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I 붐 언제까지 갈까요?

엉뚱한 버지니아 울프*

2021.06.15

9

3948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학부 4학년으로 내년에 자연어처리(NLP) 분야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제가 느끼기에 현재 상황을 봤을때는 석사까지 하고 취업하는데는 무리가 없을 것 같은데, 박사 받고 나온다고 생각하면 그때는 이 분야 상황이 어떨지 잘 모르겠어요. 저는 4급이고 전문연 할 예정인데, 박전연이 맞을지 석전연이 맞을지 고민입니다.
제가 s대를 1순위로 생각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석박통합 위주로 선발을 하는 곳이다 보니 석박통합으로 지원해야 할 것 같은데 정작 박사 받고 나왔을 때 저를 데려가줄 곳이 없다면 곤란하니까요...

물론 7~8년 뒤의 일이니 당장 예상하기는 어렵습니다만... 선배님들께서는 AI라는 필드의 인기가 어느정도 지속될거라고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즐거운 찰스 배비지*

2021.06.15

AI 인기는 지속되는데, 실력있는 사람에게 배우냐 아니냐에 따른 아웃풋 차이가 타 분야보다도 극심할 겁니다.
이 분야 문제가 cs 분야 특성상 진입장벽이 없는데다가, 이웃분야 사람들이 자꾸 건드려보기 좋아서 제대로 배우지 않으면 전공했다는 메리트가 사라지고 어중이떠중이가 돼버립니다.

대댓글 2개

2021.08.08

cs가 진입장벽이 없는게 아니라 머신러닝,빅데이터가 cs지식보다는 수학적 지식과 역량이 필요해서 수학과,통계학과,산업공학과,기계공학등과 같이 수학적 백그라운드가 있는 전공이면 cs지식이 없어도 진입하기 수월함

2021.08.08

거의 cs에서만 다루는 주제들 ex)컴파일러,os,컴퓨터 아키텍처,그래프 이론 등... 보면 다른분야에서 건드려보기 좋다는 소리 나오기 쉽지않음

2021.06.15

자연언어처리 내에도 여러 세부분야가 있을 수 있지요. 담화분석이라던지 Legal document 해석이라던지 연관이미지/비디오 검색 등등.. 모든 subfield가 단 시간 내에 포화되지는 않을겁니다

2021.06.1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앞으로 모든 분야가 AI랑 연계발전

2021.06.15

NLP 분야에서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인데 이제 마냥 ML 할 줄 안다정도는 크게 경쟁력이 못 되는 것 같아요. AI 자체는 CS라기보단 사실 수학에 가깝기 때문에 수학을 이용할 수 있는 어떤 학문에든 적용될 수 있으니까요. 확실히 타 전공에서도 진입 장벽이 좀 낮은 감이 있죠. 그래서 할거라면 아예 확실하게 수학적인 베이스를 정말 탄탄하게 쌓아서 research면에 있어서 경쟁력을 갖춘 뒤 학계로 나가든지(박사 취득은 당연히 디폴트로 전제하고) 아니면 차라리 시스템 또는 코딩적인 베이스를 쌓아서 제품을 잘 설계하거나 프로그램 개발을 주력으로 하는 엔지니어링 쪽으로 진출하든지, 본인의 specialty를 명확하게 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2021.06.15

전문연은 걱정 ㄴㄴ
어차피 설카포면 손만 있으면 뽑아줌
엉뚱한 버지니아 울프작성자*

2021.06.15

선배님들 조언 감사합니다!

2021.06.18

NLP 분야 교수입니다. 길고 긴 암흑기를 지나서 딥러닝으로 점차 바뀌고 난 후 NLP가 많은 뜨는 추세고 5-7년까지는 상승세로 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