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Nature 자매지에 1저자로 쓰는게 어렵나요?

2019.10.14

9

15921

Nature comm 부터 시작해서 각 분야마다 그래도 네이처 자매지들 있잖아요... 이런 곳에 국박이 하나 쓰고 졸업하는게 어렵나요? 


내년에 대학원 입학인데 진짜 순순히 궁금해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19.10.14

자매지도 자매지 나름이겠지만 네이쳐 커뮤니테이션 같은 경우는 어렵습니다.

2019.10.14

네이처 자매지 중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은 낮은편입니다

2019.10.14

네 저도 커뮤니케이션이 젤 낮은걸로 알고 있긴한데... 그래도 커뮤니케이션 하나 1저자로 갖고 있는 사람 많지는 않지 않아요?
Ancel Keys*

2019.10.14

1번댓은머임?

IF : 1

2019.10.14

네이처컴 석사1년차도 쓰는케이스 종종보임

2019.10.15

모든 저널들이 저널들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 성격이 있는데 네이처도 저널의 일종이므로 네이처 만의 성격이 있습니다. 성격이란 별개 아니라 네이처가 원하는 연구 성격과 방향이 나름대로 있다는 것이죠. 전전 반도체나/바이오 쪽이라면 구체적 연구방향이 어떤 것인지는 잘 모르나 기존의 엔지니어링 논문에서 기술하였던 방식으로 네이처를 접근하면 광탈될 가능성이 다분합니다. 자연과학적인 발견이나 거기서 발견되는 보편적인 법칙이나 성과 아닌 product을 위한 공학적인 접근은 네이처에서는 엥간해서 accept이 잘 안됩니다. 국내에서 국박이건 아님 해외에서 해박이건 성격이 다른 논문은 다른 접근방식으로 네이처를 쓴다면 모를까 기존의 방법으로 네이처를 쓰는데 이 부분에서 단순히 IF가 높거나 아님 권위적인 논문이라고 하여 글쓴이께서 어디서 이런 부분을 들었다고 한다면 그냥 흘려 들으세요. 이 놈의 네이처 타령은 제가 20년전 대학을 다닐때도 늘 있었던 공대교수나 자연대 교수들의 괜한 뜬구름입니다. 아직까지 이런 네이처 뜬구름이 지금까지고 도는거 보면 아직까지의 국내 대학의 정신병은 여전한가 보네요.

2019.10.15

이 네이처 논문 얘기 이제 피곤하지도 않나.. 진짜 교수들의 세뇌교육은 정말 전세계에서 최고네요. 아주 자부합니다.

2019.10.15

어렵죠.

2019.10.15

전전 반도체면 네이쳐 쓸일이 없는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