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 정보가 없어서 질문올립니다.(교수님 인품이나 논문지도력 인건비등등에 대해 듣고싶습니다.)
특히 정교민교수님은 홈페이지 들어가봤더니 석사생대비 박사생비율이 높아 나쁜것같진않은데
자대생인지 타대생인지가 나와있지않아서 타대생을 잘 받아주시는지도 궁금합니다.ㅠㅠ
또한 최진영교수님 랩도 들어가기 어렵나요 최진영교수님은 여기에 평가가 나왔는데 매우 좋게
나와서가고싶은랩인데 인기랩은 들어가기 힘들다고 들어서 좀 걱정이 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전공이*
2018.11.23
한국은 에이아이 죽이고 있는데 과연 연구실이 중요할까요?
최진영 교수랩이 낫습니다.*
2018.11.24
정교민 교수 랩 비추입니다. 우선 과제 부분(가짜 뉴스 분별)도 그렇구요. 논문실적도 좀 그렇네요. 최진영 교수 랩은 빡세게 시키지만 그만큼 얻어가는게 많을 거예요. 응용분야도 핫한 분야이구요.
정교민교수님 인품*
2018.11.24
정교민교수님 인품에대한이야기도 궁금합니다 사실 최진영교수님은 좋긴한데 인기랩같아서 들어갈수있을지도 모르겠고 정교민교수님랩은 괴수랩인지아닌지 파악이 안되서요 ㅠㅠ 그리고 저는 AI에 흥미가 있어서요
우선 김박사넷 평을 보더라도*
2018.11.26
최진영 교수님 평이 훨씬 더 좋구요. 그리고 정교민 교수 랩 이미 자대생이 잘 안갈려고 하는 랩으로 슬슬 가고 있고요. 최진영 교수님은 ETRI에서 거의 10년 정도 실전 능력이 있으시면서 동시에 예전에 제어를 연구해서 이미 AI에 대한 기초는 탄탄하세요. 반면 정교민 교수님은 수학전공에 현재 그 다지 좋은 어플리케이션이 없어 수학적인 연구를 많이 합니다. 어떤 연구가 님한테 좋은 연구인지는 님이 판단하시길.
위에 댓글 다신분 잘 모르시는분입니다*
2018.11.26
댓글 안달려고 했는데 윗분 내용이 너무 어이가 없어서 댓글답니다.
잘 모르시면서 엄청 아는척하면서 댓글다신 것 같아요.
정교민 교수님랩 이번에 신입생 2명 모두 자교 전기과 출신이고요. 정교민 교수님 연구실은 수학적인 연구는 일부분일 뿐이고, 주로 자연어처리쪽으로 연구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장 2019년도 AAAI 논문 3개 중에 2개가 자연어처리 관련이구요.
주 연구분야가 최진영 교수님 연구실은 컴퓨터 비전, 정교민 교수님 연구실은 자연어처리 이므로, 더 관심있는 분야의 연구실 선택하시면 됩니다.
최진영 교수님은 개인적으로 학부때 수업들은 교수님 중에 가장 존경하는 분이며, 정교민 교수님도 합리적이신 분으로 두분 모두 좋은분이십니다.
김박사넷이 익명성이 장점이지만 윗분처럼 터무니 없는 내용을 달아도 검증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연구실에 관심 있으시면 랩구성원이나 교수님께 직접 연락하고 찾아뵙던가 하시는게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저라면*
2018.11.28
최진영 교수 한 표 입니다. 교수 인지도를 떠나서 두분을 고려하셨다면 제가 볼땐 인공지능이라는 공통주제로 접근하신거 같은데 그렇다면 애플리케이션을 고려해 보세요. 이거 나중에 취업과 직결되고 평생 님한테 속을 썩이거나 아님 잘 고르면 행복감을 줄 겁니다. 우선적으로 시각적인 것이 청각적인 것 보다 더 활발히 연구되어 있고 잡시장도 훨씬더 큽니다. 그리고 AAAI 예로 들면서 자연어 처리가 마치 우세하다고 윗분이 예를 드셨는데 AAAI는 해외 인공지능 학회 중 조금 마이너 학회이구요. specific한 주제가 많이 나옵니다. 학회를 몇 군데 찾아보면 비전 및 패턴인식 분야가 자연어 처리보다 월등히 많구요. 그리고 학회의 선택폭도 더 큽니다. 그리고 간단히 두 교수님을 비교하기 전에 실험실에 대해 서치 하려면 그 실험실의 publication을 보시면 아세요. 실험실 인원 개인당 평균 publication을 계산해보면 어느정도는 감잡을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식의 정량평가가 전부는 아니지만요.
윗분같은 분을 조심하세요*
2018.11.28
우선 윗 댓글에서 자연어처리가 비전보다 우세하다고 한적이 없습니다. 오해하신 것 같은데 정교민 교수님 연구실의 2019년도 AAAI 논문 실적 3개중 2개가 자연어처리 분야라는 내용입니다. 각 연구실 별로 홈페이지 들어가서 최신 논문 실적을 보면 어떤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는지는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필드에서 비전을 하든 자연어처리를 하든 어느 분야나 핫한 분야이구요. 윗분 자연어처리가 마치 청각 연구만 하는 뉘앙스로 써놨는데 자연어처리가 뭔지도 모르시는 분인거 같네요 ㅋㅋㅋㅋ 용어도 그렇고 윗분같은 분 조심하세요 ㅋㅋㅋ
저는 특정 연구실이 더 좋다는 뉘앙스로 글을 쓴것도 아니고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기 위해 글을 썼을 뿐입니다. 두 연구실 모두 좋은 연구실이며 관심있는 분야를 잘 탐색해보시기 바랍니다.
