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자기가 연구하고싶어서 대학원 간거 아닌가? 연구가 적성 안맞는다고 느끼면 그만두고 취업하면 되는데 취업해서 하기싫은일하면서 돈버는 학부졸업들은 호구인가? 연구를 하는데 왜 성과가 안나오지? 평소에 게임하다가 미팅직전에 벼락치기로 밤새고 열심히 한다고 착각하는건가? 게임을 접으면되잖아?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51 - 의대 가신 것은 당연히 대단한 것입니다. 근데 다른 업종을 비하하는 것은 다른 문제가 아닐까요? 생각은 그것으로 끝내시는 것이 향후 글쓴이 님의 앞길에 아무 일 없으실 거 같습니다.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26 - 뭔놈이 의대가놓고 여기 들어와서 대학원생 비하하고있냐 ㅋㅋㅋ 자격지심 있음? 남 비하하는 사람들은 자존감 낮은거야…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4 - 의사들의 사회학적 이해 수준과 차별적 언사, 천룡인 마인드는 잘 알고 있었으나 글쓴이가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네.
한 20년 전에 과고 나와서 지금 이공계 교수인데 솔직히 나보다 공부 못했던 애들이 맨날 저러고 앉아 있으니 같잖고 참 자존감 낮다 싶음. 정신 좀 차려라.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7 - 돈 쫒아 의대 갔으면 그냥 열심히 자격증 따고 돈벌면 됩니다.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3 - 너 하기 나름이지!1
너 학교 과에 딱봐도 이상한 애들 많지 않아?
거기서도 어떻게 하냐에 따라 어떤 결과가 나오게 되는거임!1
학교 프레임에 씌워서 가냐 못가냐 논하는건 이상한 놈이란 소리 들을 가치가 있음!1
너의 인생 전략을 잘 만들 생각을 해바
중경외시 석사는 대기업 못가나요?
13 - 좋은 지적입니다. 필드에서 나가서 바라보니까. 문제가 보이죠.
정부 정책이라는게 항상 이런식입니다. 언발에 오줌누기...인건비도 못 주는 저질연구실을 퇴출시키는 방향으로 가는게 이공계 발전방향이지...그 인건비를 국민의 세금으로 떼우고 인공호흡기 달아주는건 이공계 발전방향이라고 할 수 없어요.
또 하나 AI다 양자컴퓨터다 메타버스다 이런거 나오면 우리나라 정부에서 하는 짓거리는 2030년까지 AI인력 1만명 육성. 제약 바이오 연구인력 몇명 육성. 이말은 월드클라스 인력 1000명 투자할 돈을 1/10로 나눠서 표만 얻고 수준은 1/100 퀄리티로 쳐박겠다는 얘기예요.
매년 박사가 1만5천명이 배출된답니다. 의사는 3천명 남짓 배출되요. 시장논리가 가장 철저히 적용되는게 인력시장이예요. 의사들은 똑똑한걸 증명했잖아요. 공급을 줄여야 가치를 인정 받아요. 박사가 의사보다 5배나 더 공급되니까. 의사가 박사보다 5배 더 버는 것도 당연하죠. 여기 연구하시는 분들...정신 똑바로 차리세요. 인력이 늘어나는게 좋은게 아닙니다. BK21도 이제 그만할때가 됐습니다.
IT붐 불면서 개발인력 몇만명 양성 십수년 하고나서 개발자 연봉 바닥 났습니다. 영어되고 실력되는 인력은 이미 실리콘밸리로 떠났구요. 국내 생태계는 말 그대로 씹창 났습니다. 인력을 제한해야지 해당 필드의 임금이 올라가고 좋은 인재가 모이고 좋은 인재가 있어야 혁신이 가능합니다. 인력 모자란다고 머리수만 채우는 정책 그만해야 합니다.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2 - B
펜대 잡는 놈이 1저자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0 - B가 하거나 공동하는게 나을듯. 요즘은 execution도 엄청 중요함. 아이디어 내기는 쉬움 ㅋㅋ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0 - 생각보다 다들 B라고 하셔서 놀랍네요. 제가 CS/AI분야이긴 하지만 실 작업량은 A가 훨씬 많거든요. (10배이상 많은 것 같네요) 통상 컨퍼런스페이퍼가 짧아서 그런 것도 있는 것 같습니다. 최소 공동저자는 될 줄 알았는데..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5 - 이건 무조건 B죠.
A한테 공동주저자를 주겠다면 말릴 일입니다.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3 - 먼저 MIT는 꿈 깨시고요, 미국에서 님의 관심사에 맞는 연구실이 MIT 밖에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소리입니다. 그냥 님이 덜 찾아본거에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5 - 위에 사람들 말 너무 믿지는 마셈. 자기가 못갔다고해서 남들도 못가는건 아닌데 일단 무조건 안됀다는 사람이 많은거같아요 ㅋㅋㅋㅋ
일단 장기적으로 보면 충분히 가능하고 설계를 잘하셔야되요. 분야가 데싸면 박사진학시 연구실적이랑 추천서가 가장 중요할건데 (인더스트리 경력은 플러스, 요즘은 긍정적으로 많이 봐요) 그걸 최고로 뽑아낼수있는 석사를 가시는게 가장 중요해요. 탑티어 논문은 머스트고요. 미국 석사는 생각해보셨나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0
yk 면담 결과
2021.08.25

교수님께서 정말 좋은 말씀 많이 해주셨습니다.
