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왜 쫓아냈어요 ㅠㅠ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29 - 그래서 저는 처음 한학기는 잡일 뺑뺑이 시킴요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8 - 과거에 천문학계에서 계산을 담당하던 계산원, 즉 컴퓨터라 불리던 사람들은 기계로 된 컴퓨터가 나오면서 직업의 이름을 물려주고 물러나야 했습니다. 그들 중 상위 1%는 커녕 지금은 누구도 컴퓨터라는 이름으로 일을 하지 않지요. 그러나 컴퓨터로서 일을 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해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생겨난 건 아니었습니다. 그때라면 계산원을 수행했을지도 모를 사람들이 지금은 다른 일을 하고 있지요. 이를테면 대학원의 학생이 되어서 컴퓨터에게 계산을 시키는 일을 한다든지 말이죠. 즉, 기술의 발전이 무작정 일자리를 빼앗는다기 보다는, 일자리의 질을 향상시켜 주는 부분도 있다는 겁니다.
인공지능이 박사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 정도의 능력을 가지게 된다면 기존의 박사들은 그 인공지능을 가지고 다른 일을 하게 될 겁니다. 기술의 발전이 일자리를 빼앗는 일은 결코 하루아침에 일어나는 게 아닙니다. 일자리를 빼앗긴 사람들을 탓 하거나 비난할 생각은 없지만 보통 그런 비극은 나날이 발전하는 기술에 전혀 관심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다가오는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서 일어나는 겁니다. 노인이나 저임금 노동자, 기술지식 접근성이 취약한 사람들이라면 그런 기술 변화에서 생기는 비인간적인 비극으로부터 일정부분 보호해야 할 도리가 있겠지만, 적어도 대학원생이 만약 그런 일을 겪는다면 그건 그저 학계의 움직임에 둔감했을 본인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그러니 잠못이루고 걱정하기보다는 많이 보고 듣고 준비하시는데 시간을 쓰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사람은 누구나 언젠가 죽을텐데 그게 걱정되어서 아무것도 못하는 게 아니듯이 말입니다.
AI가 근미래에 웬만한 박사를 대체할 수 있을까요?
21 - 집착이 없는거죠 이거 안해도 다른거 할일 많다 마인드 참 쓰레기 같은 마인드 같아요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6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6 - 어그로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진짜 세탁하려면 하버드 mit 이런데를 가세요..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K대학원은 잡대 학부도 다오는데 무슨 세탁?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1 - 1.인정. 서울대 학석박인데 실적없는 물박사들 너무 많음. 그냥 서울대 쩌리들이 갈 곳 없어서 대학원 가는 느낌. 실적좋은 비서울대 학부 선호.
2.인정. 테뉴어 받으시고 꾸준하게 연구지도 하는 교수님들은 그냥 무조건 리스펙. 보통일이 아닌데 열정이상의 노력이 필요.
3.다 인정하는데 마지막문장만 인정X. 과탑했으니 SKP에 가는것은 본인만의 특권입니다. SKP에서 만나는 인맥과 연구시스템은 매우 훌륭합니다. 교수님때문에 자퇴를 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SKP는 충분히 도전할만한 학교이고 경험해볼만한 학교입니다.
4.인정. 한국학생들의 고질적인 병이 수동적인 태도입니다. 무조건 떠먹여주실 바라는건 대학원생이 아니죠. 실패하더라도 하나씩 부딪쳐보고 해결해나가고 배우는 과정의 연속이라 생각.
5.최근에 임용되신 조교수님들 찾아가서 상담을 받는것은 무조건 추천. 엄청난 실력자임과 동시에 제가 본 대부분의 분들도 매우 훌륭한 트레이닝을 받고 인성도 좋으신분들임 (물론 나중에 테뉴어를 받으면 착취형 교수로 돌변하겠지만 ㅋ)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3
생명 분야 대학원 진학 고민입니다.. (P vs YK)
2021.07.02

석사 후 제약회사로 취업하는 게 목표라 저번 달부터 대학원 랩실을 찾는 중인데, 2가지 선택지가 생겼습니다.
첫 번째는 최근 자대 대학원 교수님께 컨택했는데 지금은 석사 자리가 없고 내년 2학기에 입학하면 받아주실 수 있다고 해서, 한 학기 동안 졸업유예하고 인턴생활+영어공부하면서 대학원 입학을 준비하는 케이스입니다. 잠깐 뵀긴 했지만 교수님께서 인성이 좋으신 분 같았고, 대기업과 협업을 많이 하셔서 등록금 정도는 해결될 듯 합니다. 단백질 랩이라서 제약회사 취직도 수월할 것 같고요. 아무래도 자교이다 보니 학교 환경에 이미 익숙한 것, 주변에 도움을 주고 받을 동기들이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
(같은 학과에는 이 교수님과 유사한 연구를 하시는 분이 거의 안계셔서, 자교 대학원으로 바로 입학하려면 아예 다른 분야 랩으로 진학해야 합니다.)
두 번째는 P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방법입니다. 분야는 똑같이 단백질 랩이고 빡세게 연구하시는 교수님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직 컨택 답장은 받지 못했지만 이 곳으로 진학하면 제때 졸업할 수 있고 금전적인 걱정은 없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쪽 지역 근처에 본가가 있어서 지방 생활도 크게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 대신 새로운 대학 시스템에 적응해야하는 것과 빡센 교수님 밑에서 빡세게 학위를 따야한다는 것이 조금 걱정이 됩니다. 또, 취업 시장에서 포스텍 석사와 YK 석사의 차이가 큰지 잘 체감이 안되어서 굳이 포스텍 대학원으로 가야하나 하는 생각도 들고요..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대학과 K대학 김GPT 4 35 4923-
4 18 11437
설카포 고민(좀 길어요) 김GPT 0 15 9986
PK 대학원 결정 고민입니다. 김GPT 1 10 4652
S 자연과학 vs YK 공학 김GPT 0 12 6075-
0 9 4031
생명공학 대학원 성대vs 연고대 김GPT 1 10 3862-
0 14 3691
K vs P 고민입니다 김GPT 2 14 2098
대학원생 예절에 대해 쓴 글 보고... 명예의전당 164 10 28623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명예의전당 1018 72 178513
우리 교수님 솔직히 너무 좋음 명예의전당 274 46 86702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21.07.02
대댓글 2개
2021.07.02
2021.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