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 공동저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논문 데이터는 실직적으로 내가 다 했는데 서포팅 용 실험을 학부생이 도와줘서 같이 저자에 올리라고 함..
서포팅용 실험도 참고로 합성, 재실험 다 내가함
문제는 교수랑 소통이 잘 안돼서 (횡설수설, 이랬다 저랬다, 연구외 일 다수) 나도 쌓인게 많고 교수도 안좋게 보는듯
그래 한 명까진 괜찮다 했는데.. 두 명?
보통 공동저자 셋이면 실험 기여도를 동등하게 보나요?
현타 씨게오네.. 난 그동안 뭘한거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2.09.26
님이 라이팅 100프로 다한거면 실험 기여도 아무 상관없어요. 그리고 1저자면 공동저자로 몇명 끼워주는걸로 기여도 깍이고 그러진 않아요. 더구나 취업목적인 석사라면 공동저자 좀 들어간다 해도 아무런 상관 없습니다.
박사들은 민감하긴 하지만요
대댓글 1개
성실한 어니스트 헤밍웨이작성자*
2022.10.01
하.. 저 박사갈것같은데..ㅋㅋㅋ 랩을 잘못선택한 제탓이라 여기겠습니다,,
2022.09.26
자기것을 챙기는것도 능력입니다.
2022.09.26
1저자가 받는 기여도 (퍼센티지) 카테고리 안에서 공저자 수로 또 나눔.
즉 1저자라도 공저자가 많으면 많을 수록 정량 평가는 불리해집니다. 물론 기업으로 갈 경우 해당사항 없음.
2022.09.26
시간내서 실험 도와준 정도면 저자명단에 넣어줘야한다고 생각함
그 실험의 재실험은 본인이 했다고 해도
대댓글 1개
성실한 어니스트 헤밍웨이작성자*
2022.10.01
실험 데이터부터 조건은 내가 다 했고 합성 도와준 정도라고 보면되는데
저자명단엔 당연히 넣어주지 ㅋㅋ 공동 1저자라니깐.. 내가 말을 헷갈리게했나?
2022.09.26
사실 명확한 기여도 정량 평가 테이블이 있는 교수나 정출연 임용이 아니더라도, 논문을 받았는데 공저자수가 줄줄이 있으면 '이 논문 쓰는데 진짜 이렇게 많은 사람이 필요하나' 싶을 때가 있죠. 직관적으로 봐도 1저자 기여도는 낮아보이죠 공저자가 많으면 ㅎㅎ
대댓글 1개
성실한 어니스트 헤밍웨이작성자*
2022.10.01
하….. 답답하네요
재밌는 우장춘*
2022.09.26
본인 실험 도와줬는데 왜 불만인거죠? 도와준 사람한테 고마움이 전혀 없으신가
대댓글 1개
성실한 어니스트 헤밍웨이작성자*
2022.10.01
그게 공저자만큼의 기여도인지가 모르겠다는거지
제 2,3저자 정도는 당연한건데 공저자? 잘 모르겠음
실험 기획, 측정 정량… 셋업 다 내가함
누가 안고마워서 저자 안준댔나 공저자 주는게 맞는지 모르겠단거지 ㅋㅋ
쇠약한 장자크 루소*
2022.09.26
이해는 감. 학부 및 석사생들 논문쓰는데 아무 도움 안됨. 방해만 되고.
오히려 내 일정 지연시켜가면서 가르치고 "걔들이 한것 처럼 느껴지게" 만들어야함.
나는 여기서 어느정도 교수랑 타협을 보는 편인데 가장 중요한 건 내가 1저자여야함.
교수는 대신 아무 노력없이 애들을 교육시키고 진학시키는거지.
나는 논문 챙기고 교수는 자동시스템완성.
이걸 교수랑 얘기하거나 문서화 한 건 아니지만 서로 이해관계가 맞기때문에 무언의 계약관계라고 생각함.
대댓글 5개
낙천적인 시몬 드 보부아르*
2022.09.27
본인도 학 석 했으면서...
쇠약한 장자크 루소*
2022.09.27
나도 학석하긴 했지. 근데 위에 댓글들보니 도와줬으니 고마워해야하거나 공동저자 넣어줘야한다는 말들이 보여서ㅋㅋ
최소한 나는 시키는거 하는게 도와주는게 아니라는건 알고있어서 어떻게든 피해안주려고 노력했어.
