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수빼고는 2인1실, 1인1실등 본인 공간충분히 줌.
- 연구자유도가 사기업에 비해 높음 (교수 >> 출연연 > 사기업)
- 업무강도가 사기업에 비해 많이 편한편
- 정년보장
밝은 존 케인즈*
2021.09.22
사기업 연구소 5년 가까이 근무했었고, 정출연도 현재 다니고 있는 입장에선 워라벨 하고 뭐 나름의 정년 보장, 그리고 좀 더 자율적으로 연구가 가능한 점이 정출연 장점인듯. 사기업 연구소에서도 나름 연구 장려되는 선선행 하는 곳에 있었지만 지금 있는 곳이 훨 자율적이긴 함. 뭐 정출연도 과제 상황 등에 따라 사기업보다 다니는게 더 빡센 경우도 있긴 하지만, 전반적으론 정출연이 널널함. 버티기도 좋고, 고과 대비 차별이 매우 적어서 경쟁도 덜함.
2021.09.22
안짤림. 사실 사기업도 짜르진 않음. 다만 진급경쟁후 도태되면 버티기 힘듬. 정출연은 그런게 별로 없고 그냥 적당히 61세까지 버티기 좋음. 생애소득은 삼성/LG나 정출연이나 비슷하지 싶고
배고픈 알렉산더 플레밍*
2021.09.22
당연히 교수>>정출연이지. 그냥 교수될 실적 안 되거나 야망이 없는 사람들이 정출연 가는듯.
대댓글 6개
2021.09.22
ㅋㅋㅋ 죄송한데 박사학위자는 아닌건 확실한데, 대학원생활은 해보신분은 맞나요?
개뿔도 모르시는분이 말씀하시는것같아서요 ㅎㅎ 교수될실적같은소리하는데, 교수라는게 실적에 포닥경력있어도 시기안맞으면 절대 못합니다. 실제로 출연연에서 학교로 옮기는 케이스도 엄청 많고요.
아무것도 모르는 학부생이면서 아는척하면서 어그로를 끄시니 신고를 처드시는게 아닐까 싶어요^^
슬기로운 요하네스 케플러*
2021.09.22
요즘 신고팩터20넘는 어그로꾼이 댓글 자주 달던데 이놈인가보네 ㅋㅋㅋ 할짓없는건 알겠는데 글마다 출몰하니까 좀 짠하네?ㅋㅋㅋ
쑥스러운 마리 퀴리*
2021.09.22
ㄴ 교수될 실적이라는게 있긴 하지. 출연연 -> 교수는 많어도 교수 -> 출연연은 아주 적잖음?
쑥스러운 마리 퀴리*
2021.09.22
ㄴ spk박사임.
쑥스러운 마리 퀴리*
2021.09.22
ㄴ 글고 실적이 교수 임용의 충분조건은 아니지만 필요조건이라는 점에서 교수될 실적이라는 말이 그렇게 발작버튼 눌릴 일인가 싶음.
2021.09.23
선호도가 정출연보다 교수가 높은건 당연한데, 출연연에 있는 사람보고 실적부족이나 야망같은 소리하니까 그렇죠. 저도 spk박사학위 이번에받고 실적은 국내에서는 절대 꿀리지않은편이고 내년초에 메이저대에서 포닥시작합니다. 연구실 선배들이 kist에 좀 가있는데, 그분들이 웬만한 교수임용 실적보다 훌륭한분들입니다. 메이저대 해외포닥 경력도있고요. 저도 당연히 임용목표로 해서 포닥가는거만, 솔직히 선배들봐도 적당한 라인 이상학교 아니면 연구못하고 강의만 학기당 12학점씩 할바에야 출연연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2021.09.22
다들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오만한 데이비드 흄*
2021.09.23
교수로 넘어가기도 좋음
2021.09.23
독보적인 장점이 있다기 보다는 다른 직장에는 있는 큰 단점이 없는게 가장 큰 장점임.
좋은 직장이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2021.09.22
2021.09.22
2021.09.22
2021.09.22
대댓글 6개
2021.09.22
2021.09.22
2021.09.22
2021.09.22
2021.09.22
2021.09.23
2021.09.22
2021.09.23
2021.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