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는 실적이라는게 사실인가요?

2022.07.15

17

3962

박사 과정중인 학생인데
대기업 기준 박사여도 개인 실적보다 학교,랩 네임밸류 및 alumni가 더 중요한가요?

동분야 지거국 랩에 실적 좋은 박사졸 지인이 job을 구하기 어려워 하길래 의아해서 질문해 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행복한 존 폰 노이만*

2022.07.15

실적이 다 인게 맞고, 사기업가려면 연구핏이 맞는게 가장 중요하고
취업목적이면 처음부터 메이저분야오 가는게 맞고요

대댓글 1개

2022.07.15

같은 분야라서 취업사정은 잘 알아서 더 의아해서 질문했습니다 제 지인과 같은 시기에 졸업한 선배는 대기업 들어갔는데 제 지인은 선배가 들어간 회사에 떨어져 포닥중이라고 들어서요
성급한 아인슈타인*

2022.07.15

박사면 개인 역량이 전부이죠
윗분말 처럼 사기업은 애초에 연구핏이 맞아야 가는거죠
반도체 ai 배터리쪽은 실적이 뛰어나지 않더라도 취업은 프리패스 이지만 다른 기초과학 분야들은 취업쪽으로는 많이 약한것 처럼요.
그래도 실적좋으면 어디든 연구자로서 잘 자리잡습니다. 아직도 박사급 인력은 항상 부족하단 소리도 나오고요

IF : 5

2022.07.15

대기업은 alumni요
인사팀은 실적 볼 줄 모르고 현업부서에서도 신입박사 검토하는거 몇번 봤는데 실적...은 같은 학교 출신 지원자 중에 고를때 빼고는 보는거 못봤음

대댓글 2개

2022.07.15

저도 요즘 이렇게 느껴서 질문하게 되었습다
실적 최소치만 넘으면 개인 실적보다 alumni가 더 크게 작용하는거 같아서요..

IF : 5

2022.07.15

현실은 좀 그래요. 실적 따져보고 박사 뽑기에는 다들 너무 바쁩니다.
덧붙여, 학교 레벨이 높아지면 연구분야나 실적에 대해 더 관대해지는 경향도 확실히 있습니다. 반대로 갈수록 딱 이 부서 업무랑 해온 연구랑 쓴 논문이 잘 맞아야 현업부서에서도 데려올까 고민해보는 정도..

2022.07.15

실적이 좋다는게 학계 잔류할 수 있을정도면 모르겠지만... (괜찮은데서 포닥하면 교수도 하겠다 수준) 그게 아니라 고만고만한데 좀 좋다 수준이면 지거국 학벌로 대기업 매우 어렵습니다. 개인적으론 저희 전공에선 아예 본적이 없습니다.

대댓글 4개

2022.07.15

지거국 학벌: 박사 학벌
학석사는 많습니다.

2022.07.15

제 선배는 10점 짜리 1개 5점 1개로 대기업 가는데
제 지인은 Am 1개 10점 3개인데도 제 선배가 가려는 기업에서 떨어져서 진짜 박사는 실적이 맞나 싶어 질문했습니다

2022.07.15

다른 평가자는 어떤지 모르겠으나 개인적으로 대기업에 신입박사 몇명 뽑는데 참여해본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사람뽑을 때 전공기술 읽어보고 괜찮다, 혹은 아리까리하다 싶으면 그때 논문 어떤가 확인하지 논문실적 부터 보고 얘 괜찮다 뽑아야지 하는 경우는 아예 없습니다.

2022.07.15

회사는 논문쓰고 연구비 수주하는 기관이 아니라 논문에 별 관심없고 논문if에는 더 관심없습니다.
언짢은 프란츠 카프카*

2022.07.15

유니스트 공대 박사면 대기업 갈 수 있을까요..
비관적인 존 내시*

2022.07.15

박사는 연구 실적인게 맞는데, 대기업은 예외일 수 있습니다.

1. (한국) 대기업은 연구가 최고 목표가 아니라 논문의 중요성이 떨어짐. 그래서 평균적으로 교수 > 정출연 > 대기업순으로 논문 실적이 감소

2. 논문 실적이 너무 좋으면 곧 학계로 옮길거라 예상하기 때문에 대기업에서 뽑기를 꺼려함
털털한 코페르니쿠스*

2022.07.16

대기업은 alumni가 맞음. IF 높은거 연구핏 맞는거 아닌이상에야 기업입장에선 알바 아님. 근데 연구핏 맞는 랩은 이미 alumni부터 그 대기업에 많이 들어가 있음. 참고로 대기업들이 연구실에 매년 찾아오면서 지속적으로 좋은관계를 유지하려고하는 랩들이 있음. 채용시기만 되면 메일이 쌓임.
오만한 알렉산더 플레밍*

2022.07.16

1. 연구핏 (대학원 때 연구 경험이 직무와 맞는지)

2. 학교/학점 (성실도)

3. 입사 동기 및 입사 후 포부 (같이 일할만한 사람인지)

4. +평판(인성) : 산학연구를 같이 해본 연구실이면 어떤 학생인지 체크, 똑똑한데 싸가지가 없다, 혼자 잘났다? 이러면 안뽑음

대댓글 1개

오만한 알렉산더 플레밍*

2022.07.16

3까지 쓱 봐서 괜찮으면 좀 생각해봄, 그런데 평판/인성 별로인것 같으면 mit박사달고 일잘하고 똑똑해도 사요나라

2022.07.17

실적이 제일 중요하죠 하지만 보통 좋은 학교 좋은 랩에 있었던 박사가 실적도 좋기때문에 선입견이 없을순 없습니다 그리고 어떤사람들은 그 선입견이 아주 강한사란들도 잇죠. 이전학교 학장은 아이비 리그 출신아니면 실적관계없이 승진기회도 날려버린경우도 있었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