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안녕하세요 JTBC 윤정주 기자입니다.

2022.06.29

44

15619

안녕하세요 늦은 시간에 커뮤니티에 글 남깁니다.

JTBC 윤정주 기자라고 합니다.

이번 윤성로 교수 표절 사건을 보면서 많은 분들이 랩실에서 이미 만연한 문제가 터진 것 아니냐는 말씀들을 주시고 있습니다.

이번 일을 계기로 한국 연구실 문화가 달라지고 다시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취재, 보도해보려 합니다.

혹 이번 윤성로 교수 연구팀 표절 사건에 대해 알고 계신 분이나 또 다른 연구 표절 사례에 관해 알고 계신 분은

010-4023-7209나 yun.jeongju@jtbc.co.kr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또는 오카방 : https://open.kakao.com/o/szxr9bke 통해서 말씀 주셔도 좋습니다.

제보하시는 분 신원은 철저히 보장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4개

청승맞은 찰스 다윈*

2022.06.29

조심하세요

대댓글 1개

청승맞은 찰스 다윈*

2022.06.29

기사가 의도와 달리 상당히 왜곡될수있고 결과적으로 신분노출이 되었을 시 책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고 인터뷰하셔야합니다

2022.06.29

괜히 기자랑 엮여서 피해보지 말고, 증거 있으면 철저히 익명으로 남은 채로 유튜브나 레딧으로 가는걸 추천함. 이번같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기자가 쫄릴 경우 책임지지 않을 수 있음.

대댓글 2개

취한 코페르니쿠스*

2022.06.29

나도 이게 맞다고 생각함

2022.06.29

물론 일반적인 기자에 대한 이야기이고 글 올리신 기자 님이 좋은 기자이실 수도 있음. 공익 제보는 좋은 일임. 그래도 스스로 익명을 최대한 잘 지켜야 함. 구글 깡통 계정 만들고, 신원 특정 될만한 내용은 빼고.
조용한 칼 세이건*

2022.06.29

이번 표절은 그냥 복붙이라 전무후무한 상황이고
심지어 이번사건 관계자들 제대로된 책임 처벌도 없는거 보면
학생이 내부고발하기에는 부담이 클거 같음

2022.06.29

악마의 편집해서 안 좋은 부분만 인용되겠지

2022.06.29

피해자의 눈물이 증거라는 방송국을 어케믿고 인터뷰하하냐 ㅋㅋㅋ

대댓글 1개

2022.06.29

또 시작이네
조용한 칼 세이건*

2022.06.29

차라리 디시 대학원갤 가시면 고발자들 많이 나올 듯..거기만큼 공격적인곳도 없는지라...

2022.06.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거 기자양반 반갑소

2022.06.29

그래도 매스컴에서 관심 가져주니 좀 처벌 받으려나?

2022.06.29

랩실->랩 또는 연구실
기자셔서 그래도 올바른 표현을 쓰시는 게 좋을 것 같아서요.
눈치보는 게오르크 헤겔*

2022.06.29

개인의 일탈을 학계 전체의 문제로 몰고 가지 마십쇼. 터질게 터졌다는 말은 나머지 99% 학자를 욕되게 하는 것입니다.

대댓글 3개

2022.06.29

에이 그건 아니다 나머지 99%일수도 있고 70%일 수도 있고 50 아니면 30일 수도 있는데요. 빙산의 일각이라고 어쩌면 이 보다 더한게 터질 수도 있는데요. 개인의 일탈이 아닌 제도가 문제가 있어 기자의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문제일 수도 있다고 생각하네요.

2022.06.29

전체의 문제라고 생각해요.
정직한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2.06.30

학계 문화가 개인의 일탈을 이끌어낸거지
팔팔한 장 폴 사르트르*

2022.06.29

기자님 김박사넷이나 브릭 정주행하시면서 네임드부터 찾아보십쇼
일단 S대 B?

2022.06.29

기자님 이 사건도 같이 보도해주세요. 같은 대학 ㅂ 교수인데, 놀랍도록 조용합니다. 사안으로 보면 황우석 그 이상이에요. https://m.ibric.org/miniboard/read.php?Board=isori&id=147683&Page=1&sflag=

2022.06.29

ㄹㅇㅋㅋ 위에 언급된 교수를 털 자신 있으면 나서시는 걸 추천합니다.

대댓글 1개

2022.06.29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막상 취재하면 포인트를 못잡아서,,, 셜록에서 쓴 기사 말고는 인상 깊게 본적이 없네요. 이번엔 취재 잘 하시길..

2022.06.29

재인티비시 ㅋㅋㅋ

2022.06.29

우리나라의 많은 연구원들이 표절에 둔감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대표되는 격의 학교에서난 문제이긴 하지만 학계 전반적으로 일반화된 문제아닙니다.
사이트 특성상 대학원생뿐만이 아니라 학부생이나 아니면 어그로를 끄려는 사람들때문에 오해할 소지는 있지만 문제가 제기된 논문처럼 많은 문단을 카피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그리고, 관심이 있으시면 해당 연구실에 있는 논문들을 직접 문장이나 문단으로 비교해가면서 어느 부분을 표절했는지 나열해주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언론에서는 처음 밝혀진 내용을 거의 그대로 방송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어떻게 보면 인용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연구자 관점에서 보면 인용한 곳을 표기하지 않고 표절이지 않나 싶네요. 추가적인 조사없이 이전에 방송했던 부분을 다시 웹상에서 가져와서 추가적으로 조사하지 않고 그대로 가져오는 것...
원 출처만 밝힌다고 그게 표절이 아닌게 아닙니다.
연구자 관점에서 보면 많은 뉴스기사들은 표절 기사 혹은 카피 기사에 가깝습니다.
나름대로 더 조사하기 위해 해당 커뮤니티를 방문하셨겠지만, 월급받고 취재하시려고 하는거니 너무 제보에만 의존하지 말고 무엇이 문제인지 스스로도 찾아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대학원생 특성상 언론에 잘못 노출이 되면 추후 국내 취업에도 어려움이 있습니다. 차라리 교수님들에게 이러한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취재하는 것게 나을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6.30

