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K는 유니스트든 무슨 ist에 관심 없다구요; 왜 혼자서 화나서 난리세요. SPK든 하버드든 어디든 소속보다 본인 성과가 100배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왜 대학원학벌로 자꾸 싸우려드는지 모르겠는데 먼저 글썼으니 나도 글 씀.
연대가 서성한이랑 입결 겹친다?
=>연대도 서울대랑 입결겹침
내가 대학진학 당시 같은과기준 서울대랑 연대 점수차이보다 연대랑 서성한 점수차이가 더 컸음.
입결겹치면 수준비슷한 대학이라는 개논리면 서울대=연세대=서성한=중경외시 겠네?
마치 키 1cm차이는 미미한거니 180cm=179 =... =160cm 같은 논리지 그게
유니스트는 규모작은데도 대학평가 우위에있다?
일단 규모가 작으면 당연히 교수1인당 성과가 높음. 핵심학과만 운영하니까. 우리나라도 GDP 10위이내이지만 1인당 GDP로 따지면 순위 쭉 떨어짐.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싱가폴에 개 밀림. 규모가 작은곳이 인당 소득이든 인당 성과든 높은게 지극히 당연하지.
연대든 고대든 종합대학인데 당연히 규모 몇배큰데 성과는 그만큼 안나오더라 하는건 무식한소리지. 문과랑 예체능에서 논문성과가 제대로 나오겠냐. 핵심학과만 비교해서 유니스트가 진심 연대보다 위라고 생각함? 연대에서 성과 잘내는 교수는 한국전체에서도 탑티어교수이고 Nat Comm 이상 매년뽑는 교수가 연대에 얼마나 많은데 알지도 못하면서 무시하는지 모르겠네.
그리고 그 잘난 THE 대학평가 하나 가지고 물고늘어지는데 QS에서 2021 연고대가 70위권이고 유니스트가 아마 200몇위였다지. THE 대학평가는 신뢰도없기로 유명하고.
유니스트에 관심 전혀 없으니 근거없는 이상한 시비 털지 마세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옹졸한 에르빈 슈뢰딩거*
2021.07.29
막말로 정말 유니스트가 더 우수하다면 삼성전자에서 연세대 제치고 유니스트 먼저 반도체학과 만들어줬겠지 ㅋㅋ
2021.07.29
지금 연대랑 성대 절반이 겹치는데..
나른한 피에르 페르마작성자*
2021.07.29
다시한번 얘기하는데 난 대학원서열 관심없음
본인이 잘하는게 중요함
그리고 유니스트 규모에 비해 성과 좋은거 맞고 급성장하고 있는거 맞음.
밑에 글에서 납득할 수 없는 부분 글 쓴거 뿐임
그리고 규모도 해당대학의 경쟁력 중 하나임.
서울대가 규모가 연고대에 비해 압도적으로 큰데 (면적이든 교원수든 여러모로) 아무도 거기다 대고 연고대가 서울대 규모였으면 서울대 이긴다는 사람 없음.
유니스트가 규모에 비해서 성과 뛰어난건 팩트지만 그걸 기반으로 연고대같은 종합대학을 규모만 크고 평균성과 낮다고 깐다? 규모작은건 단점인거지 규모큰곳을 무시할 근거가 될 수 없지. 유니스트가 규모키운다고 규모키운만큼 성과 내리란 보장도 전혀 없고 연고대의 성과 잘내는 핵심학과만 비교하면 유니스트한테 평균실적 밀린다고 할 수도 없지.
대댓글 3개
2021.07.29
ㅋㅋㅋㅋ 여기서 연대랑 유니스트 싸우는게 진지하게 논리로 싸우는거라고 생각함? 밑 글 하나에 어그로 끌려서 ‘유니스트 관심 없다구요’라는 식으로 내리치고 있으면서 서열 관심 없다는건 또 뭐임? 니가 여기 상주하면서 어그로 끄는 애들이랑 다른게 뭐냐?
