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 왔으면 실적으로 얘기를 합시다.

온화한 비트겐슈타인*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1.08.16

46

5993

SPK SKP 거리는데 대학원 입시 난이도가
학부 SKP 난이도에 비해서 현저하게 떨어지는거
대부분이 알고, 요새는 대학원 안다녀본 사람들한테
"나 SKP 대학원 다녀" 하면 그래서 대학은 어디 나왔는데? 하는게 현실입니다. 대학교를 좋은곳 (일반적으로 SKY 또는 SKP라고하는 5대 대학) 나오지 않았으면서 대학원을 SKP나왔다고 해봤자 단순 간판으로는 아무도 알아주지 않죠. 아니 심지어 SKP학부 SKP대학원이어도 실적이 딸리면 무슨 의미가 있나요?
전분야에서 NSC또는 NSC자매지는 최상급이며, 화학쪽이면 JACS나 angewandte, 바이오쪽이면 PNAS나 EMBO, 재료쪽이면 AM계열 정도를 내야 인정받는것이지 나 SKP대학원 나왔다고 해서 인정받는게 아닙니다. 대학원 들어가기전이면 몰라도 대학원을 다니고있거나 졸업했는데도 아직도 학벌로 얘기하는 사람은 실적이 없는 겉껍데기뿐인 사람인거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6개

배고픈 코페르니쿠스*

2021.08.16

착각하시는 거 같은데 spk 학부 입학 난이도보다 spk 대학원 인기랩 드가는 난이도가 더 높아요.

대댓글 10개

온화한 비트겐슈타인작성자*

2021.08.16

학부는 아무과나 통틀어 SPK 간판만 딸수있는걸 기준으로 말씀하시고 대학원은 인기랩을 기준으로 잡으시네요.
서울대 의대 들어가는게 SPK인기랩보단 난이도 높습니다.
SPK아무과 들어가는게 SPK아무랩보다 난이도 높구요.
비교할거면 동일 기준으로 하십시다^^
무심한 제임스 맥스웰*

2021.08.16

아무리 생각해도 spk 학부 들어가는게 더 어려울거 같은데... 랩이 아무리 인기가 많아도 자대출신이고 인턴 좀 했으면 다 받아줍니다. (노벨상 후보로 언급되는 정도의 인기 교수가 아니라면)
배고픈 코페르니쿠스*

2021.08.16

아닙니다. SPK라고 할 필요 없이 저 다닌 카이스트 내에서 경쟁 붙는 랩이 과마다 한둘이 아닙니다.
온화한 비트겐슈타인작성자*

2021.08.16

그래서 님 학부 어딘데요? 대학원 카이스트 들어가고선 대학원 입시가 더 어렵지 하시는거 같은데?
배고픈 코페르니쿠스*

2021.08.16

당연한 거 아닙니까? 자대출신요.
무심한 제임스 맥스웰*

2021.08.16

글쎄요? 특히 요새는 타과 출신들이 다 컴공이나 AI로 빠져서 AI나 컴공이 아닌 학과는 널널해진거 같은데.. 코로나때문에 일시적으로 사람이 몰려서 그런것 아닐까요

2021.08.16

정확한 평가는 어렵지만, 최소한 인기랩(학과내 top3~4)은 인턴 들어가는것 조차 빡셉니다.
윗분이 인기가 많아도 자대출신이고 인턴좀 했으면 다 받아준다했는데, 제대로 경험못하신분 같아서 말씀드리는 겁니다. 저희랩만 해도 저는 운좋게 들어갔지만, 지금은 자대생 개별연구생 지원메일만 한학기에 10통이상 받습니다. 해봤자 한학기(방학)때 그중 2~3명을 받는정도고요.
그리고 일년에 TO를 그중 2명받습니다. 참고로 자대내 졸업예정자중 컨택하는 사람이 20명은 됩니다.
대학원입시와 학부입시가 달라서 뭐가 어렵다라고 비교하는게 어렵지만, 자대내 인기랩은 정말 가기 힘든건 사실입니다. 저희도 2명뽑기때문에 대부분 학점으로 갈리는데, 학점이 생각보다 높게 형성됐습니다. 근데 이건 spk모든 인기랩들이 그럴것같네요.
무심한 제임스 맥스웰*

