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컴공에서 네이쳐 사이언스?

쑥스러운 코페르니쿠스*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2.04.17

9

3926

컴공은 흔히 저널보다 탑티어 학회 (예. ai 기준 cvpr, iccv, nips, icml) 논문 (oral) 이 중요하다고 하는데
nature, science 같은 저널보다도 탑티어 학회가 선호되나요?
물론 분야의 특성상 이런 저널에 낼 일이 흔하진 않지만,
만약 연구 토픽이 운좋게 이런 저널에 낼 수 있는 주제라면
그래도 nature, science 보다 탑티어 학회들이 선호되는지,
아님 nature, science 저널 논문을 갖게 되면 훨씬 인정을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2.04.17

거의 낼 일도 없고 안 내서 그렇지 당연히 네이처 사이언스가 더 인정받긴 할듯
알파고도 그랬고
염세적인 카를 가우스*

2022.04.17

보통은 토픽이 맞지 않긴 합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nature나 science에 게재되었다고 하면,
얼마나 쩌는 연구를 했길래 그렇지? 라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실제로 딥마인드에서 nature 되었을 때 졸라 신기하긴 했었고요. 근데 딥마인드 정도 되니까 그런 try를 하지 보통은 그쪽으로 아예 생각하지 않는 듯 싶네요.

2022.04.17

네이처나 사이언스가 선호되지는 않습니다. 보통 아예 토픽이 다르거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이처나 사이언스에 냈다고 하면 확실히 새롭고 대단한 연구라고 주목받고 인정받기 쉽습니다. 딥마인드 처럼요.

2022.04.17

전산에서 Nature Science 내면 좋은 의미에서 특이한 이력이죠. 아무래도 공학 전반적으로 Nature 나 Science 같은 대중과학 저널들이 선호하는 주제를 연구하는 경우가 매우 드물어서 시도해볼 기회가 별로 없습니다. 가끔 PNAS는 내는 사람들이 있더라고요.

2022.04.17

컴공에서 단독으로 N, S 나온건 거의 못 본거 같고 타 연구실이랑 협력해서 낸 논문은 가끔 봤습니다. 대부분 매우 훌륭한 연구들이었습니다.

2022.04.17

분야무관 NCS에 실리기만하면 대박이죠.. NCS본지 에 실리는 논문의 대다수가 특정분야일뿐이죠.

대댓글 1개

2022.04.17

NCS본지와 특정학과 탑저널/학회랑 accept난이도 차이는 크다고 생각합니다.

IF : 1

2022.04.17

NCS 본지는 둘째치고, 자매지 하한선인 네컴이나 사이언스어드밴스 정도만 돼도 학회랑은 비교 불가입니다. 컴공에서 다루는 토픽은 자연과학 저널인 NCS 와 맞지 않기 때문에 내지 못하는 것일 뿐입니다.

대댓글 1개

2022.04.18

저도 CS 전공인데 이건 공감이 안가네요. 분야 별로 다르긴 하겠지만 (저는 시스템 분야 입니다), 네컴 정도면 해당 분야 탑티어 학회랑 비교하면 크게 다르지 않거나 오히려 더 별로입니다. 분야 탑티어 저널만 해도 IF 가 네컴에 비해 떨어지지 않고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