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창업을 위한 전문성을 갖기 위해 박사학위를 얻어야 할까요?

2022.10.16

13

2176

컴퓨터과학을 전공한 학생입니다.
AI를 활용한 기술, AI를 활용한 바이오 관련 r&d 회사를 운영해보고 싶습니다. 이를 위해선 기술에 대한 전문성을 갖춰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혹시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위한 과정이 그런 전문성을 가지는데 도움이 될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2.10.16

아니요 전혀요
허탈한 백석*

2022.10.16

그럴리가..
똑똑한 비트겐슈타인*

2022.10.16

차라리 실무경험이 5배는 도움될듯

2022.10.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누구나 창업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라면 전문성을 가지면 좋겠죠?

대댓글 2개

2022.10.16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2022.10.17

혹시 그 전문성을 대학원에서 기르는 게 더 효율적일까요?

2022.10.17

제가 대학생 창업을 약 1년간 해본 결과...
투자자들은 사실 아이디어도 아이디어지만 팀 리더와 팀원의 자질을 더 많이 보는 것 같습니다..
특히 학벌이나... 학위나 이러한 요소들도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생각합니다.
팀원들이 어느정도 검증되었고 실패해도 다시 도전할 역량이 있는 팀에게 투자를 하고싶기 때문이지요..

대댓글 1개

2022.10.17

대표가 직접 학위를 따는 것은 창업이 지체가 되니...
능력있는 팀원들(전문가)을 모으는 것이 더 맞다고 생각이 듭니다.

2022.10.17

차라리 회사 생활 경력이 훨씬 도움 될 듯요

2022.10.17

보통은 리더에게 그걸 요구하진 않죠.

2022.10.17

전문인이 될지 사장이 될지 먼저 선택하셔야 합니다.
작은 기업이나 스타트업 같은 조직에 가보면 사장이 사장인지 전문인인지 구별을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이런 조직은 지원금 끊어지면 조직도 없어지죠.

IF : 1

2022.10.18

잘나가려면 본인도 할줄알아야합니다. 본인도 알아야하구요. 음식점 사장이 음식맛을 못보면 되겠습니까

대댓글 1개

IF : 1

2022.10.18

스타트업이면 특히나 그렇습니다. 본인이 다 할줄알아야합니다. 어느정도 체계가 잡히고나면 그뒤에 맡길 수 있는 인재들을 등용할 수 있지만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