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4학년 학부연구생하면서
IEEE transactions 어디어디에 1저자로 들어간 페이퍼 제출했고 승인 기다리는중인데..
교수님은 크게 문제없을거라 하셨는데
너무떨리네요..
혹시 학부생이라 근거가 약하다거나 하는이유로 거부당할수도 있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2.04.12
어디어디가 어디인지는 모르겠으나
이정도 답변은 연구실에 있는 선배분들에게 물어봐도 알 수 있지 않는지요?
2022.04.12
논문 낼때 학부생인지 아닌지 리뷰어가 알지도 못합니다.
대댓글 2개
2022.04.12
더블블라인드 논문이 아니라 에디터나 리뷰어의 선입견이 작용한다해도 그 대상은 교신저자지 1저자가 아님...
2022.04.12
IEEE Transaction 은 보통 싱글 블라인드고 autobiography 리뷰에 포함돼서 알 수 있습니다.
IF : 2
2022.04.12
학부생이라 실력이 부족해 논문 퀄리티가 낮을 수 있다 : T
리뷰어가 학부생이라 거른다 : F
사려깊은 버트런드 러셀*
2022.04.12
심사하는 곳에서는 학부생인지 알지도 못하고,
교수님 지도방침에 따라 안어려울수도 있죠. 박사처럼 혼자 계획해서 쓰려면 당연히 어렵겟다만
2022.04.12
Transaction이면 biography 쓸텐데 심사하는곳들은 다 익명성 버전으로 제출하게 하지않나요? 다른저널은 모르겠지만 저희분야 Trasaction들은 리뷰어한테는 익명버전으로 갑니다.
그리고 저도 학부생때 논문써봤지만, 어차피 지도교수가 학부생이 쓴 논문이라서 더더욱 신경써서 교정해주셨을거에요. 아마 본인이 교수의 지도에 맞춰서 실험하고, 논문써가시고 교수가 수정 많이 해주셨을거라고 생각되네요.
지도교수도 해당저널에 많이 내보셨을텐데, 딱봐서 사이즈 나올것 아시고 말하는거일거에요.
2022.04.12
아이디어 내고 실험 스크럼 짜고 논문 형식으로 얼추 맞췄다 해도 사실상 석사 1년차까진 지도교수가 논문은 다 뜯어 고치는게 일반적 ㅋㅋ
2022.04.13
교수님이 크게 문제없을꺼라고 할 정도면 걱정 안 하셔도 된다는 뜻입니다. Transaction 떨어지더라도 다른 좋은 곳 어디든 붙는다는 확신은 있으시다는 뜻입니다. 보통은 아무리 자신 있어도 붙는다고 확신하기 쉽지 않은데 이 경우에는 자신이 꽤 있으신듯
2022.04.12
2022.04.12
대댓글 2개
2022.04.12
2022.04.12
2022.04.12
2022.04.12
2022.04.12
2022.04.12
2022.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