다시 한번 말씀 드리지만 윗분같은 이상한 분들이 많기 때문에 김박사넷의 정보를 무조건 신뢰하시면 안되며 신중하게 연구실 고르시기 바랍니다.
김박사넷이라는 건 각자가 주관적인*
2018.11.29
정보를 주는 하나의 장입니다. 님도 주관적인 정보를 주는 것이고 이 주관을 객관적인 것으로 착각하면 그건 정말 넌센스겠죠. 저는 자연어 처리에 대해서 질문자가 잘 모르는 거 같아 하나의 예만 들었을 뿐이고 이것에 대해 자연어 처리 분야가 더 넓은 분야다라는 님의 지적은 받아들입니다. 하지만 비아냥은 삼가하시지요. 그리고 님도 김박사넷 정보가 신뢰가 안된다면 더 이상 이 사이트를 안들어오면 되겠죠. 왜 자꾸 들어옵니까. 그리고 연구분야는 신중하게 선택을 해야 합니다. 개인에 따라 본인스스로가 기호하는 분야가 있고 그것이 내 분야라고 생각한다면 그 분야를 가야 하겠지만 질문자가 처럼 분야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고 질문하는 경우에는 저 처럼 도움을 주고싶겠죠. 그리고 질문자는 어차피 두 교수님 실험실 중 한 실험실을 선택을 할 겁니다. 그렇다고 한다면 그 선택에 도움이 되는 답변을 할 때 님 처럼 발끈하는거에 있어 거짓된 정보를 준다고 한다면 반대로 정교민 교수님 랩으로 가라고 하는 댓글에 대해 최진영 교수님에게 한표를 던지는 답변을 하는 사람은 그 댓글을 뭐라고 생각할까요? 님이 저에게 지적한 것처럼 거짓 정보를 주는 것이라고 표현해야 할까요? 그냥 정교민 교수님 장점이 있다면 그냥 장점만 적으십시오. 왜 죄진영 교수님에 대해 한표 던지는 글에 폄하의 글을 쓰나요
그리고 무엇보다도*
2018.11.29
학생이 실험실을 고른다는 것은 단순한게 아닙니다. 교수뿐만 아니라 실험실 멤버의 실적도 그 평가 대상에 포함을 시켜야 합니다. 논문 실적이 안나오는 분위기의 실험실에 들어가면 마치 논문이 대단한 것인거 마냥 멤버들은 신입생에게 인식을 시켜주면 그 사고 방식으로 대학원 생활을 하면 논문에 대해 자신감이 붙지 않습니다. 그러면 논문 하나 쓰는데도 엄청 부담이며 그 결과는 그 랩의 분위기 대로 결과가 나옵니다. 최진영 교수님 랩같은 경우 실적이 상당히 잘나오며 거기에 분야자체가 졸업후 진로에 상당히 유리합니다. 각종 장비회사나 소프트웨어 회사 등등 웬만한 회사들이 비전 전문가를 모셔갈 겁니다.
2019.02.14
ㅋㅋㅋ지나가다가 관심있어서 들렀는데
홈페이지 한 두번 둘러본거 가지고 랩자체를 판단하는 사람이네요 ㅋㅋㅋ
1. 정교민 교수님 연구실에 자대생 안간다 => 신입생 자교 2명 => 아닥
2. 수학과 출신이라 수학적인 연구만 한다? => 자연어 처리 연구 위주로 한다 - AAAI 논문 낸 3 편 중 2편이 자연어처리다 => 갑자기 AAAI 는 마이너한 학회고 자연어 처리도 마이너한 주제다 ㅋㅋㅋㅋ
뭔 아무 것도 알지도 못하면서 진실인거 마냥 댓글 적어놓고 이상한 말로 둘러치기 바쁘네요
그래놓고 비아냥은 삼가시지요 ㅋㅋㅋㅋㅋㅋㅋㅋ 장점만 적으세요 최진영 교수님 글에 폄하의 글을 쓰나요 이러고 앉았네ㅋㅋㅋㅋㅋㅋㅋㅋ 거짓말을 진실인거 마냥 적어 놓질않나 , 보면 폄하의 글은 자기가 정교민 교수님에 대해 많이 적었지 어디 눈씻고 찾아봐도 최진영 교수님 연구실에 대해서 나쁘게 말한 부분도 없는데 ㅋㅋㅋㅋ
어디서 뭐하는 사람인지 모르겠는데, 열심히 삽시다 많이 부족해보이네요 여러모로
2019.02.27
주관적인 의견들이 모여서 모두로 하여금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게끔 하는 곳이겠지요. 본인이 비아냥거리고 있으면서 비아냥을 삼가하라니 츠암으로 아이러니한 사람~~ 나쁜사람~~
2018.11.23
2018.11.24
2018.11.24
2018.11.26
2018.11.26
2018.11.28
2018.11.28
2018.11.29
2018.11.29
2019.02.14
2019.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