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i학과와 컴퓨터 공학과

2021.08.19

17

5069

안녕하세요 아직 대학교도 진학하지못한 고3학생입니다
대학원생분들이 계신곳에 고3이와서 글을 써서 죄송스럽지만
하나만 질문하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씁니다
2학년때부터 ai에 관심이생겨 진로를 ai쪽으로 가기로 결정했고 그러다보니 서칭을 통해 김박사넷을 알게되었습니다
그러던중 최근에 ai분야는 곧 레드오션이 될거라는 글들을 보았고 궁금증이 생겨 이렇게 글을 쓰게되었습니다

컴퓨터공학과 4년제를 나오고 취직하는것보다 ai대학원을 나오고 취직하는것이 더 힘들정도로 레드오션이 예측되시나요? 그래도 대학원을 나오면 4년제 졸업후 취직보다 더 좋은 대우를 받으며 더 잘 취직을 할 수 있을것이라 생각했는데 아직 커뮤니티로 밖에 사회를 보아서 잘 모르겠네요
원래는 ai학과에 다 몰아쓸려고 했는데 안전하게 컴퓨터공학과를 쓰는것이 나을까요?
(솔직히 지금 당장 끌리고 배우고싶은것은 ai쪽입니다 코딩도 물론 좋지만)
고3이라고 너무 어리게보시지마시고 친동생처럼 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오르비는 대학원과 취직 정보는 별로 없어서 이리로 오게되었습니다)
다시한번 대학원관련 글에 이런 어린질문을 남기게되어서 죄송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1.08.19

ai학과는 좀 비추입니다. 컴공,수학,전자,산공 중 하나 가셔서 대학원을 가시는게…

여러 대안들을 고려 해보셔요

대댓글 1개

2021.08.19

넵 감사합니다!

2021.08.19

솔직히 군대까지하시면 6년뒤인데

6년뒤는 너무 먼미래라서 장담하기가 힘드네요 ㅠㅠ

대댓글 1개

2021.08.19

그쵸 먼미래긴하네요 감사합니다!

2021.08.19

학부 수준에서는 AI전공이나 컴공이나 배우는 건 거의 비슷합니다. 그런데 학부 AI전공은 오히려 좀 학생모집 힘든 학교에서 충원율 높이려고 억지로 끌어모아서 만든 곳일 가능성이 높으니 다른 아무런 정보도 없다면 되도록 피하는게 좋긴 하겠죠. 당연히 AI열풍을 타고 학과의 내실보다 경쟁률도 높을 것이고요.

대댓글 1개

2021.08.19

그렇다면 차라리 컴퓨터공학과를 진학하여 복전이나 부전공으로 ai쪽 과목들을 듣는게 더 낫겠군요
감사합니다!

IF : 1

2021.08.19

아주 좋은 질문입니다!

AI가 포화라는 말을 사람들이 많이 하지만, 제 생각엔 그 의미는 core AI, 즉 AI 기술의 발전 그 자체를 연구하는 집단이 포화라는 의미이지, 모든 생활에 적용되는 응용들에 AI가 다 들어왔다는 의미는 아닌 것으로 이해됩니다. 또한 앞으로 AI가 적용되는 영역이 넓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AI는 마치 미적분학처럼 엔지니어라면 모두가 알아야 하는 것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학부 수준에서는 이걸 공부하시는게 앞으로 도움이 되실거에요.

AI학과 vs CSE 중 학과를 고른다면, 저는 어느쪽도 상관없다고 보고, 심지어는 제 3의 학과를 학부 때 해도 좋다고 봅니다. (물리학과, 수학과, 화공, 기계공 등등…) 특히 AI에 열정이 있으시다면 이걸 통해 어떠한 문제를 푸실텐덴요, 예컨데 농업이라고 하면 AI 기술 뿐만 아니라 농업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필요하겠죠. 이때 농업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도메인 전문성” 이라고 부릅니다. AI 전문가가 모든걸 다 알 순 없기 때문에 실제로 문제를 풀 때는 도메인 전문성을 가진 도메인 전문가와 협업을 해서 문제를 푸는데요, 제 3의 학과를 전공해서 도메인 전문가 테크를 타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특히 실제로 문제를 풀 때 AI 기술을 도구처럼 써서도 충분히 좋은 성과를 낼 수 있거든요.

정리하면, AI 가 포화라는건 학부를 취업할 때 고려하지 않으셔도 되는 부분이고 (구구단도 포화인데 다 배우니까), 전공도 자유롭게 고르셔라, 입니다.

대댓글 4개

이기적인 유클리드*

2021.08.19

무슨 core ai가 포화에요 ㅋㅋㅋ 잘하는사람 한국에는 없다고봐도ㅠ무방할정도인데

IF : 1

2021.08.19

전세계적으로 보면 포화가 맞죠.

2021.08.19

아직 먼미래지만 약간 메디컬이나 로봇과 ai를 연계한 연구를 하고싶긴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한 답변으로 생각이 조금 트인것 같네요!

2024.07.30

Core AI 연구할 수 있는 사람 한국에 거의 없습니다.
이기적인 유클리드*

2021.08.19

무근본 학부는 가는게 아닙니다

대댓글 2개

2021.08.19

그렇군요 어느학과든 신설은 역시 조심해야하나보네요
감사합니다!
이기적인 유클리드*

2021.08.19

AI학과 가면 아마 머신러닝용 수리통계 조금이랑 컴싸 커리큘럼을 섞어서 배울거같은데 이게 뭐 잘 정비되어있으면 나쁘진 않겠지만 장기적으로 일단 선배 없는것도 크고 학교차원에서 커리큘럼적으로 초기 시행착오도 많이 겪을 수 있습니다 이거는 뭐 spk yk ssh 등 흔히 명문대라고 불리는데의 사정도 크게 다르진 않을거같네요 우리나라 대학돌아가는거보면 ㅋㅋ 메디컬이나 로봇 ai 어플리케이션 생각하시면 차라리 전기전자 가는게 괜찮은 선택일듯 여기는 쨋든 생각바꼈을때 삼전 하닉으로 도망도 가능하니.

2021.08.19

생각보다 다들 빠른 답변 주셨네요
정말감사합니다! 다들 좋은 하루되시길 바래요!!

2021.08.19

저도 ai쪽으로 진로를 정했는데 학부는 수학과였습니다. 머신러닝이라는게 결국 통계적 기법이라 수학 통계쪽도 괜찮고요, 컴공이나 전전쪽으로 가시는 것도 좋은 선택지입니다. 여러 학부에 걸쳐있는거라 제가 생각했을 때는 어느 과를 가든 학부 다니면서 복전이나 부전이라도 하면서 수학, 통계 베이스를 좀 갖추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2021.08.19

컴퓨터 관련 학과로 가나 AI학과로 가나 가르치큰 과목에서는 큰 차이는 없을겁니다.
다만 컴퓨터 관련 학과로 가시는게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관련 학과에서도 그에 대해 전혀 수업을 하는건 아니니깐요. 또한 인공지능에서 가르키는 과목을 복수전공으로 신청해서 듣거나, 아니면 교수님께 양해를 구하고 그냥 들어도 됩니다.(아무말 없이 타과에서 전공과목 신청해서 들으면 첫주차에 수강신청 취소를 권고받을겁니다,복전제외). 만약 복전이 아닌 상태로 그냥 들으면 그러면 교양으로 계산될 텐데 그럼 최소한의 전공 학점 채울 수준은 맞추어야 합니다.
AI 학과의 경우 졸업생이 없다보니 도 아니면 모 형식으로 취업 수준이 정해질겁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