2021.08.16

그건 인턴 들어가는 난이도고요 ㅎㅎ^^ 저는 분명히 '인턴했으면' 랩에서 대학원생으로 뽑아준다고 했는데요.. 글을 제대로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개별연구생'이라고 하시는거 보니 K이신거 같은데, K는 전원 무학과 선발 제도로 인해 특정 학과에 사람이 몹시 쏠려서 그런 비정상적인 현상이 나타나는 것 뿐입니다. SP 인기랩은 그정도로 경쟁이 심하지 않습니다^^
무심한 제임스 맥스웰*

2021.08.16

카이스트 1년 정원 850명이고, 학과 개수를 대충 14개로 (원자핵, 건설 이런 극마이너과를 제외해도) 잡으면 한과에 60명정도가 매해 입학/졸업한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이중에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사람은 대충 많아야 45명 정도겠죠. SPK급이면 한 과에 교수가 적어도 30명은 있을텐데, 이 졸업 예정자들 중에 한 랩에 20명이 컨택하는 현상이 정상입니까 ㅎㅎ. 과가 같더라도 세부 전공이 전부 다르고 선호도도 학생마다 다를텐데 말이죠. 결국 학과간의 학생이 매우 불균형하게 쏠려있다는 결론이 나오네요. K 인기 공대 몇 개가 아니면 이런 현상은 절대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경쟁력 있는 학과라면 인턴하다가 유학 가는 학생도 많을테니 실제 대학원 진학은 그만큼 더 널널해질테구요.

2021.08.17

뭔 글을 제대로 이해해요 ㅋㅋ 아니 특정랩에 인턴들어가는것 자체부터 어려우니, 특정랩 들어가는게 어렵죠. 본인이 인턴을 하면 이라는 전재조건 달아놓고는 인기랩들어가는게 어렵지않은것처럼 말하면 어떡합니까. 그럼 같은 맥락으로 "부산영재고만 가면, spk 다 받아줍니다"랑 다를게 뭔가요. 그리고 인턴해도 특정랩에는 많이 떨어집니다. 저는 k대 학석박이니 k대 기준으로 말한거고, 타대학이 어떤지는 잘 모르겠네요.
저는 과고출신으로 쉽게 spk에 진학한 케이스(s 정시출신들빼고는 대부분 매한가지겠죠)라서 일반적으로 학부입학이 솔직히 얼마나 어려운지는 잘 모릅니다. 근데 인기랩 들어가는것도 자대생들 내에서 경쟁하고 들어가는거라서, 못지않게 힘들것이라 생각합니다.
뭐 그리고 카이스트 특징이라고 할수도있겠지만, 서울대에 갔던친구들도 보면 서울대 인기랩도 치열한건 똑같은것 같던데요..? 여튼 학부입학이든 인기랩이든 두개중 뭐가 더 어려운지 비교하는게 왜필요한지는 모르겠네요. 솔직히 저처럼 중학교 영재센터 - 올림피아드 - 과고 - spk테크인 사람들처럼 학부입시를 편하게 한사람들이 많으니까요.

2021.08.16

실적높음좋죠. 근데 동일한사람이 spk 아무개랩 들간거하고 그외 아무개랩 들간거하고 비교해서 그외가 나을 확률은 적어보입니다.
배고픈 코페르니쿠스*

2021.08.16

학부 학교도 별로도 대학원 학벌도 안좋은데 실적 좋은 사람은 일종의 상상종인데 왜 굳이 가정하는지 모르겠어요.
온화한 비트겐슈타인작성자*

2021.08.16

다들 이해를 못하는거 같은데, 어디 대학원을 본인이 다니는지가 중요한게 아니라 실적을 잘내는게 중요하다구요.
난 SKP다니니까 잘하고있다가 아니고 이번에 네이처자매지 냈으니까 잘하고있다가 맞는거라구요.

