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국내 취업/교수임용 시 국내박사 vs 미국박사

2022.01.20

21

8135

안녕하세요.
최근 국내 취업 / 교수 임용 시 국내박사가 좀 더 인정받는 경향인가요?
물론 출신 학교보다도 개개인의 커리어가 중요한 요소라는 것도 알고 있으나..
소위 국내명문대들의 학과 신규임용 교수들 보면 미국박사 출신보다 국내박사가 훨씬 많이 보여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2022.01.20

해외가 아니라 미국 박사가 우대 받는거고, 여전히 미국 박사 선호해요. 다만 이제 bk 등으로 우수한 국내 박사가 많아져서 국박도 많이 임용되죠. 국박 100명 나오고, 미박 10명일때, 국박 8명 임용되고 미박 2명 임용되면.. 국박은 8프로 미박은 20프로 임용성공률이듯이 비스무리하게 생각하심될듯요

대댓글 4개

체한 맹자*

2022.01.20

어떤 학교를 노리는가에 따라 다름. 지거국 혹은 수도권 대학들 보면 해외 박사 거의 없음. 우수 대학들이야 임용 기준이 미국과 비슷하지만 아직도 많은 대학들이 국내 박사들에게 유리하게 되어있음, 논문 실적 같은거.

2022.01.20

같은 실적이면 미박. 국박 실적의 70프로만 되도 미박 정도 분위기 아닌가 싶어요. 요즘 국박들이 양은 확실히 질은 모르겠지만 실적으로 앞서나가는 분들이 많이 생겼죠.

2022.01.20

근데 탑티어스쿨은 여전히 미박 엄청 좋아합니다
체한 맹자*

2022.01.20

ㄴ 인정 탑티어 가고 싶다 - 미박
그냥 교수가 하고 싶다 - 국박도 가능

2022.01.20

spk에서 대학원을 안다녀 봐서 잘 모르는데, spk 박사때 코스웍 공부시키는거 spk 학부만끔 빡센가요?

대댓글 2개

행복한 쇼펜하우어*

2022.01.20

ㄴㄴ.. 학부 다녀보시면 절대 비교 불가

2022.01.20

가르치는건 빡셈
A+은 학부 A+ 받을 정도로 공부해야 받을 수 있음.
다만 대학원 과목이다 보니 B대는 조금 수월하게 받는듯
(학과,교수마다 차이는 있음. 내 경험이 그렇다는 것)

2022.01.20

국박:해박 인원 비율을 생각해보시면,
해박이 지방사립 지원율이 낮다는 점을 생각하시면
해박이 유리함.
물론 국박의 임용케이스가 많아지고는 있기는하는데(공대한정) 이것도 특정괴수랩 출신한정임

대댓글 1개

2022.01.20

초인기랩아니어도 되긴하던데요,,,물론 국숭이어서 학생수급 힘들거긴하지만...
귀여운 피보나치*

2022.01.20

현직 미국 박사인데요. 여기 사람들 한국 top 10 대학 정도 아니면 교수로 가는 것 크게 관심 없습니다..

대댓글 6개

체한 맹자*

2022.01.20

현직 미국 교수인데요. 지거국 관심 많습니다. 그리고 지방 국립대도 갑니다.

IF : 1

2022.01.2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고1때는 sky아니면 별 관심 없는거랑 같은이치

2022.01.20

??????

2022.01.20

탑스쿨 미박중인데 본인은 고향이 지방인데도 와이프가 서울사람이라 인서울, 그 중에서도 박사수급에 문제없는 수준의 학교까지만 관심있음. 마지노선 중앙대까지 생각
그 아래 학교 가서 학생도 없이 혼자 좆뱅이 치느니 좋은대우받고 기업가지

2022.01.20

공대면 실험실 운영 안되면 윗사람 같은 그런 마인드일수 있는데, 실험실 운영 안하는 상대, 자연대, 인문대, 예술 뭐 등등은 공주대 정도의 지방 국립대만 되도 다 오더라. 쓰고보니 공대 빼고 다 인듯. 의대나 이런데는 모든 학교가 수준이 높으니. 윗사람도 미래는 장담 못하니 넘 장담안하는것도 좋을듯.
체한 맹자*

2022.01.20

ㄴ 아는 교수는 애들이랑 와이프는 서울에 있고 주말부부 하던데. 대학원생 노비처럼 부려 먹겠다고 노래를 부르던 놈인데 지방대 가서 쓸 노비가 없데 ㅋ 애들 인건비 빼돌리면 매년 외제차 하나씩 나온다고 하던 놈인데 국립대 갔다고 몸 사리더라 ㅎㅎ

IF : 1

2022.01.20

취직시장에서는 박사를 어디서했으냐도 중요하지만 뭘 했느냐는 더 중요하다.
미박이더라도 대기업에서 별 관심 없는거 연구 했으면 뽑아도 이부서 저부서 돌리거나 그냥 뽑아놓고 방치하거나 아예 안 뽑음.

2022.01.20

확실히 과거보단 국박이어도 교수될 확률은 공대에서는 늘어나고있음(화공,신소재 쪽임). 특히 국박-미국대가랩포닥 해서 실적 2,3년 확 늘리고 국내 돌아와서 교수되는 비율이 많아지긴 했음. 근데 교수직이라는게 사람바이사람이라고 솔직히 박사졸업후에 포닥까지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최근들어 낮아지긴함. 박사 졸업하고 빨리 돈 버는게 목표인 사람들은 대기업연구소에 많이들 가니까... 애초에 연구원이 목표인 사람들도 많으니,,,

2022.01.20

와 이렇게 많은 댓글이 달릴 줄 몰랐는데 모두 감사합니다.
저는 미국박사 준비하던 중이었는데, 주변에서 "교수 임용 생각하면 국박이 훨씬 낫다"라고 모두 만류해서 국내 명문대 신임교수진을 얕게나마 알아보니 실제로 국박 출신이 많아진 것 같더라고요.
모두 의견 감사합니다!

IF : 1

2022.01.2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당연히 미박이 커리큘럼이나 연구수준이나 인맥이나 훨씬 낫지만
미국 교수는 (한국인이 아니라면 특히) 논문실적 찍어내기에 관심이 없고 좋은논문만 쓰라고 하기 때문에
미박하면서 신경 못쓰면 국내에 아예 지원하지 못하는 상황이 생김

반대로 미박이면서 국내에 지원 가능한 실적이 있다면 잡스러운 실적만 많은 국박들보다 훨씬 대접받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