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 수료

2022.04.12

8

2448

종합시험과 영어시험을 통과해야 수료증명서가 나올까요? 해당대학원에서는 통과안해도 가능하다고 했는데 타대학원의 경우는 어떤가 궁금하네요.. 혹시 영어시험 통과안했지만 석사수료증 나오신분있으실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2.04.12

정규 수업을 다 들었으면 나올듯
근데 그게 의미 있나 싶음...졸업이 아닌데...

대댓글 7개

2022.04.12

앞으로 1년반 남았는데 학문특성상 취업하는 학과는 아니라서 취업에 도움주기위해 석사온건 아니고 자아만족감, 그래도 학원강사나 창업, 작가할때는 이력경력란에 쓸수 있다는 생각에 1년반 더 다니려는건데 의미 없을까..

2022.04.12

학원강사는 강의경력이나 주변 추천으로 들어가면 괜찮을 듯 한데, 나머지 사유는 의미없음...
굳이 대학원 다닌다면 자아만족감을 위해 다니셔야 할것 같네요. 쓰신 내용에 단순 석사 수료는 큰 의미없어요.
그만둘꺼면 빨리 그만두고, 다닐꺼면 졸업까지 하세요.
분야마다 차이가 있지만 석사면 보통 2년 다니면 졸업하니 수료 보단 졸업을 하세요.
수료와 졸업의 차이는 졸업조건을 채웠냐 안채웠냐의 차이지만 사회에서의 인식은 큽니다.(학과에서 요구하는 이수 교과목 및 학점을 채우면 그 시점부터 수료입니다.)
특히 박사의 경우에는 지도교수가 괴수여서 졸업논문 통과못시켜주거나, 학과 기준 졸업 조건 미달, 병역 문제로 인해 그나마 이해되는데 석사의 경우에는 왠만하면 2년다니면 졸업시켜주어서 석사 수료 자체가 디메리트입니다.

2022.04.13

졸업까지하고싶은데 논문이 2년정도걸려요... 석사인데도,, 그래서 다른대학원에 들어가자니 한학기한것과 비용적 시간적으로 더들어가니 수료까지 하기로 선택한건데 참 어렵네요ㅠㅠ

2022.04.13

해당 연구실 선배분들이 평균적으로 석사 졸업이 3.5년 걸렸나요?
논문 작성하는데 2년 걸린다니...?
보통 마지막 학기때 수업안듣고 본인 연구에 집중해서 졸업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지 않나요?
석사로 졸업하신 분들이 평균적으로 2.5년을 이상이면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제가 말한 기준은 전일제기준입니다.
파트타임으로 듣게 되면 교수님에 따라서 졸업논문 쓸 때 시간이 걸려요.

2022.04.13

전 인문대인데 4학기까지 수업을 듣고 수료후 논문을 쓰는경우가 대부분이라 최소 1.5년, 2년까지는 잡네요.. 졸업이 2.5반, 3년정도걸리면 당연해볼만한데, 졸업까지 스트레이트로 달린다면 4년, 조금 여유있게 한다면 그이상 걸리다보니 수료까지 생각을 하고있어요ㅠㅠ 시간이 너무 아까워서... 그런데 수료가 의미가 없다니 참 암담해요.. 다시 다른대학원가자니 더 걸맞는곳도 없고..

2022.04.13

분야마다 차이가 있긴한데 인문 계열은 차이가 유독 심하네요.
이공계 계열은 3학기때까지 정규수업듣고 4학기는 연구 지도 관련 수업만 들으면서 실질적으로 수업안듣고 졸업논문에 집중할 수 있도록 최대한 배려해주는데...
석사가 오래걸린다고 하면 정규 수업까지만 듣고 취업 등을 하고 파트타임으로 수료 상태에서 멈추면서 논문 주제에 관련해서 잡아보시는걸 추천드려요.
지도교수님도 해당 논문으로 써도 된다고 허락받으면 그 순간부터 졸업할때까지만이라도 다시 전일제처럼 논문 작성에만 집중하시는게 그나마 손해를 덜보지 않을까 싶네요.
진짜 석사수료하게 되면 그 중간이 붕뜬 경력단절이 돼서 힘듭니다.

2022.04.13

그런데 저의 경우는 수료가 졸업으로 바뀐다고해서 못하는 취업을 할수 있다거나, 더 좋으곳으로 갈수 있지가 않고 수료를 하건 졸업을 하건 단지 이학교에서 석사에서 수료했다, 졸업했다 이정도 사실인데... 작가를 하던 학원에서 일을 해도 어디 수료라고는 쓸수있고 충분히 가능하더라고요. 기업이력서에는 못쓰거나 오히려 마이너스일수 있지만요.
수료가 졸업으로 바뀐다고해서 얻는 이익은 하나도 없고, 그렇지만 아끝냈다, 남들이 볼때 수료가 아닌 졸업한사람이네. 무엇보다 얻는 이익이 없어도 뭔가 심리적으로 인정 받을수 있다는 있다는 장점은 있습니다. 사실 이걸 위해서 4년이 걸리더라도 수료아닌 졸업을 해야하나 싶기도 한데.. 이런고민하는 사람은 진짜 거의 없는 실정같아 참으로 고민이 더 되네요 답변남겨주셔 감사해요 저도 답변처럼 할수있다면 그래도 좋을것 같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