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학부생인 아무개입니다,, 제목처럼 저는 정보를 찾을 때 슥 훑으면서 인트로와 결론 부분의 제가 원하는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만 찾아서 읽고 넘어갑니다. 즉 처음부터 끝까지 꼼꼼히 읽지 않는데요 보통은 처음부터 끝까지 싹 읽나요? 이렇게 읽으면 정보를 잘못 읽을 가능성이 있기에 절대 하면 안 되는 방식인가요? 꼼꼼히 다 읽으려면 너무 답답하던데 ㅜ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2.08.08
원래 필요에 따라 읽는게 정상이예요 모든 논문을 다 꼼꼼히 읽으면 throughput 이 안 나옴
2022.08.08
논문 교수들도 처음부터 끝까지 다 안 읽어요. 정말 구현이 필요한 수준으로 이해하는게 아니라면 논문의 기여점에만 초점을 맞추어 읽는게 정상입니다.
IF : 5
2022.08.08
정보를 얻기 위해선 그럴수도 있지만, 나중에 쓸 생각이 있다면 전체를 읽는데 익숙해지시는게 좋습니다. 논리 구조나 문장 등을 남들이 어떻게 썼는지도 많이 봐 두세요
대댓글 1개
2022.08.08
확실히 그렇겠군요 좋은 가르침 감사합니다!!
2022.08.08
필요에 따라서 원하는 관점과 연구진행방향, data 정도만 보는게 지극히 일반적입니다
그러다가 본인연구방향이나 논리구조와 흡사한 논문 발견하면 각잡고 읽는거구요
2022.08.08
자기 분야에서 완전 중요한 논문은 진짜 한글자도 안빼먹고 다 읽는게 좋습니다
그외 참고용으로 보는 논문들은 빠르게 보지 않으면 일 못해요
집요한 막스 플랑크*
2022.08.08
개인적인 의견
석사초년차-박사저년차 - 꼼꼼하게 읽는 습관이 더 좋다.
이시기에 제일 중요한건 실험에 익숙해지는 것이라고 생각함. 논문을 훓어보다보면 몇편 더 읽을순 있겠지만 중요한 조건 한 두개씩 빠트리기 마련임. 실험해보고 안될땐 높은 확률로 자기가 논문을 제대로 읽지 않았을 것임. 또한 이 시기에 훓어서 여러 논문을 읽어도, 어떤게 중요한 논문인지 판단할 능력이 아직 없는 경우가 대다수임.
박사 말년차-이후 - 훓어보는 습관이 더 좋다.
여러가지 이슈를 빠르게 파악하는게 중요하기 때문. 이 시기쯤 되면 아이디어를 스스로 만들어서 실험 설계를 해서 독립적인 연구자로 거듭나는게 중요함. 또한 실험이 어떻게 진행되고 데이터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는 이 정도 경험이 있으면 훓어보더라도 쉽게 파악할 수 있음.
대댓글 2개
2022.08.08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2022.08.08
정성 가득한 댓글 감사합니다 더 꼼꼼히 읽을 필요가 많았네요 익숙해져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08.08
2022.08.08
2022.08.08
대댓글 1개
2022.08.08
2022.08.08
2022.08.08
2022.08.08
대댓글 2개
2022.08.08
2022.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