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점 낮아도 연구자로 성공 가능한가요?

착한 백석*

2022.04.22

24

5931

안녕하세요

서울 중위권 대학 3-2 복학 예정인 생명공학과 학생입니다.

다름 아니라, 제목 대로 학점 낮아도 연구자로 성공 가능한가 궁금합니다..

제가 말하는 낮은 정도는 제 학점 2.9를 기준으로 말했습니다.(코로나 전 기준입니다. 이제 복학하거든요.)


저는 새로운 논문 읽거나 최근 유행하는 바이오 생명공학 기술을 좋아합니다.
즉, 그냥 호기심이 엄청 많은 타입이에요.

근데 이상하게 시험공부는 재미가 없고 좀 부족한 편이여서 학점이 낮았습니다.

원래 연구자가 꿈이었는데 아무리 학점 올려도 3점 초중반 3.4? 정도 가 최대일거 같아서.

학과 담당교수님이랑 오늘 면담하는데, 연구 관심은 있는데 다른 친구들 처럼 학점 열심히 챙길 자신도 없고
이런상태로 대학원 가봤자 잘 안될거 같다 라고 했는데

교수님이 허허 웃으시더니

학점과 연구 잘하는 것은 연관성이 거의 없다 하시더라고요.

대학원가면 어차피 지식은 계속 논문 읽고 부딪히고 찾다보면 쌓아지는 것이라고

정말 중요한건 호기심을 유지하고, 연구자적 마인드를 갖는 것이라 그러시는데

솔직히 대학원도 안가봐서 와닿지도 않고 제가 생각하는 연구자는

박학다식한 느낌인데 교수님이 그냥 저 듣기 좋으라고 하시는 말일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4개

IF : 5

2022.04.22

교수님 얘기가 맞습니다. 교수님이야말로 평생 연구해오신 분인데 그분이 정말 잘 아시지 않을까요? 성적 좋아도 연구체질은 아닌 경우도 있고, 둘다 잘하는 사람도 있고, 성적 안좋아도 연구는 잘하는 사람도, 둘다 영 자질이 없는 경우 전부 다 가능해요.

대댓글 2개

착한 백석작성자*

2022.04.22

대학원을 안가봐서 그런가 아무래도 좋은 논문을 쓰려면 많이 아는 사람들이 더 잘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했는데 연구자는 좀 다른 느낌인가보네요 뭔가 의욕이 좀 생기는 것 같습니다...!

IF : 1

2022.04.25

이미 알려진걸 습득하는거랑
새로운걸 찾아내는거랑은 다릅니다.
우리는 대학교까지 새로운걸 찾는법을 배운적이없어서, 누가 연구를 잘 할지 모르는거죠.

2022.04.22

솔직히 학점과 연구는 같이 가면서도 다른 영역인거같아요
학점 높다고 연구를 잘하는것도, 낮다고 연구를 못하는것도 아닌거같아요

대댓글 1개

착한 백석작성자*

2022.04.22

그렇군요.. 연구란 일을 해본적이 없어서 그런가 알듯하면서 모르겠네요...! 역시 최고는 경험이겠죠 ㅎㅎ?

2022.04.22

분야에 따라다릅니다
하지만 상관관계가 없다고할순없겟죠

대댓글 1개

착한 백석작성자*

2022.04.23

그렇군요... 그런 분야를 찾으려면 어떤식으로 알아보는게 좋을까요?
긍정적인 마르셀 프루스트*

2022.04.22

교수나 연구자가 되려면 남들이 써놓은 논문, 책 같은거 무진장 많이 읽어야되는데 시험공부가 적성에 안맞는 사람이 그런걸 잘 해내기가 힘들겠죠.. 그래도 연구분야중에서 공부 머리가 약간 덜 필요한 분야도 있으니 그런걸 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대댓글 1개

착한 백석작성자*

2022.04.23

이 교수님이 in vitro 쪽으로 상당히 유명하신 분인데(업계내에서) 이쪽 분야가 실험+결과 위주인 분야라 그런거라 그런걸까요? 그런것을 어떤식으로 찾아보면 될까요? 뭔가 이론적인 부분보다는 실험 기술과 분석기술이 주된 영역을 찾으면 되려나요..?

2022.04.22

상관관계가 좀 있을수 있어도
인과관계는 확실히 없는 듯.

