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튭이나 김박사넷 글중에 배터리 박사는 위험하다, 어떻게 변할지 모른다 이렇긴한데.. 물론 여러의견이 있겠지만 난 좋다고 봄
투자규모와 채용규모등등을 보면 지금까지는 배터리 박사가는거 괜찮다봄.
아직도 공장들 오지게 짓고있고, 해외에도 배터리 전문가가 별로없음.
Lg엔솔이나 sk이노도 배터리 채용 엄청나게 하는데, (특히 이노베이션은 해외파견당할 수 있다고 적어놓기까지함. 그만큼 배터리인재가 해외에도 없다는거지. 이노베이션 채용 공고보면 알겠지만 절반이상이 다 배터리더라ㄷㄷ)
현대차도 자급화하려고 배터리 투자할거임.
현재 갈 수 있는 배터리 대기업만 해도 엄청나다. 아직까지 안늦었다고봄. 페롭스카이트나 OLED보다 훨 좋다고 본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1.09.05
+아직 연구해야할 것들이 많다고 생각
대댓글 1개
2023.07.07
배터리분야에서는 앞으로 어떤 연구가 필요할까요? 양극재는 LCO 기반 TM 조성 변화, 결정립, LMR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음극재는 Si alloy, Li metal, 전해질은 전고체 전지(황, 고분자 기반 등등) 연구되고 있는 것 같던데 양극재는 거의 다 LCO 기반 연구고 Li기반 전지가 아니면 에너지 밀도가 낮아서 과연 새로운 분야가 나올지도 모르겠네요...
2021.09.05
배터리 곧 박사과정 마무리하는 원생이 한마디 남기자면,
대기업 채용공고와 관련있는 업무랑 연구분야가 미스매치라면 안뽑힘 ㅎ
주제 잘보고하삼~ 배터리라고 많이 안뽑음~
대댓글 2개
2021.09.05
안녕하세요. 혹시 알고 계신다면, 석사도 마찬가지로 배터리 내에서 연구 분야가 많이 중요할까요?
2021.10.14
미안합니다 늦게 들어와서요 ㅠㅠ
석사는 많이 중요하진 않습니다만 관련 지식이 중요한거같아요.
지금 각 배터리 시스템 (소재, 시스템 등?) 장단점? 회사에서 어떤걸 지향하는지?
2021.09.06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배터리는 반도체랑 비슷하게 장기적으로 연구할께 많을것 같음
2021.09.06
배터리 끝물이에요ㅋㅋ
대댓글 1개
2021.09.06
사람마다 의견다른건 존중함.
걍 내 생각은 여전히 아직까지는 갈만하다는거.
아직도 대규모 투자중이고, 장기플랜이기에 5~6년 내로 확 망하기는 힘들다봄(물론 망할 가능성이야 있지만 유망성 기술력등등을 종합적으로 보면)
페롭,oled보다는 나아보임
2021.09.06
이세상에 끝물인 연구는 존재하지 않음
인간이 뭘 안다고
2021.09.07
페로브하는 입장에서 기분이 매우 나쁜데 배터리도 뭐 나쁜 분야라고 생각도 안하고 다들 고생많다고는 생각하는데 딱 말하는 투나 하는걸 보니 뭐 어디 디스플레이하는 이상한 인간한테 훈수듣고 여기와서 욕하는걸로 밖에 안보임.
대댓글 1개
2021.09.07
밑에 사람이랑 같은 입장임.
페롭 좋은 분야고 잘하는 사람이 한국에 많은건 팩트지만, 배터리만큼의 진로폭이 넓지는 않은거같음
2021.09.07
그냥 사실직시하면,
배터리 대기업 4사(SS, HMC, LG, SKIn.)가 다함. (현차도 이미 배터리 자체 개발중(뉴스에 검색해보면 알수있음))
페롭스카이트: 한화만함.
이전에 삼성SDI에서 DSSC 개발했지만 상용성없어서 그냥 접음. LG도 실리콘이지만 태양전지 접음. 4사 아무도 안함.
사실 직시가 필요함.
배터리 박사 분야 잘골라야한다는 말에 동의. 희소하면서 앞으로 연구되어야할 부분이 많은 주제 잡고 하면 좋을거임.
2021.09.05
대댓글 1개
2023.07.07
2021.09.05
대댓글 2개
2021.09.05
2021.10.14
2021.09.06
2021.09.06
대댓글 1개
2021.09.06
2021.09.06
2021.09.07
대댓글 1개
2021.09.07
2021.09.07
대댓글 1개
2021.10.14
2021.09.08
대댓글 1개
2021.09.08
2023.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