학석한테 시킬바에 본인이하는게 훨씬 확실하고 시간도 덜듬. 그럼에도 뭐하나라도 만들어서 "기여하는 것"처럼 느껴지게 만드는건 교육차원인거지. 엄밀히 말해서 교수한테나 도움되는일이지 선배입장에서 희생하는거임.
그리고 많은 거쳐가는 애들보면서 느끼는건 진짜 기여하고 노력한애들은 오히려 요구하는게 적고 암것도 제대로 한거 없는애들이 바라는게 많았음. 신기하게 그러더라.
실험 개같이하고 과제보고서 서브파트 맡겨놨더니 병신같이 써서 그거 수습하느라 개고생했는데 본인 어디 이름 올려야겠다는 애들이 많았음.
성실한 어니스트 헤밍웨이작성자*
2022.10.01
내가 봣을때 아직 학부 병아리들이 많아보인다.. 진짜 실험악몽 꿔가면서 불안에 떨면서 실험하고 피땀흘려서 데이터 내봐라 쉽게 공저자 주겠다는 말이 나오는지 ㅋㅋㅋ 기여도가 한참 낮은데.. 2,3은 당연히 주지만 공동저자는 민감하다 생각함 특히 박사과정 이상은.
2022.10.01
공동저자: 주저자, 교신저자, 2, 3저자 등 모든 저자를 말함.
공동주저자: 말 그대로 공동 1저자 (본인은 말이 안된다고 생각함. 어떻게 논문에 대한 기여도롤 동등하게 나눌 수 있을까? 말장난 같음)
공동교신: 말 그대로 공동 교신; 교신저자 라인에 이름과 메일주소 기재되는 저자들
암튼 작정자가 말하는 공동저자는 공동1저자를 말하는 것 같은데, 기여도가 낮은 학부생들이면 나는 무조건 공동저자지 공동1저자는 못 줌.
성실한 어니스트 헤밍웨이작성자*
2022.10.02
제가 헷갈리게 쓴게 맞나봄 공동1저자에요 ㅋㅋㅋㅋ 하…
쇠약한 장자크 루소*
2022.10.01
댓글들 알림이 떠서 들어와서 봤는데...
박사하신다길래 뜯어말리려고 글 남겨요...
박사하면 사실 논문실적이 가장 중요한데 그거 제대로 교통정리 못하는 교수밑으로 가면 진짜 후회함.
제가 그래서 그래요...
교수가 학생들 가르친다고 제 연구아이디어 가져다가 넘기고..그걸 별거 아니라고 여겼는지 몰라도 같은 주제 아이디어로 버젓히 분야 1~3위권 저녈에 올라오고ㅋㅋㅋㅋ
그렇게 넘겨봤자 애들은 못하니 그거 그대로 썩고ㅋㅋㅋ
그렇게 날린 논문주제 3개쯤 되는듯..심지어 사전연구도 다 끝낸것도 있음.
님 교수 아마 그런일들 더 심해질텐데 그렇게되면 들어오는 학부생 석사생 님이 연구지도하고(사실 님이 떠서 먹여주겠죠) 2, 3저자로 밀려날거임. 연구방향 잡아줘야한다고 님 아이디어 뺐어다 줄거고. 안봐도 뻔함.
정말정말정말 다시 생각해봐요. 자려고 누웠다가 생각나면 혈압올라서 잘수가 없음.
대댓글 1개
성실한 어니스트 헤밍웨이작성자*
2022.10.02
아.. 진짜 생각만해도 머리털 다 뽑힐것같아요 ㅋㅋㅋㅋㅋ 지금까지 해온것만 봐도, 자기가 교수면서 기준도 못잡고 랩장한테 흔들리고 정치질로 사람평가하고 다니는데,
지금 실험기여도랑 논문 저자도 제대로 판단못하는데 (나한테 직접 물어보지도 않고 맘대로 정함) 제가 여기서 뭘 해서 뭘 얻겠나 싶거든요..
하..ㅋㅋㅋ 잘 고민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정말
정말 많이 답답하네요
2022.09.26
대댓글 1개
2022.10.01
2022.09.26
2022.09.26
2022.09.26
대댓글 1개
2022.10.01
2022.09.26
대댓글 1개
2022.10.01
2022.09.26
대댓글 1개
2022.10.01
2022.09.26
대댓글 5개
2022.09.27
2022.09.27
2022.10.01
2022.10.01
2022.10.02
2022.10.01
대댓글 1개
2022.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