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석사 일본에서 하다가 전문연때문에 연구소에서 일하는 중인데 복무가 거의 끝나갑니다.
원래부터 박사과정 진학을 생각하고 있었습니다만, 일본 지도교수님은 곧 정년이셔서 박사과정을 받지 않아 동경대 진학을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연구소 많은 분들이 한국에서는 아무래도 과제로 얽힌 인맥이나 학교 인맥으로 일을 하는 경우가 많아서 서울대를 추천 해주시네요.
연구소에서 일하면서 과제 위주로 돌아가는 한국 대학원 생활을 많이 접하게 됬는데, 본인 연구만 열심히 하면 됐었던 일본이 그립네요...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1.02.19
왜구
2021.02.19
본인이 졸업후에 어디서 생활할지에 따라 달려있죠. 한국 리턴할거면야 당연히 서울대이고, 일본에서 쭉 생활하실거면 당연 동경대고...
그리고 됬->됐 입니다
2021.02.19
그냥 윗분 말씀대로 졸업 후에 어느 나라에서 살 것인지 따라가시면 됩니다. 국내로 돌아오신다면 일본 학위는 꽤나 저평가 받습니다.
2021.02.19
현 교수님 세대 중에서 가장 많은 박사학위 출신지가 동경대라고 합니다. ('17 기준)
노벨상도 많이 나왔고 세계적으로도 밀리지 않는 좋은 대학인 것은 분명하죠.
물론 요즘은 국내 박사도 많고, 영미권 박사도 많은 추세이지만 본인께서 동경대가
더 마음이 가면 동경대에서 박사를 하는 것이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해요.
단순히 개인적인 의견이니 가볍게 흘려 들으셨으면 좋겠습니다.
2021.02.19
일본이냐 한국이냐 보단 논문실적이 어디가 잘 나올 것인지가 중요할 듯 해요.
2021.02.19
닥후
2021.02.19
70,80년대고 아니고 일본 왜감
2021.02.19
조만간 한국 망하면 탈조선 옵션 생각해야하는데 당연히 닥후
2021.02.19
동경대 다니는데 장단점 있음. 장점은 졸업하고 갈데가 넓어진다는거고 단점은 영어도 안되는데 일본어까지 하라는 교수도 있어서 연구집중도 떨어지는거+일본어 못하면 배우는 한계가 존재한다는거. 일본어 되면 오는거 추천함.
재밌는 알프레드 노벨*
2021.02.19
됐었던=되었었던 x
됐던 o
되었던 o
됐었던 x
됬던 x
서울을 가든 도쿄를 가든 상관없는데 공부는 하자
대댓글 1개
2025.01.25
과거에 일어났던 일임을 강조하고 싶을 땐 '되었었던'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음. 즉, '되었었던', '됐었던'도 맞는 표현임.
염세적인 데이비드 흄*
2021.02.19
한국에서 잡을구할지, 일본에서 잡을 구할지에 따라 너무 다를것같은데요..
한국에서 잡구하실때는, 아시아권 탑대학들은 생각보다 큰 메리트가 없는것 같습니다. spk랑 동급정도로 생각하는 분들이 대부분일텐데, spk를 나오셔서 얻는 인맥(연구실/주변연구동료들)은 못얻는 애매한 위치같아요..
동경대 학석박 출신에 메이저정출연에 계신분 만나뵐때도 비슷한 말씀을 해주셨어요..
2021.02.19
2021.02.19
2021.02.19
2021.02.19
2021.02.19
2021.02.19
2021.02.19
2021.02.19
2021.02.19
2021.02.19
대댓글 1개
2025.01.25
2021.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