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화학 합성에 미래는 없을까요

2022.05.23

8

3351

다소 급진적인 제목 먼저 사과드립니다.

저는 서울 소재 모 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어찌저찌 공부를 하다 보니까 이 전공이 마음에 들기도 하여 유기화학쪽으로 대학원 진학을 고민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이 많이 보여서 의견을 듣고자 글을 쓰게 됐습니다.

요약하자면, 단순 생산직이 로봇에 의해 대체되는 것 처럼 합성 메커니즘 디자인은 AI에게, 합성은 로봇에게 대체되어서 결국 CS를 공부하는 사람만 살아남고 나머지 분야의 인력 수요은 떨어질 것이라는게 골자였습니다.

사실 학교를 지금까지 다니면서 비슷한 뉘앙스의 말을 많이들 들은 것 같습니다. 메타버스, 4차 산업혁명 이런거 있지 않습니까.
학교에 걸려있는 채용공고 플랫카드만 봐도 소프트웨어, 전기전자쪽은 많아도 화학계열은 Lg화학, sk하이닉스 등을 제외하면 몇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이제라도 컴퓨터를 배워야 하나, 아니면 이대로 밀고가는 것이 많나 진로 고민이 많습니다.
고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조급한 라이프니츠*

2022.05.23

화공 박사과정의 개인적인 의견으론.. 100% 시뮬레이션으로 뭔가를 하는건 갈길이 까마득히 멀어 보입니다. 변수가 너무 많아요... 그리고 유기합성은 붐이 일진 않겠지만 망할 수는 없는 분야죠
얌전한 버지니아 울프*

2022.05.23

당장 배터리 반도체 연료전지 회사들 죄다 인력난인데 가까운 미래는 가장 창창한 분야아님? 그냥 학부애들 취업나가는거만 봐도 엘화 앤솔 삼전 sdi 전기 한화 롯데케미칼 다 대겹인데.. 학부생이라 아직 감이 없는 거일 수도 있는데 타분야 애들 들으면 빡칠듯ㅋㅋㅋ

2022.05.23

ai, 로봇 하는데 공장 공정도 자동화 제대로 안이루어지는 마당에 전혀 신경쓸 부분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2022.05.24

네??? 완전 반대로 알고 계시네요..

현직에 일하시는 박사급 인력분들이 하는 말로는 오히려 CS 관련 연구하시는 분들이 너무 많고 시뮬레이션이 발달해서 이전에는 해보지 못했던 루트들로 합성 방법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고 합니다.
해야하는 합성은 많은데, 합성 할 사람이 없다고 합니다..

제 후배들중 합성 관련 연구했던 친구들 다 대기업 연구직으로 가 있습니다
호탕한 프리모 레비*

2022.05.24

AI 이야기 나온지가 언제인데 아직도 갈 길 많이 멉니다. 유기합성 같은 분야는 꾸준한 분야지요. 로봇으로 유기합성 대체하려면 몇 십년 가지고 안될 듯. (prototype이 나온 게 있긴 한데 역시 갈 길이 멉니다)

2022.05.24

한결같은 분야임. 절대 망하지도, 흥할 수도 없고 언제나 수요와 공급이 필요한 분야.
허기진 마이클 패러데이*

2022.05.24

Sustainability 때문에 현재 고분자 합성 쪽으로 엄청난 수요가 있습니다. 예전에는 단가때문에 회사들이 biobased materials나 recycling의 경우 아카데미아에서 주로 진행되었는데, 요즘 ESG 때문에 특히 미국 재료회사에서는 합성 잘 하는 사람 많이 뽑습니다. 지금만큼 좋은 시기가 없어요

2022.06.10

논문만을 위한 합성 연구는 미래가 없다고 봅니다. 고분자 합성이나 실제 필요한 합성은 좋구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