대댓글 3개

배고픈 코페르니쿠스*

2021.08.16

네이처 자매지가 아니라 AI컨퍼 쓰는 쪽이긴 한데, 저는 카이스트 다니고 한국에서 나오는 실적 절반 이상이 카이스트고 그 중엔 제꺼도 종종 있거든요. 좋은 학교가 여건이 좋고 그래서 좋은 실적을 내기 때문에 다니는 건데 그게 자랑으로 보이면 꼬인 겁니다. 여기 다니는 게 자랑이 아니에요. 여기 다녀서 좋은 환경에서 연구할 수 있어서 좋은 거고.
김박사넷만 보면 아주 SPK 사람들 대다수는 학교만 좋고 실적은 개털이고 저 아래 학교에서 실적 다나오는 줄 알겠습니다.
온화한 비트겐슈타인작성자*

2021.08.16

무슨 절반이상이 카이스트에요ㅋㅋ 카이스트뽕이 심하신듯
자꾸 말귀를 못알아듣는데, 실적없이 간판만으로 잘났다 떠들지말고 실적으로 본인이 잘남을 보이라는겁니다.
나 SKP다녀 (X)
나 네이처 자매지냈어 (O)
근데 당연히 네이처자매지 낸 사람이 SKP나 YK나 ist일 확률이 매우 높겠지. 내가 SKP외에서 실적 잘 낸다고 언제 그랬냐고ㅋㅋㅋ
SKP대학원 입학한게 업적이 아니라 어디대학원이든 실적 잘내는게 업적이라고. 당연히 실적 잘 낸사람이 좋은 대학원 소속일 확률이 높겠지.
그리고 내가 수능 0%대 출신인데 내가 저 아래 학교가 실적 잘 낸다고 생각할까?
배고픈 코페르니쿠스*

2021.08.16

그리고 카이애들은 허구한날 MIT 스탠 이런애들이랑 비교하면서 자존감 스스로 깎아먹는 게 일상인데 누가 학벌뽕 맞고 있어요? 자꾸 없는 걸 상상하네.

2021.08.16

학부입학이랑 대학원 입학이랑 들이는 노력 차이가 하늘과 땅차인데 둘은 절때 양립할 수 없음
그래도 spk대학원도 학벌 학점컷을 하니까 의미가 없다고는 할수없지만 학부에는 못비비지

2021.08.16

누가 대학원 와서 연구하는데 학벌드립을 치냐... 하고 있는거나 잘해...

2021.08.16

설사 카이스트에서 한국 실적의 절반이 나온다 쳐도
그게 카이스트 다니는 사람 = 잘한다 는 아님

그 사람이 잘난거지, 카이스트 다닌 모든 사람이 잘난게 아님
아직 박사 시작한지 얼마 안됐으면 주변 사람들이 잘나간다고 나도 잘나갈거라 생각하면 오산임

대댓글 17개

배고픈 코페르니쿠스*

2021.08.16

아니 애초에 카이스트 사람들 학벌뽕 안맞았다니까요 특히 자대 출신들은 더욱
우리끼리는 카이스트 출신들 자존감 너무 낮다고 좀 자신감 가질 필요가 있다고 하는 판인데 없는 거 상상하지 마세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1.08.16

ㅇㅋ 그럼 카이스트 대신 서울대로 바꿔서 읽어
하고싶은 말은 그쪽이 전혀 아니니까
온화한 비트겐슈타인작성자*

2021.08.16

배고픈님 그래서 논문은 어디에 뭘 내셨는데요? 실적은 MIT에 비비게 내셨음?
온화한 비트겐슈타인작성자*

2021.08.16

리처드파인만님 이사람이 위에 그 사람임ㅋㅋㅋㅋ
배고픈 코페르니쿠스*

2021.08.16

MIT라는 사람이 있는지 모르겠는데 MIT 대학원생 평균보다 실적 안좋습니다. 카이스트 평균보단 좀 나은 거 같고, 아주 뛰어난 편은 못됨.
온화한 비트겐슈타인작성자*