면담에서는 교수님께서 제가 하고싶은 것(장래)이 무엇인지 논리적으로 한번 생각해보고 결정이 되면 9월중에 다시한번
메일을 보내 달라고 하셨고 면접때 어떤 내용을 말하면 좋을지 얘기 또한 해주셨습니다.
남은 학기 마무리 잘하라고 하셨고 대학원 입학전 어떤 공부를 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여쭤 보니
딥러닝을 이용해서 하는 프로젝트가 몇개 있기 때문에 인공지능 관련해서 공부를 조금 해보라고 하셨습니다.
(컴공이나 소프트웨어 관련 학과 x, 글쓴이는 소프트웨어 복수전공자 )
이렇게 짧게 면담이 끝이났는데 제가 정말 들어가고 싶은 랩실입니다. 긍정적으로 생각하기에도 또 부정적으로 생각하기에도 조금 애매한 그런 기분이 들어서 앞으로 어떻게 할지 고민입니다.
여기 랩실만 보고 입시를 준비할까요 혹은 다른 학교 랩실에도 컨택 메일을 보내봐야할까요?
컨택 했습니다 이제 어떻게 하죠 ㅜㅜ 김GPT 7 7 8548
대학원 면접 보려고 정장 샀어여 김GPT 5 8 8605
여긴 뭔 입결을 뭘 그리 따지냐 김GPT 7 5 6478
면담 후 반응 김GPT 0 1 1731
자대 컨택 면담 후 고민 김GPT 1 2 6045
컨택 면담 이정도면 어느정도입니까 김GPT 0 4 2316
대학원 컨택 면담시 준비사항 김GPT 0 1 5795
yk 컨택은 완료했는데 김GPT 0 8 3531
잡대생 대학원 진학 김GPT 6 8 6764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명예의전당 274 34 57975
소주가 지껄이는 김박사넷에 대한 감상 명예의전당 83 10 5757-
70 57 1113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
210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73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87 -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14 - 학벌 낮춰가는거 별로인가요?
7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53 - 근데 솔직히 학교가 어쩌니 근무가 어쩌니 다 의미없음
11 -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7 - 졸업생인데 학교에 매일 나가고 있는 학생입니다
10 - 중경외시 석사는 대기업 못가나요?
24 - 노력이란 무엇일까?
16 - 대통령과학장학금 (대장금) 서류
6 - 석사논문 피인용 100회
12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36 - 대학원생 노조라도 누군가 총대 매세요
10 - 석사 취업은 학부가 다인거같네요.
13 - 연구주제 듣고 무시하신 교수님..?
17 -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29 - 정말 너무 힘이 듭니다
11 - 다들 컨택 후 확답 몇 개씩 받아두시나요?
7 - Surf wurf
6 - 연구 아이디어 관련?
5 - 석사 논문은 대부분 이런가요? 저만 그런건가요?
5 - 광명상가 타대 vs 자대 고민입니다.
9 - 학계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서 느낀점 몇개
7 - 대학원생들에게 갑질했던 교수님에게 대학원 연구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학 논문 같이 쓰자고 했는데, 무반응인 경우 어떻게 해결해가는 게 좋을까요?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
210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73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87 -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14 - 학벌 낮춰가는거 별로인가요?
7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53 - 근데 솔직히 학교가 어쩌니 근무가 어쩌니 다 의미없음
11 -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7 - 졸업생인데 학교에 매일 나가고 있는 학생입니다
10 - 중경외시 석사는 대기업 못가나요?
24 - 노력이란 무엇일까?
16 - 대통령과학장학금 (대장금) 서류
6 - 석사논문 피인용 100회
12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석사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한 tip
21 -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7 - 조지아텍/에모리 의공학이 그렇게 좋은가요?
8 - 공대 조기졸업 3.5/4.0 vs. 4년 3.8/4.0
11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36 - 대학원생 노조라도 누군가 총대 매세요
10 - 연구주제 듣고 무시하신 교수님..?
17 -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29 - 정말 너무 힘이 듭니다
11 - 다들 컨택 후 확답 몇 개씩 받아두시나요?
7 - 광명상가 타대 vs 자대 고민입니다.
9 - 학계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서 느낀점 몇개
7 - 대학원생들에게 갑질했던 교수님에게 대학원 연구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학 논문 같이 쓰자고 했는데, 무반응인 경우 어떻게 해결해가는 게 좋을까요?
9

empty
empty
2021.08.25
대댓글 1개
2021.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