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 생긴지 5년정도에 박사도 적지 않은데 이상할정도로 논문이 적네요
논문이 적게나오는 분야도 아닌데..
스칼라에 교수님 이름 넣어서 찾은거라 잘못 찾은거 같지는 않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Wilhelm Wien*
2021.02.08
비인기랩
2021.02.08
연구와 큰 관련없는 과제만 주구장창 굴리는 경우
Leon M. Lederman*
2021.02.08
이유야 모르지만, 대충 분야가 너무 이상하지않으면 신생랩3-4년부터 석사했던애들이 박사1,2년차때 논문 한편은 쓰는ㄱㅔ 정상이긴 합니다.
IF : 5
2021.02.08
아직 1~2년 두고보셔야
기존에 박사급들이 있는 상태에서 석사가 성장하는 것보다
신생랩에서 첫빠로 올라가는게 더 오래걸립니다
Carlos Fuentes*
2021.02.08
교수가 못하거나, 학생이 못하거나
Leon M. Lederman*
2021.02.08
아 근데 생각해보니 주변에 말하는랩이 있긴하네요. 그랩의 경우 교수님의 기준이 너무 높았습니다. 교수님 마인드 자체가 논문 많이쓸 필요없고 좋운논문 한편이면 된다라눈 마인드셔서 아직 6년찬데 논문없으네요.. 본인은 엄청 천재시고 학생들 연구지도도 마이크로컨트롱 하시는데, 실적없어서 테뉴어 어쩌실생각이신지 ㅎㅎ
John N. Shive*
2021.02.08
ㄴ 카이스트에 그렇게 하시다가 나가신 분 있던데. 교수 되는게 만사형통이 아닌거 같음. 요즘엔.
Richard Laurence Millington Synge*
2021.02.08
학생들이 대다수 자퇴하거나 교수가 갑자기 멍청해져서
2023.11.02
논문 편수가 중요한게 아니다. 연구실 정체성에 따라 다르다. 같은 분야여도 정체성에 따라서 어느 연구실은 박사 7년해도 SCI 1편 못 내고 임용 때 1편 정도만 내고 서울대 컴공과 교수하는 분이 있고, 어느 연구실은 박사 3년만에 끝내고 SCI 10편(탑저널 1저자 3편) 쓰고 인서울대 컴공과 교수하는 분이 있다.
Conventional Research하냐 Trend 따라서 어느정도 줄기 하에서 믹스매치하면서 Ad hoc Research 하냐, 다 다르다. 카이스트 전산과에 어떤 교수님은 이렇게 비유하시더라. 핸드볼 게임에서는 1골 넣기 쉬워도 축구에서는 1골 넣기 어렵다. 근데 다 게임의 종류마다 다른데 골 수로만 천편일률적으로 따지는건 모순이 있다. 예전에는 하도 교수새끼들이 논문을 안쓰니까 이제 SCI 편 수를 메트릭 삼아서 평가하였는데, 이제는 슬슬 질적으로 다시 바뀔 필요가 있다.
2021.02.08
2021.02.08
2021.02.08
2021.02.08
2021.02.08
2021.02.08
2021.02.08
2021.02.08
2023.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