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번아웃와서 연구 안하고 김박사넷만 오지게 읽고있는 대학원생입니다 ㅋ. 요즘 학부분들이 ai 대학원 물어보는 사람 엄청 많은디 ㅋㅋ 주변에 보면 확실히 요즘 지원도 빵빵하고 대학원에서 제일 잘나가는 전공인거 같긴 함. 카이스트 ai가 요새 좀 치나보던데 밑에 새로 오시는 교수님 훌륭하다는 댓글도 많고. 객관적으로 어느 정도인지 궁금하네 sp에 비해서 유의미하게 차이나는 클라스인지, 미박 수준이랑 비교하면 몇 등 정도 하는거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1.07.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ㅎㅎㅎ 카이가 몇년새 잘나가기는 하는 모양
배터리분야도 네이처에 논문내고 기다리고 있고
Ai도 실적이 탑급이고...한국에도 잘 나가는 대학원이 많이 나와야죠
대댓글 1개
옹졸한 맹자*
2021.07.22
자연과학은 언제쯤 잘나갈런지..
2021.07.22
자연과학은 좀 더 근본있는 학문분야라 역사도 길고, 선천적으로 머리 좋은 천재형 학부생 공급이 있는 서울대가 하는게 맞는거 같아요. 카이스트는 공부를 꾸준히 열심히 한 성실한 학생이 많고, 전반적인 규모가 크기 때문에 인공지능이나 에너지 같이 속도전이 중요하고 경쟁이 치열한 첨단 응용과학에서 두각을 나타내 주는게 맞는거 같고요.
대댓글 6개
2021.07.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공감
옹졸한 맹자*
2021.07.22
카이스트가 공부를 열심히 한 학생이 많다는건 근거가 뭔가요..? 제가 보기엔 서울대가 더 공부도 열심히 한 학생도 많고 더 똑똑한 사람도 많은거 같은데
IF : 1
2021.07.22
이 분 글은 대학원생 특징인거 같은데요? 실제로 카이스트 입학생들이 학점~석차 같은 성실성 지표에서 높다고 많이들 얘기합니다.
2021.07.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 반대 아닌가? 카이스트는 과고에서 설렁설렁 해도 감
청승맞은 에르빈 슈뢰딩거*
2021.07.22
서울대에 공부 열심히 하고 머리 좋은 학생들 더 많지 않을까 싶음.
자그마치 서울에 있는데, 나라도 서울대랑 카이스트랑 합격하면 서울대 가겠는데.
2021.07.22
카이스트가 단순히 성실히 공부 열심히 한 애들이 가고 속도전에 유리하다? 이게 무슨 정신나간 일반화인지...?
진지한 존 내시*
2021.07.22
솔직히 근데 AI 쪽은 아직 외국이 훨씬 잘함. 컨퍼런스 발표수로만 따지만 한국이 승인데 연구 하나하나의 임펙트까지 따지면 미국 탑 30도 못 따라감 ㅠ. 그래도 어마어마한 분들 많이 들어오시니까 향후 10년 뒤에는 많이 따라가리라고 봅니다
대댓글 5개
2021.07.22
이게 제일 정확한거 같습니당. 논문 수에 비해서 임팩이 좀 없지요. 그나마 위안 삼는 논문수도 nips-iclr-icml 이렇게 딱 대표 세 곳만 따지면 거의 카이스트가 8할 이상하고 있어서 다른 학교들도 좀 분발헀으면 좋겠어요. 아 물론 논문수가 많은 것 자체로도 훌륭한거는 맞습니다. 저번에 누가 올려준 글 보니 논문 수로만 따지면 외국 학교 다 포함해서도 탑10 안에는 들더군요. 피죽도 못먹던 나라가 월드 무대에서 이 정도 하는게 부끄러운것은 절대 아니라고봐여.
