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떨리네요... 곧 서류 결과 나오는데
면접 준비도 손에 안 잡히고,,,
중경외시 상경/상경(부전) 4.41/4.5면 서합은 가능하겠죠?
면접 못보면 떨어질까봐 그것도 걱정이네요
혹시 과거에 면접 보신 분 계시면 어떤 방향으로 준비해야 할지 작은 팁이라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1.08.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생들이 연구시설, 환경과 지원이 좋고 인지도가 높은 카이스트 카이스트 해서 몰리는관계로 잘은 모르겠지만 1차는 되지 않을까요?
2021.08.02
저도 경공 지원했는데 너무 긴장됩니다.. 어떤 트랙 지원하셨나요..?
대댓글 2개
화난 존 내시작성자*
2021.08.02
저는 금융이요... 진짜 수학과 출신들 선호한다고 그래서 아무리 상경쪽으로 능력있다고 해도 떨어질까봐 걱정이네요
2021.08.02
아하.. 저는 경제 지원했거든요.. 경제는 뽑는 인원수가 너무 적다고 그래서 걱정돼요 ㅠㅠ 금융이 진짜 합격자분들 스펙이 대단하시다고 그러더라고요... 혹시 면접 준비 어떻게 하세요? 전 1차도 불확실하다고 생각해서 아직 준비를 안 하고 있거든요
2021.08.02
수학과가 많긴 해도 반 이상은 타과일 듯한데요 (금융)
중경외시 정도 되시는 분들도 계신 것 같고,
본인은 자대 수학과라 별 어려운 질문은 없었는데,
자기가 왜 수학, 통계 커리큘럼을 잘 따라갈 수 있는지 근거를 생각해가면 좋을듯
대댓글 4개
2021.08.02
면접 보통 몇 분 정도 이뤄지나요? 인성면접에 가까운 면접인가요??
2021.08.02
전 얼마 안한것같고 그냥 인성이었습니다.
좀 오래돼서 정확히 얼마걸렸는지 기억은 안납니다.
교수님들 판단에 따라 인성 외에도 질문 들어올걸요?
화난 존 내시작성자*
2021.08.02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선배님 경험상 코스웍 +알파로 충분히 수학/통계 베이스를 따라갈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참고로 기업재무쪽 관심이 있어서 asset pricing 보다는 수리적인 부분이 덜 중요하다고는 생각되는데 만약 교수님들께서 질문(수학 통계 관련)을 하셨을 때 이 부분을 언급하는 건 좀 어이없는 변명으로 들릴까요?
2021.08.02
무슨 뜻인지 이해하지만 그렇게 이야기하시면 기업재무 교수님께서 안좋아하실 것 같네요.
세부적으로 보면 기업재무에서도 게임이론, 계량경제학(endogeneity, …) 등 수학, 통계가 중요한 부분이 있거든요.
개인적으로는 상경베이스만으로도 충분히 따라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아무래도 첫해에 좋은 성적 받기엔 수학과가 유리한 것 같습니다.
관련 수강과목에서 잘 따라갔다 등 어느정도 객관적 근거가 있으면 좋겠네요.
저는 고학번이라 요새 경향은 정확히 모른다는걸 감안하시길..
2021.08.02
2021.08.02
대댓글 2개
2021.08.02
2021.08.02
2021.08.02
대댓글 4개
2021.08.02
2021.08.02
2021.08.02
2021.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