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실적 안 보는 대기업 갈거면

만만한 제인 오스틴*

2022.07.16

15

6992

박사 왜 하냐? 그냥 학사하고 취업해도 똑같은데.

평범한 박사들이 대부분 그렇게 취업하는거 알고있긴한데, 분야에서 논문 잘 쓰고 잘 나가는 박사들은 대기업 연구소에서도 리스트업 해놓고 꾸준히 관리한다.

그런거 본적이 없다면 본인이나 본인이 속한 그룹이 그 정도 실적이 안 되는거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IF : 5

2022.07.16

제가 박사하고 바로 기업으로 왔지만 대학원 왜했어? 싶진 않은데요. 학교에서 연구 경험하면서 어떤 논리를 가지고 공학적 주장을 펴야 하는지 익히고, 저만의 확실한 장점(전반적인 툴: 데이터 조직하고 이해하는 스킬, 시각화 노하우 등등)을 가지고 나올 수 있어서 회사 적응에도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제가 느낀 학교 연구 경험의 가장 큰 장점이자 기업과 학교의 가장 큰 차이는, 클 시간이 비교적 많다는 점이었습니다. 기업에서는 어떤 현상의 매커니즘을 생각할 여유가 없어요. 하지만 생각을 논문쓸 때만큼은 아니어도 하긴 해야해요. 그래서 학사로 오신 분들이 회사에서도 연구개발을 배울 순 있지만 어쩔 수 없이 주먹구구라고 해야하나? 그런 측면이 강했습니다.
그리고 기업에서 관리하는 박사들도 봤는데 졸업하고 주로 거기 안가고 미국가더라구요.

대댓글 3개

뻔뻔한 우장춘*

2022.07.16

첨언하자면 상품을 계속 만들며 수익을 창출해야하는 비지니스 R&D는 그럼. Core R&D는 펀더멘탈할 기회가 많음. 문제는 코어기능이 있는 회사가 그리 많지 않음.

IF : 5

2022.07.16

더 기초적인 연구는 학교에 연구비 주면서 뿌리고 그마저도 거의 냅두는 경우가 많죠.
뻔뻔한 우장춘*

2022.07.16

ㄴ 그렇죠. 또한 장기간의 시간이 필요하거나 그 펀더맨탈이 직접적으로 가치를 창조해내는데 필요가 없다면 맡기죠. 진짜 수익과 연관된 기초연구들은 외부에 절대 공개안하고 회사에서 해버리죠.

2022.07.16

ㅎㅌㅊ인생
달리는 에이다 러브레이스*

2022.07.16

삼슼현 앨지만 봐도 실적 많이 보는데
그 밑으로는 이공계에서 메이저 대기업이라 부르긴 애매하긴 하지

대댓글 5개

너그러운 제인 오스틴*

2022.07.16

ㅇㅇ대기업 실적 안본다는 애들 보면 죄다 이름도 못들어본 대기업임ㅋㅋㅋ분야 특성이 있긴 한듯
적어도 삼성근처 가려면 실적 없으면 내부자 추천 받아도 바로 까임
달리는 에이다 러브레이스*

2022.07.16

그러게요 연구실적 안본다는 대기업=자기들만의 대기업인거 같음

2022.07.16

그런가? 내 주변에는 논문 거의 없는 친구도 삼성 잘가던데

IF : 5

2022.07.16

윗댓 쓴 사람인데 저 삼슼현다닙니다만..

2022.07.16

대기업 실적 안보는건 맞는거 같은디...

2022.07.17

그럼 역으로 생각해보시죠

삼슼현엘지 대기업이 바보도 아니고 왜 굳이 돈 더 줘가면서 박사학위자들을 데리고 올까요?
쓸모가 있으니 데려오겠죠.
멍때리는 마르셀 프루스트*

2022.07.17

실적이 중요하다 학벌이 중요하다 입장이 다른건 그냥 본인 주변 상황이 달라서 그럼. 내가 주변에서 본 SPK 학석박 기준 실적 때문에 박사받고 삼슼현엘 못가는 사람 못봄. 물론 SPK 학'석박'보다 SPK '학'석박 인게 더 큰 이유겠지만.

2022.07.18

누구는 실적 좋으면 취직 안된다고 그러고
누구는 실적이 중요하다고 그러고
뭐가 맞는거냐

2022.07.18

귀엽네 ㅋ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