그렇쥬 기레기들 기사만큼 표절 심한게 있을까 싶네요
온화한 아이작 뉴턴

IF : 1

2022.06.29

ㅋㅋㅋ자녀 논문 써준 교수를 터는건 어때요? 나도 몇 아는데 ㅋㅋㅋㅋ

대댓글 1개

온화한 아이작 뉴턴

IF : 1

2022.06.29

논문 안썻어도 지 아빠가 교수라고 옆랩한테 부탁해서 ㅋㅋ 지 아들 군대가기전까지 인턴시키고 매달 40만원씩 용돈 쳐받아간놈도 있음

2022.06.29

신분 보장 ㅎㅎ...

2022.06.29

'랩실에서 이미 만연한 문제가 터진 것 아니냐는 말씀들을 주시고 있습니다.' 이 문장만 봐도 예감이 좋지 않은데... 한국에서 열심히 밤 새워가며 한 문장 한 문장 고민하며 논문 쓰는 사람도 많고요 그분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게끔 잘 보도해주세요.

2022.06.29

spk 대학원 들어갈 정도면 똑똑하고 연구에 열정있는 사람들인데.. 대부분 열심히 논문 씁니다. 전체의 문제로 몰지 말아주세요.

2022.06.30

원래 기자랑 엮여서 좋을거 하나도 없음

대댓글 1개

2022.06.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맞어 ㄱㅅㄲ

2022.06.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ssh대학 ㅎㄱㄷ교수 사건도 같이 보도해주세요.

대댓글 2개

2022.07.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ㅈㅍㄱ도 있어요

2022.09.23

대댓글이 늦어 송구합니다. 윤정주 기자입니다. 010-4023-7209나 yun.jeongju@jtbc.co.kr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2022.06.30

우리 랩에 표절하는 박사생 여럿 알긴 하는데… 표절해놓고 논문 쓰는거 쉽다.떵떵이라 솔직한 마음으로는 제보하고 싶긴 하지만,
사실상 대형 랩 아니고서야 신원 보장된다 해도 충분히 제보자 색출 가능하고 알 사람 다 아는데.. 이런 상황에서 졸업을 앞두고 있어도 상당한 용기가 필요한 마당에 졸업이 6개월 이상 남아있으면 교수와 관계나, 앞으로 랩 생활을 그려봤을 때 제보는 확실히 좀 쫄리네요..

2022.06.30

윤기자님 윤성로교수님이랑 무슨 관계이신가요? 음.....

대댓글 3개

2022.07.01

해명 부탁드려요

2022.07.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진짜로????
정직한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2.07.02

ㅋㅋㅋㅋㅋ 윤씨는 살다보면 많이 보임

2022.07.01

표절도 문제는 문제지만, 더 심각하고 내부까지 썩은건 한국 대학원의 수직적 문화, 교수의 절대 권력, 상대적 약자인 학생의 최소한의 보호 시스템이 없다는 현실입니다. 제 생각엔 아마 학생의 표절도 한국 대학원의 썩어빠진 문화로 부터 유발됬을 거란 생각도 짐작합니다.

대댓글 2개

2022.07.01

말씀하신 수직적문화, 절대권력, 약자에 대한 보호시스템 등은 공감합니다만, 이번 사건의 원인으로 삼기에는 핀트가 어긋난듯 합니다. 이번 사건은, 대형 랩에서 교수가 대학원생들 논문을 하나하나 신경 못써주다보니 대학원생이 표절했음에도 체크를 못하고 넘어간 것 같은데요.. 차라리 교신저자의 직무유기라면 모를까 교수의 절대권력이 나오는건 좀..ㅋㅋㅋ

2022.07.01

그렇게 생각하실수 있겠네요.한국대학원 문화가 안 좋다 보니 교수가 실적 압박은 계속하는데 학생이 못이겨워서 한것도 영향이 있지 않았나 싶어서요 왜냐하면 박사과정 학생으로 알고있는데 표절의 개념을 모를리가 없다생각해서요ㅋㅋ
정직한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2.07.02

사실 집단에 속해있는 사람에게 내부자 고발은 조금 힘들긴 하죠 ㅠㅠ
보통 연차가 좀 쌓여야 내부적 문제들이 보이기 시작하지만, 그때 고발을 하면 손해는 고발을 한사람이 가장 많이 받게되구요
차라리 블라인드 같은 익명성 보장이 검증된 곳에서 박사졸업생을 통해 정보를 얻으시면 더 좋을듯도 싶네요

대댓글 1개

2023.08.08

ㄹㅇ 블라인드가 ㄹㅇ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