2021.08.16

그니까 님도 실적은 평범한데 나 카이스트 다닌다부터 얘기한거잖아요. SKP 연구실 들어가면 자동으로 교수나 정출연연구소 보장되요? 실적을 잘 내야지. 나도 어릴때부터 전교1등에 수능0%인데 대학원을 들어간이상 실적이 중요한거지 간판이 뭐가 그리 중요함? K가 여건 좋다고 해도 모두가 탑저널에 내는게 아닌데 어차피 본인이 실적 잘내는거 아니면 K가 아니라 하버드 MIT여도 성공은 못하지.
배고픈 코페르니쿠스*

2021.08.16

카이스트 다닌다 = 자랑
으로 생각하는 님들 문제죠. 저한테 카이스트는 그냥 다니고 있는 학교고.
온화한 비트겐슈타인작성자*

2021.08.16

아니 님이 먼저 묻지도 않았는데 나 카이스트 다녀
라면서요. 네이처냈다고 했으면 아무말 안해요ㅋㅋ
SPK다닌다고 말하는게 자랑이라는게 아니구요. 실적은 얘기못하면서 SKP다니는걸 얘기하고 다니는 그 현실을 부끄러운줄 알라는겁니다.
저도 K는 아니지만 학부 대학원 일류대고, 네이처 자매지 냈습니다.
배고픈 코페르니쿠스*

2021.08.16

그니까 실적 못냈으면서 SPK 다닌다고 우쭐대는 사람들을 전 주변에서 못봤다는 겁니다. 다들 졸업걱정하고 자존감 낮아져서 비실비실대지. 도대체 어디서 뭘 본 건지 모르겠네요.
자매지도 자매지 나름이고 제 분야 아니라 모르겠는데, 대충 부끄러울 정도는 아니라 들었습니다.
배고픈 코페르니쿠스*

2021.08.16

그리고 일류대라 하셨죠? 저는 제가 다니는 카이스트를 일류대로 생각하지 않고, 제 주변인들도 보통 그렇습니다. 이게 차이예요.

2021.08.16

좀 진지하게 댓글 달게요 자꾸 말이 맴도는 것 같아서
원글자님은 대학원부터는 실적이 우선이다 라는걸 말하고 싶은거에요
실적은 '내가 잘해서' 얻는 것이잖아요. 물론 지도교수빨 / 장비빨도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본인이 잘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죠.

대학원 들어가는거, 인기랩 들어가는거, 다 어려운거 누구나 다 압니다. 그런데 대학원에서 연구하는 사람들이라면 그런거 비교하는 것 자체가 얼토당토 않는 일이라구요.

왜 님이 '착각하시는 거 같은데 spk 학부 입학 난이도보다 spk 대학원 인기랩 드가는 난이도가 더 높아요.' 라고 하는지 이해할수가 없다는 거에요 애초에.
온화한 비트겐슈타인작성자*

2021.08.16

한국에선 일류대 맞는데요? 괜한걸로 시비걸지 마시구요. 님이 카이스트가 한국실적의 절반이상 이라며요. 그런걸 뽕이라하지 뭐라합니까 근거도 없이 자기네 학교가 한국의 절반이상 실적 낸다는데. AI는 카이가 높겠지만 나머지 대부분 분야는 1등이 아닙니다. 절반이 아니라 20프로 정도 될겁니다. 남의 자매지는 왜 내려 까세요ㅋㅋ 네이처 자매지가 무슨 자매지 나름이에요ㅋㅋ 황당하네. 네이처자매지는 어떤거 가져와도 AI 탑저널이랑 동급인데
배고픈 코페르니쿠스*

