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머신러닝 연구실 박사 졸업 논문수

2022.11.07

13

6296

안녕하세요,

혹시 AI/ML 분야 박사 졸업하는데 필요한 탑 컨퍼 (Neurips, ICLR, ICML, CVPR 등등) 1저자 논문수가 어떻게 되나요? 저희 교수님께서 5개 쓰라고 하는데, 다른 랩은 어떨지 궁금해서 글 남겨봅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2.11.07

박사과정 하면서 매년 최소한 한편씩은 써야겠네요. 관련연구분야는 아니지만, 쉽지않겠어요

2022.11.07

아는 사람도 1저자 3편, 공저자 2편 해서 5편이었는데 거기도 만만치 않게 빡세네요
청승맞은 밀턴 프리드먼*

2022.11.07

제 지도교수 왈: oral 퀄러티 논문 1저자로 3편이면 세계 어디서든 박사과정으로서는 최상의 실적 (참고로 제 지도교수도 박사 때 총 논문 편수는 5편이 넘지만 oral은 1편밖에 못썼음)

2022.11.07

연구실마다 다르던데 적게는 최소 1편 , 많게는 3편 까지도 봤습니다. (+ 학위 논문 작성 가능 여부)
언짢은 피에르 페르마*

2022.11.07

한국은 1편에서 2편이 제일 많은것 같던ㄷ요? 빡센 비젼랩이 3편 정도인건 봤고... 5편은 빡빡하긴 하네요. K 비젼랩 중 하나가 5편이란 얘기를 듣긴했는데, 사실여부는 모르겠네요? 미국은 학교, 과, 교수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3편정도? 얘기하는거 같아요. 야기들어보면 영국이나 호주쪽 박사분들 얘기들어보면 대부분 2편 생각하시던거 같고. 물론 매우 주관적이고 극소수의 sample에서 관측한 결과니 다를수도 있습니다..

대댓글 2개

2022.11.07

미국 박사 유학생인데 여기는 보통은 그런거 없어요. 교수님도 그냥 알아서 때되면 가라고 하심
언짢은 피에르 페르마*

2022.11.07

저도 미국 유학중이에요. 저희도 교수님은 딱히 신경안쓰시는데, 학과에서 풀페이퍼 3편 이상이라고 정해놨어요. 말그대로 과바이과 학교바이학교 같네요.

2022.11.07

교수하려면 5편

2022.11.07

확실히 머신러닝 쪽이 과열이 되긴 했군여... 시스템 쪽은 탑 학회 2개나 탑 저널 3개만 쓰면 졸업이 아니라 교수가 될 텐디..

대댓글 1개

2022.11.07

과열보다는 그냥 페이스가 빠른거죠. 시스템에 비해 학문 자체의 개선 여지도 훨씬 많기도 하고요
오만한 알렉산더 플레밍*

2022.11.07

내생각엔 5개가 최소라면 좀 과하네요. 뭐 능력이 되면 좋겠지만. 카이스트 탑 랩이라도 최소 논문수는 3개정도가 적당하지 않을까요? 뭐 교수 맘이지만.

2022.11.08

비전랩일 경우 3~4편정도 많이 봤고, 이론기반인 경우(ex. 강화학습)는 1~2편인거 같습니다
아이러니한게 AI학회가 과열되다보니 리뷰어분들 중에서 논문의 이론을 이해하지 못한 경우도 많고, 심지어 위에 언급한 탑티어 학회임에도 이론적으로 틀린 경우에도 accept된 것도 있습니다.
분야마다 들어가는 시간의 양이 다르다보니 5편은 천차만별이에요

2022.11.13

학칙 찾아서 졸업 요건 확인하세요~ 1저자로 10점 이상 1개, 그 이하 2개일 듯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