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학위의 필요성

2021.10.08

19

7574

안녕하세요. kp 학부생입니다.
학부 취직을 생각하고 있는데 요새는 석박사 학위가 없으면 도태된다는 말을 주위에서 계속 듣게되네요.

정말 석박 학위가 필수불가결한지 여쭙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IF : 1

2021.10.08

절대 필수불가격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삶을 사는지는 사람마다 다 다르고, 성공이란 기준을 경제적 기준으로 잡아도 박사 안받은 사람이 박사 받은 사람보다 더 많습니다. 학문에 관심이 없는데 굳이 박사를 받을 이유는 없습니다.

대댓글 2개

2021.10.08

제가 아직 학부생이다 보니 보는 시야가 좁기에 더욱 흔들리는것 같습니다. Kp 동기들은 보통 대학원을 가서 아무래도 진학이 보편적인 성공 코스로 보이나 학문에 큰 열정 없는 제가 박사의 길을 밟기에는 오히려 안맞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되네요.
반대로 교수님이나 몇몇 친구들은 박사 안따면 낙오자다라는 인식이 강해서 선뜻 결정을 못하겠습니다ㅠㅠ

IF : 5

2021.10.08

교수들 말은 크게 신경쓰지 마세요. 본인들이 대학원부터의 커리어에서 가장 성공적인 삶을 살아온 사람들이라 대학원을 좋게 생각할 수밖에요. 무엇보다 대학원으로 학생들을 끌어들여야 하는 이해관계당사자입니다.

2021.10.08

학과마다 너무 큰 차이가 날테니 그냥 일반론으로 말씀드리면.. 저는 고려대 졸업하고 카이가서 박사를 취득했습니다. 제 인상은 '취업이 목표라면 학부 취업이 좋다.' 입니다. 다만 삼성 등 회사에서는 얌전히 학부 졸업한 학생보다 경험이 있어서 가르칠 내용이 적은 분들을 선호하는 것 같아요. 그런면에서 장비를 다뤄보거나 업무를 처리 하는 경험이 있는 사람을 선호하기 때문에 특히 공대의 경우는 프로그램이나 장비를 다뤄본 학생을 우선시해서 학부생 연구원으로, 또는 석사를 하면서 그런 경험을 단단히 쌓은 학생을 선호하겠죠. 그런면에서는 석사가 도움이 될것 같아요. 다만 박사는.. 조금 깊이 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오버스펙이 되는 경향이 있어요. 취업만을 위해서 박사를 하는건 조금 아쉽죠. 그래서 석사 까지만 해보고 결정하는 경우도 많고..

대댓글 1개

2021.10.08

예를 들어서 삼성 파운드리 뭐 설비쪽을 간다면, (전 이 분야가 전혀 아니라 모르는데 취업설명회 가본 경험으로) 어떤 프로그램을 다뤄보고 장비를 다뤄보고 한 경험이 정말 소중한 스펙이 됩니다. 그런 건 학부생으로써 다뤄보기 힘든 것이기 때문에 그 분야 석사를 해봤다면 그런면에서 이점이 있는 것이지, 무작정 석사가 학사보다 낫다는 것은 아니에요. 또한 학부생 연구원으로 같은 장비를 경험해본다 해도 이걸 석사생 만큼 숙련도가 있을까? 하는 정도의 생각에서 약하게 석사생을 선호하는 것이지, 학부생도 그정도의 능력이 있다면 개인에게는 학부생 출신으로 가는게 좋다고 봅니다. 아예 박사까지 할 것이 아니라면요.

2021.10.08

답변 감사드립니다. ㅎㅎ
취직으로 길을 정한거라면 학사 취업도 나쁘지 않다는 의견이신 것이지요?
개인적인 질문이지만, 로버트 님께서는 어떤 이유로 대학원 진학을 결정하셨는지 궁금합니다!

2021.10.08

대학원 가면 도태되는 게 아니라요??

