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ssh 자연대 학부생이고, 학계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번 방학부터 학부연구생중인데, 공부하는 분야가 잘 맞고 교수님도 좋은 분인것 같아서 이곳에서 박사 진학을 고려중입니다.
원래 계획은 이곳에서 석사 이후 박사 유학을 계획중인데, 교수님과 이야기를 나눠보니(일종의 설득같아보이지만..) 논문을 내거나 실적 면에서는 국내에서 박사를 하는것이 더욱 나을 것이라고 하네요.. 신생랩이어서 제 기여도가 높은 논문도 낼 기회가 많다고 하시고요.
더 수준 높은 곳에서 공부를 하고 싶은 마음은 항상 있으나 최종 목표는 교수 임용이기에 고민이 많이 됩니다. 최근 자교 신임교수님들을 보면 국내 학석박이 많으시더라고요(물론 포닥은 해외)
요즘 트렌드가 유학을 잘 가지 않는 추세인가요? 국내 학석박으로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는건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2.07.24
유학 생각있으면 spk가셈
대댓글 1개
2022.07.24
국내 박사 갈거여도 spk 가셈 왜 서성한을...
팔팔한 리처드 파인만*
2022.07.24
최근 자교 신임교수님들을 보면 국내 학석박이 많으시더라고요(물론 포닥은 해외)
요즘 트렌드가 유학을 잘 가지 않는 추세인가요? 국내 학석박으로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는건가요?
-> 예전보다 실적을 1순위로 보고 뽑습니다. 그러다 보니 상대적으로 동일한 연구화경에서 계속 연구를 진행한 국내학석박들이 실적은 더 좋은 경우가 많아 임용시장에서 앞서기도 합니다.
교수님이 하신 말씀도 맞지만 최근이나 올햐나올 실적보고 판단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교수님도 신진이라 실적이 뛰어나신 분이면 모르겠지만 증명 되지 않은 신생랩은 도박적인거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7.25
국내 학석박들이 실적이 더 좋다기보다는 실적 좋은 학석박들이 안 돌아오는게 더 크죠
행복한 아르키메데스*
2022.07.24
국내에서 석박때 실적 만들어서 포닥을 좋은 곳 나가는게 트렌드임.
박사까지 실적 만들고 미국 포닥가면 박사 때 하던거 정으라 하면서 포닥하는 곳에서 새로운 논문이 나오기 때문에 교수 임용시에 굉장히 유리함.
자대에거 확실한 실적을 내는 곳이라면 당연히 자대 석박타는게 좋지만 신생랩은 연구만 진행할 수 있는 분위기는 아니라 셋업도 해야 될 테고 도와줄 선배도 없거나 적을 테니 학계목표로 하는 사람이 가는건 말이 안됨.
2022.07.24
근데 객관적으로 본인스펙이 다른사람에 비해서 한두단계 위인것이 쉽지 않습니다.
물론 여러가지 요소가 작용하겠지만, 비슷한 실적이면 미국 좋은대학출신, 국내출신이면 spk학석박을 선호하는것은 어쩔수없다고 봅니다. 따라서 박사까지 할 계획이면 실적을 잘낼곳으로 가시는게 좋지만.. 현실적으로 자대에서 남을때 유의미하게 좋은 실적을 낼수있을지 잘 비교해보세요.
세심한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2.07.24
이해관계가 얽힌 자의 조언은 듣는게 아닙니다. 해외로 가시길.
청승맞은 버트런드 러셀*
2022.07.24
미국에서 좋은 결과 얻은 사람들은 한국에 안돌아오죠. 그러니 이삼류대는 국내 박사들이 임용됨.
2022.07.24
집에 돈 있고 미국 취업 or 미국 박사 목표: 처음부터 미국 석사
집에 돈 없고 미국 박사 목표: 한국에서 석사
하지만 신생랩은 가는게 아님.
대댓글 2개
2022.07.25
그냥 석사 없이 미국 박사 가세요
2022.07.25
미국대학원 학자금 + 생활비 1억~2억 듭니다. 자연과학은 TA로 펀딩 주는데 코로나 다시 퍼져서 실험수업을 할 수 있을지 미지수고 펀딩은 박사 우선 주기 때문에 석사는 기회가 적습니다.
취한 알베르 카뮈*
2022.07.24
연구환경이 미국이 국내보다 좋은건 당연한거고 이건 트렌드가 아닙니다.
국내박사 - 미국 포닥이 미국 박사보다 많은 이유는 그게 더 좋은 연구를 할 수 있어서가 아니라 더 쉬워서죠.
연구 능력은 대부분 박사 때 길러지지 포닥간다고 갑자기 길러지지 않습니다. 포닥은 박사 때 습득한 능력으로 결실을 맺는 자리죠.
한국에서 박사를 하면 성공의 길이 교수하나지만 미국에서 박사를 하면 교수외에도 기회가 많습니다.
대댓글 2개
취한 알베르 카뮈*
2022.07.24
참고로 제 석사 지도 교수님도 유학갈 필요 없다고 본인 밑에서 박사하라고 항상 말씀하셨지만, 본인 자제분들은 전부 유학 보내셨습니다
세심한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2.07.24
이게 맞는 이야기입니다.
2022.07.2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국내 학석박도 출신 학교가 어디냐에 따라 하늘과 땅차이. SPK 학석박과 SSH 학석박은 캡이 매우 큽니다.
해외박사과 국내박사의 풀 차이 + 국내박사 늘어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임용되는 신임교수들의 해외/국내 비율을 보면, 여전히 해외박사를 선호한다는 것도 쉽게 알 수 있죠.
SSH 학석박으로 교수되는 사람, 물론 있죠. 퍼센테이지가 현저히 낮을 뿐..
SSH+미국박사로 부족한 학부 만회하고, 실적 쌓으면 SSH 학석박보다 훨씬 유리한 고지에서 경쟁할 수 있습니다.
2022.07.24
대댓글 1개
2022.07.24
2022.07.24
대댓글 1개
2022.07.25
2022.07.24
2022.07.24
2022.07.24
2022.07.24
2022.07.24
대댓글 2개
2022.07.25
2022.07.25
2022.07.24
대댓글 2개
2022.07.24
2022.07.24
2022.07.25
2022.07.25
2022.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