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바이오전자 랩실 질문입니다.

2022.09.22

9

2343

현재 지거국 전자공학 전공하고 있는 3학년 학부생입니다. 요즘들어 바이오전자쪽에 관심이 많아지고 관련 과목도 흥미있게 수강하고 있어서 학부연구생부터 해볼생각인데 제가 찾아본 정보로는 아직 너무 부족하네요.
일단 Bioelectronics를 연구하는 교수님이 계신데 해당 랩실에 학부연구생이나 대학원생분들도 연구실 홈페이지에 딱히 기재되지않아서 해당 분야가 전망이 안 좋은건가 고민됩니다..
하게된다면 석사까지 생각 중인데 해당 분야로 석사학위를 얻는다면 보통 어디쪽으로 많이 취업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업계분이시거나 관련 정보 많이 알고 계신 분들계서 공유 좀 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IF : 5

2022.09.22

요새 바이오 융합전공 관련 문의가 많네요. 일단 국내 메이저 기업에 석사 전공살려 들어갈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면접때 그 바이오전자 연구와 타겟 기업에서 관심있는 기술을 매치시키기가 힘들겁니다. 석사 그리고 박사 졸업자도 회사갈 때 바이오전자면 전자, 바이오소재면 소재 연구만 부각해서 바이오는 대부분 다 떼고 대기업 두드립니다.
그리고 바이오실험이 다른 dry 실험들에 비해 어려운 편이라 석사만 하면 뭐 한 것 같지 않은데 졸업해야되고 이럴 가능성도 높고요.
제 의견은 내가 지금 대기업 뚫어도 다 뚫릴정도로 스펙 좋은데 석사때 신기한거 해보고싶다 이런거 아니면 바이오 말고 소위 잘 팔리는 다른 전공 찾으세요.

대댓글 7개

2022.09.22

감사합니다. 저도 알아봤을 때 전공살려 갈 수 있는게 많지 않다생각했었는데 역시네요ㅠ 박사까지 할 용기는 없었는데 하던 공부나 열심히 해야겠습니다.

2022.09.22

내가 지금 대기업 뚫어도 다 뚫릴정도로 스펙 좋은데 석사때 신기한거 해보고싶다
딱 이상황인데, 이런 경우엔 취업에 차별화 될 수 있을까요?

IF : 5

2022.09.22

유관전공 석사 대비 바이오 분야 해서 취업에 플러스될 요인은 없습니다.

2022.09.22

한가지만 더 여쭤도 될까요? 헬스케어 분야 시장이 커지고 있어서 이쪽으로 취업이 차차 열리지 않을까 싶은데 고견 부탁드립니다

IF : 5

2022.09.22

헬스케어 시장 커지고있다는 소리 들은지 족히 10년은 됐습니다.

2022.09.23

참고로 헬스케어에 필요한 바이오 인력은 의사입니다. 생물학자가 아니라.
개발은 기존의 공대인력이 메이저고요.

IF : 5

2022.09.23

첨언하면, 10년은 족히 됐다는 말뜻은 10년이 넘게 지났음에도 바뀐게 별로 없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자리가 많다 해도 처우는 전통적인 반도체나 AI 분야와 많이 차이가 납니다. 과 친구들 연봉받는거 보고 현타 절대 안올 자신으로 무장되어 있으면 그나마 도전해볼만 할지도
젊은 막스 플랑크*

2022.09.23

학계에서 하는 팬시한 경향이 강한 Bioelectronics는 학계에 남고싶은 사람에게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대기업에서 이런 연구를 하고 싶으면, 차라리 한 전통적인 토픽의 재료연구쪽을 깊게 파는 것이 장기적으로 유리합니다.

제 지인들이 메타, 애플에서 웨어러블 + 헬스케어 연구중인데, 다들 전통적인 고분자 분야나 전자쪽으로 박사를 받았습니다. 모두 박사과정중 bioelectronics는 전혀 하지 않았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