대댓글 2개

착한 백석작성자*

2022.04.23

연구를 잘한다는건( 뛰어난 박사라는 건) 뭔가 기발한 생각을 잘하고 계획하고 그걸 남들에게 좋게 설명하는 건가요?

2022.04.23

1. 기발한 생각을 잘하고(it depends on), 2.계획하고(실험을 설계해야 되서 기본베이스), 3.남들에게 좋게 설명하는(케바케)
글쌔요. 연구의 종류가 여럿있는데 기발한 생각을 해서 문제를 푸는 연구도 있고, 문제를 잘 정의에서 issue reporting을 하는 연구도 있고, 연구의 트렌드에 맞는 적절한 방법론을 풀어서 연구하는 것도 있고, 다양해서 머 이거다라고 말하긴 좀 애매하지만,
항상 그런건 아니지만, 객관적 지표로
좋은 저널에 투고가 많이 된다하면 이 사람 연구 잘하네 라고 보통 통상적으로 사용하죠.
방정맞은 우장춘*

2022.04.23

학과 공부에 대한 이해와 성실함이 있어야만 좋은 성적을 얻는 다는 상관 관계가 분명하다면 학과 성적이 연구 성과와 연관도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한국 대학은 주도적인 공부보다는
족보 보고 쓸 때 없는 인관관계 만들어서 선배들한테 정리 자료 받아 공부하는
수준 이하의 전공 공부가 많아서
학과 성적과 연구 성과와의 상관 관계가 낮다고 생각합니다

2022.04.23

지금까지 한 공부는 '기존의 지식을 습득하는 행위' 입니다.
앞으로 하실 연구는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는 행위' 입니다.
다른 거죠. 윗분 말씀처럼 상관관계는 좀 있으나, 인과관계는 없다고 보는 게.

2022.04.23

연구는 배경지식이러는 구슬과 그것을 꿰는 연구 능력의 합인듯. 둘다 중요하지만 적은 구슬도 잘 꿰면 좋은 연구는 될 수 있음. 당연히 많고 다양한 배경지식을 알면 매우 도움됨.

대댓글 3개

2022.04.23

저도 비슷하지만 약간 다르게 생각하는 게, 교과서에서 배운 전공 지식으로 세부 연구 주제 에서 발생하는 이슈를 이해 및 접근해서 데이터를 만들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는 관점에서 보면 연구 수행 과정에서 나오는 결과들이 구슬이고 배경 지식이 그 구슬들을 꿰는 일이라고 보는 게..

2022.04.23

일* 실

2022.04.23

그런듯
튼튼한 앙투안 라부아지에*

2022.04.23

쌉가능

2022.04.2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점이 낮아도 연구는 잘할 수 있다.
그러나 학점이 낮으면 더 좋은 학교에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는 없다.

2022.04.23

과 탑 수준인데 대학원와서 퍼포먼스는 떨어지는 경우, 학점 3.0도 안되는데 나중에 실적은 탑 찍고 교수되는 경우 다 봤습니다.

2022.04.24

연구자가 우리나라에 한둘도 아니니 여러 "예외"적인 상황은 분명히 있지만, 학점이 높은게 연구를 잘할거란 보증은 못되지만 학점이 낮은데 연구를 잘하긴 어려울 건 같습니다. 물론 그 학점이 낮은 이유가 여러가지일 수 있단거 학부 다녀봐서 알지만, 기본적인 전공지식이 부족한 상태에서 새로운 지식을 도출해내는건 현실적으로 어렵겠죠. 학점 높은 사람들이 갖고있는 그 전공에 대한 이해도, 경험, 이론들의 스토리라인이 없이 그들과 승부보는게 쉬운일은 아닐거 같습니다. 비방할 목적은 아니지만 학점이 낮아도 연구 잘할 수 있다는 사람치고 학점 높으신분은 못본것같습니다..

2022.04.24

마이클 패러데이 아시나요? 작성자님이 패러데이 만큼의 업적을 낼 수 있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이런 사람도 있습니다.

2022.04.24

학점은 그냥 나 이만큼 열심히해~라고 보여주는 수치이고 학점이 낮아도 진지하게 학문에 임하면 충분히 성과나오는건 가능해요 다만 남들보다 출발점이 조금 뒤쳐지는것 뿐 노력으로 충분히 커버가능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