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부생 때부터 느낀건데

상처받은 박경리*

2021.06.11

20

5173

우리나라 국가과제 연구비 제도는 왜 이따구인지 모르겠음
이번에 정출연에서 일하면서 인건비 조금 받으려는데 어떤 사람은 되고 어떤 사람은 안되고 이럴 땐 무슨 항목으로 줘야되고.
무슨 항목 수가 거의 연구과제 한개마다 회계사 한번씩 불러서 회계처리 해야될 정도임
인턴 단기계약직 직고용하려니까 그거 몇달 일하는데 공채 내야된다고 하고 뭔 규제가 이렇게 많은지 모르겠음
학부 때도 연구비 쓰다가 항목 해당사항 조금 안 맞는다고 불려가서 사유서 쓰고 돈 물었는데 이건 언제 바뀌냐 진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상처받은 박경리작성자*

2021.06.11

올해부터는 연구참여하면 뭔 연구노트를 필수로 쓰라고 얘기가 돌지를 않나 규정 만든 사람 본인부터 출근일지 쓰길 바람.

대댓글 4개

2021.06.11

연구노트는 근데 당연히 써야죠
취한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1.06.11

이론 연구하는 사람인데, 연구노트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음.
상처받은 박경리작성자*

2021.06.11

연구노트는 당연히 쓰신다는 말씀이, 제출을 목적으로 서면/전자연구노트를 쓰는게 연구활동에 도움이 되신다는 건가요? 누구는 머릿속에 다 집어넣고 다닐수도 있고, 누구는 실험 코드로 커밋기록으로 대체도 가능하고 누구는 슬랙 노션 같은 협업 툴로 연구를 기록하는게 더 생산적일 수 있는데 연구노트가 편한 사람만 하면 되지 않을까요.

2021.06.12

솔직히 연구노트 손으로 일일이 쓰라는거 좀 구시대적이라고 생각함.

IF : 5

2021.06.11

연구참여하면 연구노트는 필수로 안 정해도 당연히 쓰는건데요........
그리고 보통 행정적인 여러 제약사항들은 그런 게 없었을 때 관련된 사고가 터졌거나 해서 보완책이랍시고 생기는 경우가 많아요. 없어지진 않습니다. 당연히 쓰는 연구노트 누가 안써서 뭔일 났던건지도 모르겠네요.

대댓글 2개

상처받은 박경리작성자*

2021.06.11

연구노트 쓰라고 하는데 다른 사람 아무도 안쓰고 저 혼자 써서 과제 종료 때 제출한 적은 있었고요, 연구노트 쓰던 말던 신경 안쓴 과제도 있고 그랬는데 올해부터는 규정 강화되어서 바빠죽어도 유동적으로 조정하는거 안되고 정확히 정해진 날짜 정해진 시간에 써야되는 것 같던데요? 바뀐 규정 직접 겪어보지는 않았네요.

IF : 5

2021.06.11

다른분들 아무도 안썼다는건 그동안 그런 문화가 만연했었나보네요... 규정 만드는 쪽에선 최대한 타이트하게 해놓고 봐야지 자기들 면피가 가능하니 그렇게 되곤 하죠. 그쪽 편드는게 아니라 지켜보다보니 공공기관/행정/관리쪽은 그냥 그렇게 돌아가더라고요......

2021.06.11

남들은 최저임금 따질 때, 최고임금 정해져 있는게 제일 어이없죠. 심지어 임금 인상도 안되는게 참...

대댓글 2개

상처받은 박경리작성자*

2021.06.11

그리고 과제 참여 안하면 졸업 안시켜준다는 곳이 있질 않나, 연구비 조금이라도 받으면 겸직은 안되고. 겸직하더라도 수입이 인건비 상한 넘어가면 연구비 안주고. 진짜 양아치들입니다.
상처받은 박경리작성자*

2021.06.11

임금 상한 정해놓고 다른 방법으로 돈 벌지도 못하게 막으면 연봉 경쟁도 안되고. 사실상 국가적 수준의 갑질이죠.

2021.06.11

다른건 아직 안겪어봐서 모르겠는데 인건비 상한은 정말....후.....다른 나라 대학원생들도 이렇게 사는지ㅠㅠ

대댓글 2개

IF : 5

2021.06.11

지금도 그런지 모르겠는데 전 하한도 의미없었어요. 참여율 100%인지 하한인지 암튼 정해진 것보다 못받아도 괜찮습니다하는 각서 써서 내면 덜받는거 가능☆

2021.06.11

헐.. 진짜...극혐이네요.....ㅠㅠ
밝은 막스 베버*

2021.06.12

으휴... 연구노트는 쓰는거야...제출을 하든 안 하든 ..
습관 안 든 본인 탓을 해야지....

대댓글 3개

상처받은 박경리작성자*

2021.06.12

학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지신게 맞나요?
밝은 막스 베버*

2021.06.13

원리원칙 지키는 게 쉽진 않죠 ? 그래도 지켜야하는 겁니다
상처받은 박경리작성자*

2021.06.13

저는 원리원칙 잘 지키는데요? 원리원칙을 바꾸고 싶은건데요?

2021.06.13

연구노트는... 과제 때문이 아니더라도 authorship이나 논문조작 및 표절 등 시비에서 만국 공통으로 사용되는 증거라서.. 그렇게 전투적으로 얘기할 건은 아닌거같은데요?

대댓글 1개

상처받은 박경리작성자*

2021.06.13

누가 연구노트 안쓰겠다고 했나요? 연구노트는 본인이 알아서 쓰고 쓰지 않으면 그에 따른 법적 문제도 스스로 책임지는거죠. 그리고 꼭 정부에서 정한 형식의 제출 목적의 연구노트 형태가 아니어도 연구 과정을 기록할 수단은 많고, 법적 증거를 만들 방법은 얼마든지 있는데요? 하다 못해 연구관련 논의에 이메일을 사용하면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대 중반 후부터 법적 증거로 쳐주는데, 연구노트규정처럼 그런 것까지 강제를 하는 행정처리에 대해 욕하는 건데요? 그렇게 전투적으로 트집잡을 건 아닌거같은데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