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28살 박사 졸업

2019.10.27

19

10490

제가 조기졸업이랑 빠른 전문연 등등으로 어쩌다보니깐 나이가 엄청 어리게 곧 졸업을 할 것 같아요... 나이가 어린 프레쉬 국박이면 장단점이 있나요? 특히 기업을 가거나 정출연 교수 임용시에... 항상 나이가 어린게 컴플렉스이자 무기였는데 문득 사회에서는 어떻게 받아드려질지 궁금하네요... 어려서 무시당하진 않으련지 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19.10.27

어릴수록 좋아요

2019.10.27

교수임용되기엔 너무 어리신듯하지만 어리면 좋은점이 더 많습니당

2019.10.27

저희학교 신임조교수님은 29살이세요 여자교수님
카이 mit박사 uc버클리포닥 1년 하시고 바로 임용되셧더라구여

2019.10.27

어린건 꼭 좋지는 않습니다. 경력이 짧다는 의미로요. 28 박사면 많은 세이브를 하신게 맞지만 여타의 30 중반 박사보다 임용시장 등에서 1:1로 비교했을때 이런저런 이유로 밀립니다.
어린 나이로 경쟁력을 얻으려면, 박사딴 연구실에서 더이상 밍기적거리지 않고(?) 최대한의 좋은 스펙이 될만한 다른 곳으로 빨리 옮기라고 권유하고 싶습니다.
George Minot*

2019.10.27

어린건 무조건 장점
남들 박사삽질할때 빅가이랩으로 포닥가면 됨

2019.10.27

와우 진심으로 썼는데 이리도 비공감이 박힐줄이야 ㅋㅋㅋ 아무튼 글쓴분과 비슷한 입장에서 제가 직접 겪었던 일을 쓴거니까 참고하세요

2019.10.27

저도 해외 포닥을 생각하고 있었는데 무조건 박사 학위 과정 줄이고 해외로 가는게 더 좋다는게 여론인가요?

2019.10.27

smith님 말 틀린게 없는데 비추는 뭔지...

2019.10.27

Smith 님 쓰신 댓글에 틀린얘기 하나도 없습니다.
왜 비공감이 찍히는지 알겠는데, 박사 빨리 딴다는게 반드시 능력이 뛰어나다는 뜻은 아닙니다. 학위 받으면 인생 끝나는게 아니라 연구를 업으로 시작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자격이 생긴 것인데, 이걸 많이들 혼동 하는거 같습니다.
목표가 교수라면 나이가 어리다는것은 강점 보다는 약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학과에서 새로 교수를 뽑을때 학과의 막내 교수보다는 나이가 어린 사람을 선호 합니다. 너무 젊은 교수를 한명 뽑고 나면 그 다음 교수를 뽑을때 애매한 상황이 생겨서 그리 선호 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빨리 졸업 한게 본인에게는 큰 장점이니 smith님 댓글 처럼 빅가이 그룹에서 경험을 쌓고 추후에 동년배 대비 더 뛰어난 실적으로 지원하시면 목표를 이룰 수 있슴니다. 건승하시기 바랍니다.
George Minot*

2019.10.27

어린게 좋지 않다는건 100프로 헛소리
28살 박사따고 빅가이랩에서 포닥 3년 리서쳐 3년해도 34살임
34살 프레시 박사랑은 실적이 넘사벽으로 벌어짐
George Minot*

2019.10.27

동일실적이라도 나이가 어리면 더 고평가되는데
박사 일찍따면 동일나이에 실적이 더 쌓임

결국 무조건 박사 일찍따는게 유리함

2019.10.27

박사땄는데 나이가 어려서 안좋은건 물박사일경우 뿐 아닌가?
박사 오래 걸려서 따면 그게 무능한거지 경력이 많다고 평가되는가?

2019.10.27

제가 쓴 댓글을 아마도 "어린나이에 박사따면 부정적이야" 로 읽으신분들이 좀 있는것같은데....그런 뜻 아니구요. 교수 임용과 같이 고 경력을 요구하는 시장에서는 절대적인 나이에 적정선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어릴때 박사를 땄다면 이후의 경력관리를 더욱 신경써야 한다는겁니다. 예를들어 28 글쓴분과 34 모 박사가 최종 임용자리에 왔을때, 확률적으로 34 분이 될 가능성이 여러모로 높다는겁니다. 그 상대가 34 프레시 박사면 그 파이널 자리까지 오지도 못합니다. 소위 산전수전 다 겪은 경력자로서 그 파이널에 있는것이고, 글쓴분은 젊은나이에 박사 따낸것 이상의 장점은 없는채로 그 사람과 경쟁을 해야된다는거죠.
요약해서, 일찍 박사따면 그 다음 스펙을 쌓을 기회가 많아져서 1차적으로 좋습니다. 그치만 학위가 끝이 아니니 더욱 좋은 스펙을 "과정으로써" 쌓는 시간을 갖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George Minot*

2019.10.27

그러니까 박사를 일찍 따면 무.조.건 유리한데 왜 자꾸 엉뚱한 소리를 하는건지 모르겠음
회사를 가건 학교를 지원하건 뭘 하건 남들보다 빨라서 불리한건 단 하나도 없음

오히려 나이많은 국박은 비슷한 나이 해외파대비 임용시장에서 메리트가 없고
회사에서도 나이많으면 안뽑기에 임용 기회 자체가 훨씬 적어짐

2019.10.29

박사학위 빨리 따는건 좋은거구요. 연구원으로서 경쟁력을 갖추는건 별개의 문제입니다.
아시다시피 박사학위자도 널리고 널린지라 본인 자체가 스페셜 해야 겠죠. 그렇게 되기 위한 진로를 잘 생각해 보시면 될듯 합니다.
Paul Verlaine*

2019.11.05

어리면 무조건 좋지ㅋㅋㅋㅋㅋㅋㅋㅋㅋ 비추들 뭔데 ㅋㅋㅋㅋㅋㅋㅋㅋ
남들 박사 졸업할 몇 년동안 포닥해도 실적부터 넘사벽아님?ㅋㅋㅋㅋㅋㅋㅋㅋ
부러운 건 나도 부러운데 부러우면 자극만 받고 가라 그냥 ㅋㅋㅋㅋㅋㅋ
비추가 뭐냐 비추가 ㅋㅋㅋ 열등감에 비추 찍겠지 ㅋㅋㅋㅋㅋ 한심

IF : 1

2019.11.05

당연히 어린게 좋습니다. 위에 smith 님 의도가 뭔지는 알겠는데 34 살 박사가 28 살 박사보다 메리트가 있는 경우는 없어요. 나이외에 다른 조건이 다 똑같다면 말이죠. 다른 조건이 (예를 들어 경력이라거나 논문 수) 달라지니까 34 살 박사가 좋다는 말은 논점을 흐리는 말입니다.
John Bardeen*

2019.12.29

근데 너무 빨리 딴 사람들 보면 물박인 경우가 많음. 글쓴이는 본인 실적도 전공도 이야기 안하고 나이 이야기부터 하는데 나이로 나이 많은 대학원생들 속 긁어볼려는 낚시글같음.
George Minot*

2019.12.29

빨리따면 무조건 좋음. 좋은데 가서 포닥하면 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