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스칼라에서 피인용수 매년 1000정도 나오면 대가랩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아니면 다른 기준이 있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체한 한나 아렌트*
2022.11.02
논문 인용도는 분야마다 너무 다르고 구글 스칼라는 공저지까지 다 카운트되는 것이라 감안하고 보셔야합니다. 그 랩에서 나온 논문의 질, 좋은 논문의 수를 보세요
낙천적인 알렉산더 벨*
2022.11.02
피인용수가 매년 1000이면 누적으로는 거의 1만 이상 쌓였다는건데, 분야 막론하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학자일 가능성이 높음.
대댓글 1개
무심한 앙투안 라부아지에*
2022.11.02
에너지 특히 배터리쪽은 조교수때도 연 천번은 넘겨서 예외로 두길…
2022.11.02
대가랩인지 알아내는 것보다 괴수랩인지 아닌지 알아내는게 더 중요해보이는데...
대댓글 1개
IF : 2
2022.11.02
맞음. 대가랩 갔다가 (특히 미국) 교수는 못 만나고 사수들하고만 일하고 오는 경우도 많음
괴수랩인지 아닌 지 정도만 중요하게 참고하시고...
아, 그래도 해외 포닥을 갈 땐 왠만하면 대가랩으로 가세요~~
포닥은 애초에 independent하게 일해야 하니까, 위에 적은 단점이 해당이 안 되고 논문 어셉과 이후 학계로의 진출도~ 누구누구 랩 출신이래 하면서 쉽게 되는 경우가 많음
낙천적인 레프 톨스토이*
2022.11.02
대가랩인 걸 알아내려면 대가를 치러야 합니다
대댓글 2개
2022.11.02
썩은 드립을 치시면 대가를 치르셔야죠. 신고하나 추가되셨습니다.
2022.11.03
재밌네 ㅋㅋ
놀란 아이작 뉴턴*
2022.11.03
피인용수로도 어느정도 유추는 가능하지만 매우 1차원적인 방법입니다. 그 대표적인 예로 피인용수 높은 논문에 단순히 저자로 끼워넣어져 있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그 교수님의 순수 1저자 혹은 단독교신으로 피인용수가 높은지 판단해 볼 필요가 있죠. 그리고 대가는 그냥 이름만 검색해도 대가인지 알 수 있어요.
2022.11.02
2022.11.02
대댓글 1개
2022.11.02
2022.11.02
대댓글 1개
2022.11.02
2022.11.02
대댓글 2개
2022.11.02
2022.11.03
2022.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