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과학 티오가 절대적으로 많지 않고.
2. 의사 및 박사과정 지망 선호가 매우 높으며
3. 대분 사전 컨택 및 인턴생이 있는 랩이 과반수
입니다. 애초에 석박통합 미컨택학생들 티오가 몇 없으니 (
심하면 2명이하) SPK에서 지원하거나 열정적으로 연구에 임하고자하는 사람을 뽑으려 합니다.
합격이 거의 보장인 의사들도 컨택을 하는마당에 하다못해 1차 이후에라도 컨택하셨어야...
대댓글 12개
2022.09.23
그리고 논문준비못하신건 변명의 여지가 없네요... 최근 3년간 출제 경향이 landmark 논문으로 바뀐지라 아무래도 생명관련학부생들한테 유리한구조입니다. 의사/비생명학부 한테 기대하는 답과 생명학부출신한테 기대하는바가 다를 수 밖에 없죠. 학부 생명쪽인데 질문 답이 엉망이면 그냥 무성의로 판단하실겁니다..
2022.09.23
정성스러운 피드백 감사합니다. 입시 도중 컨택은 입시 비리? 같은 느낌이라서 안했는데 제가 무지했네요. 논문은 말씀하신대로 제 잘못입니다. 석박통합티오가 20명대이고 경쟁자가 같은 비의사 학부생으로 생각했었는데 위사도 통합하나봐요?
2022.09.24
과정별 티오를 분배하지 않기때문에 옛날에 과정 구분되어있을때나 합쳐진 지금이나 크게 차이없이 티오는 묶어서 생각하시면됩니다. 그리고 봄학기 입시 석박통+박사 전체 통틀어서 20내외입니다. 편차가 좀 크긴한데 많아야 25~6정도 이구요. 여기서 컨택,의사,박사지망 빼면 대충 "미컨택비의사석박통합"이 뽑힐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걸 아실 수 있습니다. 이마저도 자대나 SP에서 지원하는 사람들 있으면 밀리는거구요.
2022.09.24
사실 컨택위주로 돌아가는게 절대 자랑은 아닌데.. 아무래도 학과특성상 지원자 출신이 다양할 수 밖에 없다보니 줄세우기 할만한 객관적 지표가 없습니다. 전공지식면접대신 논문면접 하는 이유도 그때문이구요. 이렇다보니 교수님들도 신뢰하는 지표가 같이 일해본 경험 이 되는 것 같고, 때문에 SURP 처럼 타대에서 오는 사람들이 들어올 기회를 마련하거나 최소한 개별 면담이나 인턴을 하는거를 선호하십니다.
2022.09.24
혹시 내년 가을에라도 지원할 생각이 있거나 하면 지금부터 컨택해보세요. 가을은 티오가 매우 적어서 봄학기 선발을 안한 랩 이나 신생랩에 우선적으로 돌아가니까 선발 가능성에 대해서 교수님이랑 잘 상의하시고 플랜 잡으시구요
2022.09.24
컨택은 저도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제가 무지했고 너무 안일했습니다. 저는 우연하게도 신생랩 주제에 크게 관심 있어서 신생랩 진학을 희망합니다. 하지만 컨택을 한다고 그 경쟁 치열한 가을 입시 합격한다는 보장이 없는 상태에서 한학기를 버리는 선택하는 것이 맞는지 고민이네요. 제가 가을학기까지 해당 랩에서 성실히 생활한다는 전제하에 입시통과를 보장해준다는 암묵적 약속이 가능하지는 않겠죠? 차라리 누가 제 스펙으로는 택도 없다고 선 그어주면 이런 고민도 안할텐데 괜히 컨택을 안해서 떨어진거라고 자기 최면 거네요. 학부를 그렇다고 바꿀 수도 없고 포기할지 말지 고민이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인턴을 안했던 사람이 바로 다음 가을학기 입학을 목적으로 컨택하는거는 지양하라고 말씀드리고 싶긴 합니다.. 사실 학부 갓 졸업한 입장에서 특출나게 반드시 뽑아야되는 메리트가 있기 힘들고, 카장으로 뽑아야하는데 산학장학생이나 의사가 아닌 이상 인건비 이슈가 있으니 부담이 될 수 있구요. 리스크를 지고 다른 교수님들을 설득해 티오를 확정받으려 노력하는 주니어 교수님이 있을 가능성은 없다고 생각됩니다.
그래도 교수님마다 생각이 다르실 수도 있고, 교수님들 간에 오가는 정보가 있을 수도 있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시는 분이 계실 수도 있습니다. 아직 가을학기 입시까지 충분한 시간이 있기 때문에 인턴도 하면서 지켜보자는 생각이 드실 수도 있구요.
정말 그 분야를 하고싶고 하면 저는 질러볼 것 같습니다. 대신 연구 주제에 대한 본인의 열정을 중심적으로 포장해서 컨택을 시도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2022.09.24
글이 길어지다보니 좀 부정적인 상황인 것 처럼 보일 수 있는데.. 결국은 다 제가 본 범위 내에서의 판단이니 참고정도만 하시고 컨택부터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신임교수님이시면 학과에서 티오를 우선적으로 배정해주려고 하거나 할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구요. 아직 시간이 있으니 컨택 또는 인턴까지 해보다가 정 안되겠다 싶으면 거기서 다시 계획을 조정해도 늦지 않을 것 같습니다.
2022.09.25
가을학기 이전까지 졸업하자마자 학부연구생? 인턴으로 활동을 전제로 말씀드려도 힘들까요? 제가 앞선 질문에서 그 부분은 빼먹었네요
2022.09.25
댓글 삭제가 없네요 중복질문인 것 같아서 무시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2022.10.01
뒤늦은 후문이지만 고려대 4.1은 붙네요 컨택 없이 ㅎㅎ... 원하는 연구실도 없으셔서 로테이션 돌리신다는데 그냥 스펙이나 면접의 문제 같네요
2022.09.23
작년부터인가 의사 비의사 통합 모집으로 바뀌었어요. 보통 의사 출신 지원자들은 전문의 따면서 석사 학위를 병행하니까 박사로 많이 지원하고 비의사 출신 지원자들은 분포가 다양하지만 보통 석박통합으로 많이 옵니다. 그런데 간혹 저처럼 의사 출신 석박통합도 있어요.
대댓글 2개
2022.09.23
저희과가 점점 컨택 필수 분위기로 바뀌고 있어서 아마 컨택 없이 합격하셨더라도 좋은 랩이나 관심분야에 딱 맞는 랩은 못 가셨을 가능성이 커요.. 아쉽지만 오히려 기회라고 생각하시고 plan B 성공하시길..!
2022.09.24
제가 희망하는 랩이 신생랩이고 제가 관심있는 분야를 메인 테마로 하는 곳이 공교롭게도 거기뿐입니다. 차라리 서울대나 포공에 그런 주제의 랩이 있으면 도전이라도 다시할텐데... 제가 관심 있는 주제가 아니면 공부를 절대 안하는 타입이라 아무 랩을 가면 실패할 것 같네요 ㅠㅠ
2022.09.27
스펙에는 부족함이 없으신거 같아요. 다음 면접 때 논문 면접을 철저히 준비하신다면 좋은 결과 있으실 거 같아요!!
2022.09.23
대댓글 12개
2022.09.23
2022.09.23
2022.09.24
2022.09.24
2022.09.24
2022.09.24
2022.09.24
2022.09.24
2022.09.24
2022.09.25
2022.09.25
2022.10.01
2022.09.23
대댓글 2개
2022.09.23
2022.09.24
2022.09.27
2022.09.28
대댓글 1개
2022.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