2021.08.16

"그런데 대학원에서 연구하는 사람들이라면 그런거 비교하는 것 자체가 얼토당토 않는 일이라구요."
일단 님들은 어느 랩에 들어가는 것, 어느 학교 들어가는 걸 일종의 입신양명이자 출셋길로 보는 경향이 있는 거 같은데, 그게 아니라 그저 좋은 환경에서 공부하고 실적 내기 위한 수단입니다. 들어갔다는 건 거들먹거릴 수 있는 게 아니라 좋은 환경을 확보했다는 걸 의미하고요. 어디에 가더라도 좋은 환경을 확보해서 연구에 매진하면 됩니다.
그럼 누가 "나 카이스트 다닌다" 라고 했을 때 "아 카이스트 다니는구나" --> 정상, "저 사람은 실적도 없으면서 카이스트 다닌다고 왜 나대?" --> 비정상이라는 거예요, 그런 의도 저하고 제 주변엔 없는 거 같고, 아마 보통 없을 걸로 예상됩니다. 위에도 말했듯이 자존감 좀 챙기라고 encourage하는 판에 뭔......
본문에서도 말했죠? "대학원 입시 난이도가 학부 SKP 난이도에 비해서 현저하게 떨어지는거" / ""나 SKP 대학원 다녀" 하면 그래서 대학은 어디 나왔는데?" 애초에 연구 열심히 하는 사람들은 어느 대학원 입시 난이도가 어떻느니 하는 거 신경 안쓰고, 그냥 할 수 있는 만큼 연구하는 게 일상입니다. 다만 잘못 알고 있는 것이 대학원은 학교에 컨택하는 게 아니라 기본적으로 교수에게 컨택하는 거고, 거기에 있어서 학부를 입학하는 것 자체보다 교수에게 컨택하기 힘든 케이스가 있다는 걸 알려드리고 싶었어요.
배고픈 코페르니쿠스*

2021.08.16

AI 컨퍼를 쓰기 때문에 네이처 자매지가 어떤 곳인지 잘 모른다 -> 깎아내리는 게 됩니까? 글쓴이가 더 이상함.
배고픈 코페르니쿠스*

2021.08.16

다만 제가 아는 네이처 자매지는 AI를 하기 때문에 Nature Machine Intelligence인데, 여기는 보이콧 사태도 나오고 주류 머신러닝 연구자들은 내지 않는 곳이기 때문에 나름이라고 할 수밖에 없었고요. 문장을 들으면 이상한 bias 끼얹지 말고 곧이곧대로 해석을 하면 좋겠습니다. 연구자의 기본 소양이에요.
온화한 비트겐슈타인작성자*

2021.08.16

님이 댓글은 그렇게 달지만 위에서 얘기한게 전혀 그렇게 안느껴지잖아요.
나 카이스트 다닌다.
SKP 인기랩 들어가는게 더 어렵다
카이스트는 한국실적의 절반이상을 낸다.

이걸 종합하면 난 한국최고 카이스트 AI 인기랩을 다니는 사람이다 인데, 여기에 실적 얘기가 없이 그저 간판으로만 얘기하잖아요.

묻지도 않았는데 그저 간판부터 앞세우고 앞으로 실적 잘 낼 수도 있겠지만 아직은 내세울 실적도 없는거 같고
당연히 똑똑하고 야심있으면 SKP대학원 가는게 맞는데, 김박사넷에서 묻지도 않았는데 나 SKP대학원 다닌다 라고만 하면 사람들이 저 사람은 내세울게 간판뿐인가보다 생각하는게 당연한거 아닐까요?
배고픈 코페르니쿠스*

2021.08.16

자꾸 바이어스 걸리신 거 같아서 첫 댓글에 대해서 다시 한번 찝어서 말씀드려야겠습니다. 인기랩 들어가는 게 상당히 어렵다는 건 자대생 사이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는 말인데, 타대는 대학원이 여기만큼 인기있는 진로가 아니다 보니까 익숙하지 않은 모양입니다. 자대에서 좋은 랩을 들어가기 위해서 성적 괜찮은 학생들도 2-3학년 때부터 인턴을 하고 떨어져서 대학원 재수하기도 합니다. 대학원 컨택은 대학원 입시를 통과하는 게 아니라 교수에게 컨택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라는 걸 다시 한 번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 지도교수님도 제가 말귀를 못알아들어서 똑같은 걸 몇 번씩 설명하는데 그 이유를 알겠네요.