2021.10.08

석박사 학위가 없으면 도태 석박사 학위가 있으면 변태

2021.10.08

연구개발쪽으로 가면 모르지만 다른 직무로 가면 공부 잘한다고 다 되는게 아니라는걸 느끼게 될거임. 남들 다 아는 대기업가도 아예 생판 처음 들어보는 대학 출신들도 생각보다 은근히 많이 보게 되고 학부때 배우는 지식들 거의 쓸일없음. 정치잘하고 술잘마시고 목소리큰게 회사에선 더 중요할수도 있음.

2021.10.08

이게 결국 본인 선택이지요...
저는 포공에서 박사받고 취업해서 일하고있는데 사실 위에 분 말처럼 박사받은게 어디에 필요한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다들 말하지만 박사 받는다고 세상이 달라보이거나 나를 특별하게 생각해주지 않아요...회사에서 박사학위자가 천지거든요 ㅎㅎ
근데 회사와서 느낀게 나는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주위에서는 박사기때문에 라는 기대가 있습니다. 그리고 쉽게따는 학위는 없기때문에 그 안에서 경함한 것들이 지식보다 더 큰 자산이 되기도 하는거같아요. 그러면 안되겠지만 입사 초기에 다들 하는말이 아무리 뺑이쳐도 근로시간이 있으니 대학원때 보다 편하다, 회사는 뺑이치면 돈이라도 준다 등등의 태도를 가지고있죠. 그리고 승진 기회에 있어서도 확실히 다릅니다.
그런데 박사취업은 선택이기 때문에 잘 생각하셔야합니다. 박사취업 후 퇴사하는 대부분의 경우가 회사는 업무가 단순하고 생각했던 것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내가 이럴려고 박사했나...라는 생각이 드는거죠.
그리고 또 박사는 처음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직급을 받습니다. 이게 또 부담이 될 수도있는데...이건 개인의 성향이라 참고만 하세요.
아무튼 저는 개인적으로 승진에 큰 욕심 없고 오래오래 다면서 어릴 때 좀 즐기고싶다 그럼 학부취업이 좋은거같아요. 대학원은 아무래도 20대가 통으로 날아가서...
근데 회사에서 상대적 열등감 없이 박사학위 가지고 밑에서부터 올라오는게 아니라 처음부터 돈 많이 받고 다니고 싶다..그리고 임원까지도 노려보고싶다.. 그럼 박사 추천드립니다
방정맞은 쇠렌 키르케고르*

2021.10.08

한국은 이공계 학연산 종사한다는 사람치고 박사 없는 사람이 별로 없어서 더욱 심한듯

대댓글 1개

2021.10.08

학연은 몰라도 산업체는.. 넘칠텐데요

2021.10.08

박사는 보통 산업체로 가기위해선 오버스펙이 맞죠,,,,,,

대댓글 1개

2023.03.11

그럼 박사는 뭐해먹고살나용?

2021.10.0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렇게 말하는 이유는..
대학원 생활을 겪어본적 없는 학사들이 석박에대해 쉽게 얘기한다 or 학위있는 사람들의 자기위로...

대댓글 2개

2021.10.08

어... 오히려 학사분들은 학위없어도 괜찮다고 하지 않나요?

2021.10.0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제가 본 학사분들은 본인의 실패이유를 학위에서 찾는분들도 많더라구요

2021.10.08

추가적으로 궁금한 부분이 있습니다.
하나의 예시지만, 고대 학부생과 카이스트 학부생이 같은 카이스트 랩에 진학하게되면 저는 그 시점에서 둘은 동등한 출발선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kp학석박과 타대 학부출신 skp박사는 다르다고 하는 의견(진로나 가능성측면)들을 들있는데 왜 다른가요?
만약 그렇다면 k,p학부생이면 기왕이면 대학원 가야한다는 것에 대해 부분적으로 이해가 갑니다.

2021.10.09

원글보존

안녕하세요. kp 학부생입니다.
학부 취직을 생각하고 있는데 요새는 석박사 학위가 없으면 도태된다는 말을 주위에서 계속 듣게되네요.

정말 석박 학위가 필수불가결한지 여쭙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