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운좋게 카이스트 AI는 합격했고, 서울대 데싸는 2차 면접을 본 학생입니다. 저의 본가가 서울이기도하고, 대학원 생활을 서울에서 하고 싶어 서울대학교에 합격한다면 진학을 하고자 합니다. 하지만 주변 지인들은 서울대 데싸는 전문 석사과정이기도 하고 아직 교원들도 다 확보하지 못했으니 그냥 카이스트에 진학하라고 하십니다. 다들 서울대 데싸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19.11.12
학계에 남고싶으시면 전문석사는 아닌것같고, 석사 후 취업하실거면 가는것도 괜찮을듯? 단, 2년뒤에도 빅데이터가 핫해야 하니 도박성이 좀 있음
2019.11.12
서울대 추천합니다.
서울대가 낙성대벤쳐밸리?를 조성한다는 말도 있고... 기업이 많고 인프라가 우수한 서울에서 AI관련 대학원 생활을 하는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카이스트 던 서울대 던 AI관련 대학원은 둘 다 이제 막 시작한 상태여서 교내 인프라나 교원 상황?은 비슷비슷할거 같습니다.
2019.11.12
데싸하고 ai대학원하고 커리큘럼 자체가 틀린거같던데요. 서울대도 따로 ai 대학원 만들려고하는거같고. 연구분야 맞춰서가세요
2019.11.12
저도 이번에 카이스트ai대학원합격했는데 서울대 데싸는 관심만 갖고 그냥 pass~요(너무 틀이 없이 시작하는 신생대학원이라 더욱요)ㆍ최소한 카이스트 ai대학원 교수진이 모두 최고 수준이신것과 더불어 개인적으로 인공지능분야로 진로를 정할꺼라 망설임없었슴다ㆍ
2019.11.14
일단 본인이 진학하기를 희망하는 분야에 대해 이해를 하실 필요가 있을 거 같네요. Data Science란 것은 굉장히 막연한 말이고(전문석사인 걸 봐서 안 좋을 거라 짐작이 바로 갑니다만), 요즘 유행하는 AI는 Machine Learning 분야 안에서 고전적인 통계기법과 분리되어 나온 Deep Learning을 해서 얻는 결과물입니다.
Deep Learning 분야에서 중요한 건 모델을 설계할 수 있는 수학적인 이해도와 적성이 있는지, 또는 거기에 투입될 엄청큰 데이터를 다루는 엔지니어로써 CS 지식과 프로그래밍의 소양이 있는지가 중요한데 본인이 어떤 쪽인지 잘 생각해보고 맞는 커리큘럼이 있는 곳에 진학하길 바랍니다.
소위 한국에서 Data Scientist라고 자칭하는 사람들을 보면 이도저도 아닌 산업공학과 같은데 나와서 BI를 도출한다며 survey나 하고 앉아있고 한심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Machine Learning Researcher나 Machine Learning Engineer, Data Engineer를 목표로 하세요.
대댓글 2개
소심한 아리스토텔레스*
2022.02.15
이분 전공자 맞나요? Data science가 더 메인스트림에 가까운 개념인데... 딥러닝 같은 경우에는 패턴인식의 한 분야로 취급되는 추세고요. 그리고 ML 리서처랑 데이터 엔지니어는 상당히 거리가 있습니다. 저 셋을 같이 언급하신거 보면 이쪽 분이 맞는건가 의구심이 드네요.
2025.01.27
Survey나 하고 앉아있고 한심한 사람들이라 말하는건 조심해야될 것 같아요. 그쪽보다 수학 및 통계 이론 탄탄하고 컴퓨팅 잘하는 사람들은 그쪽을 근본도 없이 딥러닝 따라해보는 한심한 사람들 중 하나라고 볼 수도 있어요.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이는거 아시죠? 참고로 서베이 제대로 분석할 수 있는 사람 해당분야 박사급 아니면 정말 드뭅니다.
2020.05.01
제생각은 윗분과 전혀다른데요.
딥러닝,AI한다고 하시는분들중에 수학 제대로 못 하시는 분들이 대다수입니다.
프레임워크홈페이지 튜토리얼 이나 ‘딥러닝 기초주터’류의 책으로 수식몇개 보신분들이 대다수입니다.
특히 윗분께서 추천하신 자칭 딥러닝 ’엔지니어들’ .. 수리통계내용 논문에 나오면 안읽거나 네이버 블로그로 배우는 실정이죠.
엔지니어 할거면 굳이 대학원 가지 않아도 현업수준의 엔지니어링은 경험으로 차고넘칩니다.
서울대 데이터 사이언스대학원 커리큘럼에 수학과목이 대다수인 이유는, 수준높은 논문들은 코드 짜고 엔지니어링만해서는 구현이 안됩니다. 그대로 실험도 못해보죠.
전 서울대 데싸가 추후네임벨류 뿐아니라 AI에 대한 지향점이 아주 올바르고 유망한 학과라고 생각합니다.
2023.04.28
혹시 어디로 진학하셨나요?
방탕한 아인슈타인*
2023.08.08
전문석사인지 뭔지 아무도 신경 안씀. 파트타임만 아니면. 논문 똑같이 쓰고 코스워크 똑같이 받는데 뭔 상관. 그 차이를 제대로 아는 사람도 없고.
2024.02.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김박사넷 수준 심각하다 진짜 요즘 왜이럼? 사이트 이름만 김박사넷이고 사실상 걍 타이틀 약빨 다떨어진 4050 모임같음
2019.11.12
2019.11.12
2019.11.12
2019.11.12
2019.11.14
대댓글 2개
2022.02.15
2025.01.27
2020.05.01
2023.04.28
2023.08.08
2024.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