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첫 논문과 제안서를 쓰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요즘 계속 드는 생각이, 대체 어떻게 해야 글을 잘 쓸수 있을까 하는 것입니다.
가끔씩 논문 쓴거를 교수님과 함께 공유할때면, 교수님께서 첨삭을 해주실때가 있는데 바뀐 문장을 보면 분명 내용은 같거나 비슷한데 제가 쓴거보다 너무나 세련된 문장이 되어있습니다.
제안서를 쓸때도 마찬가지인데, 분명 랩실 선배들한테 미리 첨삭을 받고 교수님께 드려도 교수님 첨삭이 항상 더 결과물이 좋습니다.
물론 당연한 결과겠지만, 대학원 입학한지 벌써 1년이 넘었는데도 아직 제대로 글쓰기를 못하는것 같아 걱정이 많이 됩니다. 지금이야 교수님이나 선배들이 첨삭을 해주지만 나중에는 혼자서 글도 쓰고 후배들 들어오면 제가 첨삭도 해줘야 할텐데, 잘 할수 있을지 자신이 없네요...
논문을 읽으면서 좀 괜찮아 보이는 문장을 적어두곤 하는데, 제가 어휘력도 부족하고 네이티브가 아니다보니 매끄럽고 센스있는 문장을 만드는게 너무 어려운것 같습니다.
보통 글쓰기 연습을 할 때 어떻게들 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2.04.02
"논문을 읽으면서 좀 괜찮아 보이는 문장을 적어두곤 하는데"
잘 하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이보다 더 잘하려면 그저 내 생각을 영어 글로 많이 써보는 수 밖에 없지 않을까요.
2022.04.02
전 scientific writing 관련 책 하나 볼려고 했는데 시간이 안나서 논문들 좋은 표현들만 메모해두고 있습니다...
IF : 5
2022.04.02
일단 한국어로 글 잘 쓰는게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연구실에서 선후배동기들 논문 첨삭할 때 보면 한국어로 써두고 영작하는 경우가 좀 있는데요, 한국어 원문도 좀 터치가 많이 필요한 수준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한국어로 과학적 글쓰기는 자신있게 하신다면, 그냥 많이 읽고 쓰는게 좋습니다. 저는 단지 논문 작성 연습을 위해 논문을 많이 읽는게 과연 좋은가 생각은 합니다. 생각보다 글쓰기 수준이 좋지 않은 논문도 많아서요. 1~2년차에 논문 작성을 일단 스스로 하시는거면 잘하고 계세요. 생소한 스타일에 생소한 언어니까 어려운게 당연합니다.
대댓글 5개
IF : 5
2022.04.02
그리고 세련된 표현 이전에 뭔가 내 글이 전체적으로 정리가 잘 안 되어있는 느낌이라면 1)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과 순서, 인과관계가 논리적인지 2) 그 내용이 다시 읽어봐도 다 전달이 되는지를 먼저 파악해보세요. 좋은 단어 쓰는 것보다 일단 과학적 글쓰기는 전달이 우선입니다.
2022.04.02
답변 감사합니다. 사실 그 부분도 문제중 하나에요... 저는 글을 쓸 때 우선 글을 어떻게 구성할지 큰 틀은 짜놓기는 해요. 근데 사실 여기서부터 힘이 듭니다. 그래서 글을 쓰면서 틀을 계속 바꾸곤 하는데 제가 혼자서 하는건 아무래도 많이 부족한거같습니다. 첨삭을 받으면 논리 전개나 글의 순서에서 종종 바꾸는게 좋겠다는 의견을 받기도 하구요. 부족한게 보여도 이걸 어떻게 바꿀지 더 좋은 방안이나 표현이 생각나지 않는다는게 가장 큰 문제인거같네요 ㅠㅠ 이건 글쓰기에 익숙해지면 해결되는 문제일까요?
IF : 5
2022.04.02
그럼 지금 단계에선 영어 글쓰기가 일차적인 문제가 아닌 것 같습니다.
논리적 사고가 아직 다듬어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쓰면서 틀을 계속 바꾸는건 글을 잘 쓰는 사람에게도 쉽지 않은 일이예요. 그렇게 바꿨을 때 다 말이 되는지 안되는지를 따져봐야 하니까요. 미리 틀을 인과관계와 논리에 따라 확실하게 정해두고, 거기서 일단 첨삭을 받은 다음에 글을 써 보세요. 각 블록 간 이어지는 연결어나 연결문장이 논리적으로 말이 되는지 따지는게 매우 중요합니다.
2022.04.02
감사합니다... 언어보다 논리적 사고방법으로 글을 쓴다는 것에 익숙해져야 되는거군요
2022.04.04
이거 우리 교수님이 우리한테 하는 말씀인데..
2022.05.19
저도 한 때 영어로 글을 어떻게 써야하는가에 대해 고민을 많이 했고 현재 진행 중이만 최근 드는 생각은 영어가 문제라기보다는 전반적인 글을 어떻게 짜느냐가 핵심인 것 같습니다. 위에 말씀하신 분들처럼 좋은 문장을 모아두는 것도 좋지만 좋은 글을 찾고, 그 글을 통으로 외우는 것도 좋은 것 같아요. 어떤 분야를 연구하시는지에 따라 리딩의 양이 달라지겠지만 top tier 저널에서도 citation이 많은 글들이 좋은 글일 확률이 높은 것 같습니다.
2022.04.02
2022.04.02
2022.04.02
대댓글 5개
2022.04.02
2022.04.02
2022.04.02
2022.04.02
2022.04.04
2022.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