청승맞은 에르빈 슈뢰딩거*
2021.07.22
딱히 카이스트가 미국 탑30 보다 좋다고는 생각하진 않는데,
문뜩 거슬려서 그러는데 하나하나의 임펙트를 탑30에 대해서 따져본적이 있긴 함?
카이스트가 못 따라가는 탑30 부근의 학교는 어느 학교임? 이런 댓글 보면 진짜 따져보고 하는 말인지 궁금해서
2021.07.22
미국 탑스쿨 졸업후 미국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요즘 미국 임팩트 있는 논문들 보통은 빅테크나 탑4에서 나옵니다. 탑10에서도 간혹 나오는데 드믈구요. 탑10 밖으로만 나가도 생각보다 드믈게 나오구요. 탑 30급 학교에서는 거의 본적 없구요. 가끔 젊은 교수가 영혼을 같이 갈아넣어서 만드는건 봤습니다. 사실 임팩트 있는 논문은 일년 따져봐도 많이 나오지 않아요 (기준이 다르긴 하겠지만요.)
요즘 실적만 보면 한국 학교들이 잘하고 있는건 사실입니다. 실적만 보면 미국 20위권과 비슷해요. 논문수 임팩트 포함해서요. 단지 유학을 나오는것과 한국 학교에서 있는건 실적을 떠나 여러가지로 조금 다른 문제입니다.
2021.07.22
정확히 같지는 않겠지만 굳이 비유하자면 국제전에서 일본한테 야구로 이긴 거랑 비슷한 느낌이 아닐까 싶어요.
(물론 학계가 스포츠처럼 승부를 겨루는 느낌은 아니니 조심스럽습니다만)
비록 특정 정량적 수치에서 앞섰더라도 아직은 '한국이 일본보다 야구 잘한다!'라고 이야기할 수 없는 유무형의 무언가가 있으니까요 (인프라, 전통과 문화, 기타 등등).
그래도 열정있는 학생들과 월클 교수님들이 힘을 합쳐서 계속 노력한다면 좋은 성과가 있지 않을까요??
저는 타분야 전공자이긴 하나 카이스트 AI대학원을 포함한 국내 인공지능대학원들이 진심으로 잘 됐으면 좋겠습니다.
2021.07.22
음 글쎄요. 미국 학교가 특별해지는건 미국의 job 시장이 너무 좋기 때문입니다. 아시다시피 미국에서 학위를 하면 opt를 써서 학생비자로 취직이 가능하구요. 그리고 상대적으로 미국 탑테크 회사 인턴쉽이나 다른 학교와 콜라보 할 기회도 많구요. 유럽이나 다른나라 좋은학교들과 비교해서도, 미국에서 학위를 하는것이 조금 유리해질 수 있는 이유인거 같습니다.
제 생각엔 굳이 미국 학교들과 순위경쟁을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순위를 따지기도 애매하구요. 한국학교들 너무 잘하고 있습니다.
2021.07.22
근데 글이 좀 4가지 없는 투로 쓰였긴한데 비추받을 글까지는 아닌거 같은데 원래 다르게 써있었나요? ㅎㅎ 혹시나 타학교 비방같은거 하지 맙시다.
2021.07.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카이스트 자대생들도 우수하지만 상위권공대(연고한성서)에서 최상위권하던 정상급 학생들도 오고하니 시너지 효과로 서로 협력하고 잘 해나간다는 소리도 들림
대댓글 1개
IF : 1
2021.07.22
제 말이 이건데 위에 사람들은 뭔 학부 입학생 얘기하고 있네요 여기 진짜 김학사넷인가 ㅎㅎㅎ 연고한성서 최상위권들은 거의 다 카이로 갑니다.
2021.07.22
대댓글 1개
2021.07.22
2021.07.22
대댓글 6개
2021.07.22
2021.07.22
2021.07.22
2021.07.22
2021.07.22
2021.07.22
2021.07.22
대댓글 5개
2021.07.22
2021.07.22
2021.07.22
2021.07.22
2021.07.22
2021.07.22
2021.07.22
대댓글 1개
2021.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