님 느낌이야 님 느낌이고요. 지금 제 현황은, 제 입장에서 내세울 수준이 아니더라도 다른 누군가의 입장에서는 갖고 싶은 그 정도 실적일수도 있을 거 같네요.
온화한 비트겐슈타인작성자*

2021.08.16

자매지도 자매지 나름이고 제 분야 아니라 모르겠는데,
님이 하신 말씀입니다.
자매지도 자매지 나름이고, 라는 말이 내려까는게 아니라구요?
카이스트 다니는 사람도 사람 나름이지
이게 긍정적인 뜻으로 들리세요?
본인이 말한걸 왜자꾸 왜곡하는지?

대댓글 3개

배고픈 코페르니쿠스*

2021.08.16

자매지도 자매지 나름이고 제 분야 아니라 모르겠는데, 대충 부끄러울 정도는 아니라 들었습니다. 라고 했는데, 도대체 얼마나 꼬아서 들으셔야 내려까는 해석이 됩니까? 제가 아는 자매지는 내라고 해도 안내는 nature machine intelligence밖에 없고, 제가 하지도 않는 분야 자매지 인정해달라고 하면 설명을 좀 해주셔야 됩니다.
온화한 비트겐슈타인작성자*

2021.08.16

네 전 그 자매지는 저번에 김박사넷에서 이름 한번 지나가다 본거같네요. 본문에서 대충 언급했지만 NCS 자매지는 대부분 분야에서 NCS본지 바로 다음가는 탑급이랍니다.
저도 같은 말로 마무리합니다.
카이스트 학생도 카이스트 학생 나름이고 제 학교 아니라 모르겠는데, 대충 부끄러울 정도는 아니겠죠.
수고하십쇼.
배고픈 코페르니쿠스*

2021.08.16

편견을 떨치고 있는 그대로 보는 연습을 하시길 바라면서 마무리하겠습니다.

2021.08.16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휴유 ~~~~읽기도 힘드네 ㅋㅋ
요새 날씨가 조금 선선해져서 잘때는 이불덮고 자야지 뭐가 그리 이야기도 많은지,,, 졸업하고 세월 좀 흘러봐야 잘사는지 알지 졸업도 안했는데 우찌아노
졸업후에 몸 건강히 돈 잘벌고 잘쓰고 재미있게 살면 성공핸기라^^ ㅎㅎ

대댓글 1개

2021.08.16

교수님이세요? 말투에서 연륜이

2021.08.16

왜 쉐도우복싱하심 내 주변 대학원생중 학교 skp라고 자랑하는 사람을 못 봤는데 대부분 피곤함 우울감에 찌들어있지

대댓글 1개

2023.01.20

여기에는 많음ㅋㅋㅋ 그리고 자랑을 안하는게 아니라 누군가는 자랑하고 싶은 마음을 숨기고 있는거고, 실적도 안되면서 skp타이틀 달고 펑펑 놀며 학교 타이틀만 자랑스럽게 여기는 한심한 인간도 있음. 그래서 글에 전적으로 동의하고 싶음

IF : 1

2021.08.17

위 갑론을박이 된 이유가, 자연과학과 공학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보여짐. 자연과학쪽은 ncs에 목을 메고 실적 ncs내면 학벌 좀 딸리는것 커버되는데, 공학은 최근 ai쪽 몇몇 컨퍼 빼고는 학벌 많이 영향 있음. 기업, 정출연 다 마찬가지.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