나른한 피에르 페르마작성자*
2021.07.29
님처럼 무논리인 사람이 어떻게 대학원에서 연구할지 눈에 훤하군요~! 쓸데없는 글에 휘둘리지 말고 본인 앞길 걱정하길 바랄게요~^^
2021.07.29
뭐가 무논리라는거여 ㅋㅋㅋㅋㅋㅋ
우아한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1.07.29
애초에 먼저 시비건게 yk인데요? 한국이 스위스보고 ㅈ밥나라라고 까니까 이러는거 아니겠습니까
대댓글 1개
나른한 피에르 페르마작성자*
2021.07.29
스위스글 본 기억있긴한데,
YK만 스위스까고 나머지 출신들은 단 한명도 스위스 안깠나요? 난 그 글 댓글 안달았습니다만 거기서 다들 출신밝히고 스위스 까지는 아닌걸로 압니다만
객관적으로 YK에서 잘나가는 교수진들 많긴하지만, 늙어서 연구욕심없는 분들 솔직히 너무 많음. 과기원들이야 학부과정 생긴지 얼마안됐고 태뉴어기준을 빡세게정하니 젊고 연구욕심있는 교수진들이 대부분이라서 성과가 잘나오는거지, 솔직히말해서 학생들 수준때문에 잘나온다고 생각하나요.. YK도 학생 졸업기준을 높이려고만 하지말고, 젊은 교수진들로 공격적으로 세대교체 하는게 더 도움될것 같음. 근데 뭐 세대교체는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될일이니 잘될거라 생각함. YK도 대부분 잘하는랩들보면 15년안된 젊은 교수진이 많긴함.
대댓글 1개
나른한 피에르 페르마작성자*
2021.07.29
님이 정곡을 찌르셨네요. YK에서 잘나가는 교수님들 대부분 젊고 열정적임. 최근 임용된 분들 바이오계열 기준 NSC 2편씩 냈던 분들임. 이런 랩은 교수 실력도 좋고 열정적이니 자연히 뛰어난 학생들 몰려서 금방 Nat Comm같은 논문 나오기 시작함. 근데 YK의 반이상은 이미 테뉴어 받고 열정 없이 그냥저냥 시간만 보내는 교수들임. 이런 분들은 수십년전에 Nat Comm 한편으로도 교수된 분들 많고 그동안 연구 열심히 안해서 안타깝지만 실력이 많이 뒤떨어지고 도태되신 분들임. 그런 랩에서는 좋은 논문이 나올 수 없음. 유니스트야 당연히 얼마 안되었으니 교수진들 실력과 열정 넘치고 그래서 성과 잘 나오는거구. 그렇다고 유니스트가 연대를 평균실적으로 깔본다거나 연대가 유니스트를 무시하면 안되는거고.
연대도 앞으로 세대교체되면 성과 높아질 가능성은 있음. 그때까지 지금의 젊은 교수들이 도태되지 않는다면.
너무 한쪽으로 치우친 글 같네요. GIST, UNIST 학생들도 yk에 관심 없어요 ㅋㅋ 단지 yk든 UNIST, GIST든 각 두 학교에 분탕질하는 소수의 사람이 문제인거죠 ㅋㅋ
2021.07.30
뭣하러 역사도 없는 그딴 개듣보 학교 뻘소리에 대꾸해주십니까. 심심하면 멧돼지새끼 기숙사 쳐들어오고 택시 타고 아파트단지까지 나가야 소주 한잔 할 수 있는 그런 촌구석 이름모를 학교ㅋㅋㅋ 개가 웃죠.
2021.08.01
정말 관심없으면 이런 글 자체를 쓸리가
나른한 시몬 드 보부아르*
2021.08.04
Unist는 국가에서 전략적으로 만든 대학임. 우리 나라에 이미 뿌리 깊게 자리잡은 사립 학교들을 견제하기 위해 생긴 곳이고, sky란 브랜드로 과학 연구비를 쓸어가는 것을 국립대로 돌리기 위해서 만든 학교입니다.
당연히 교수님들도 연구 특화로 뽑았고, 브랜드를 이기기 위해 학생 유치에도 거의 10년가까이 돈을 쏟아부어서 좋은 학생들의 진로를 돌리기 위해 노력했음. 궁극적으로 프랑스 같이 제 1대학 제 2대학등으로 평등 대학을 만들려고 밑밥을 깔았던 것이고, 그렇게 되려면 연고대같은 유명사립대는 사라져야 함. 현재도 지속적으로 그 과정을 진행하고 있고, 민사고가 괜히 사라지는게 아님. 자립형 사립고, 네임드 사립대들은 사라질것임
2021.10.15
다른건 모르겟는데 qs대신에 the가 신뢰없다니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오히려 요즘 the 랭킹을 더보는데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qs는 연구성과대신 평판만 보는 지표들이 우세라서 전통학교에 더 좋은점수주는지는 알까? 해외에서도 the를 더 봄 qs는 영국뽕+아시아대학뽕+평판으로만 평가 해서ㅋㅋㅋㅋㅋ
2021.07.29
2021.07.29
2021.07.29
대댓글 3개
2021.07.29
2021.07.29
2021.07.29
2021.07.29
대댓글 1개
2021.07.29
2021.07.29
대댓글 1개
2021.07.29
2021.07.29
대댓글 1개
2021.07.29
2021.07.29
대댓글 1개
2021.07.29
2021.07.29
2021.07.30
2021.07.30
2021.08.01
2021.08.04
2021.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