.21
미적분 앞쪽 내용, 선형대수랑 확률론, 전산통계까지는 들었습니다..
다만, 이 외에도 더 필요한 수학적 지식이 있는지 그리고 이 중에서 필요한 내용과 불필요한 내용이 무엇일지 판단이 잘 되지 않아서요 ㅠㅠㅠ
C. S. Lewis*
2021.01.21
모르겠으면 해당 과목안에서 다 공부하시거나, 그냥 모르고 있다가 나중에 필요해지면 공부하세요.. 물리학, 수학은 다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어딘 안하고 어딘 하고 그런식으로 공부하지 않습니다. 예컨데 이산수학이나 그래프 이론을 전공하는 원생은 수학과에서 대다수의 시간동안 배우는 미분기하, 위상수학, 해석학, 대수학, 복수함수론에 대한 지식을 별로 사용하지 않지만, 그래도 공부는 다 합니다. 연구를 파고들다 보면 나중에 연관될 수도 있거든요. 님이 복잡계를 하신다지만 그안에서 교통체증을 할지, 사회경제물리를 할지, 뇌과학을 할지 전혀 모르는 상황에서 뭐가 필요하다가 딱 집어 말하기 어렵습니다.
C. S. Lewis*
2021.01.21
그나마 가장 쓰일 가능성이 높은게 물리학과에서 기본 상식에 가까운 일반물리, 미적분학, 미분방정식, 선형대수, 고전역학 (시간 없으면 수리물리가 이 내용 다 포함 함)+추가적으로 시간남으면 열통계물리, 전자기학, 양자역학을 공부하세요. 무슨 책으로 어느 범위까지 볼지는 님이 다니는 학교 실라버스 보고 따라하시면 됩니다.
C. S. Lewis*
2021.01.21
그리고 미적분학은 아주 기본중의 기본이라 모든 내용을 다알아야합니다.
2021.01.21
아하..그렇군요
제가 아무래도 대학원을 타 학과로 가려니 제 학과에 비해 얻을 수 있는 정보도 적고, 겹치는 과목도 적은 데다가 대학원 진학까지 남은 시간도 많지 않아 부담감이 심했던 것 같습니다
ㅠㅠㅠ
일단은 미분방정식, 선형대수, 수리물리학, 확률통계 , 통계역학(+양자역학)을 공부하고 이후 조언해주신 대로 제 연구주제에 필요한 지식이 더 있다면 추가로 공부를 더 해야겠습니다
그래도 조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1.01.21
앗 추가로 설명을 더 친절하게 해주셨네요...말씀해주신 해당 과목들도 시간 되는 대로 열심히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2021.01.20
2021.01.20
2021.01.20
2021.01.20
2021.01.21
2021.01.21
2021.01.21
2021.01.21
2021.01.21
2021.01.21
2021.01.21
2021.01.21
2021.01.21
2021.01.21
2021.01.21
2021.01.21
2021.01.21
2021.01.21
2021.01.21
2021.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