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의대에서 인공지능 대학원 진학

속편한 시몬 드 보부아르*

2022.11.12

12

6867

현재 인서울 의대 예과2학년 학생입니다..
과학고 다닐때 서울대 공대와 의대를 붙었는데, 부모님의 강제적인(?) 압박으로 의대로 진학했습니다.
어렸을때부터 bioinformatics 쪽에 꿈이 있었고, 이쪽으로 고등학교때도 프로젝트를 많이 준비했는데 공대에 진학하지 못한게 아쉬움이 너무 큽니다.
부모님께도 자퇴 후 공대 입학 관련해서도 말씀드렸지만 절대 반대하셔서 타협점으로 의사 면허 취득후 공대 대학원에 진학하기로 하였습니다.

1. 아직 나이가 어리기도 해서, 대학원에 잘 모르는데 지금부터 준비해야하는게 무엇이 있을까요?

2. 예과 동안에 학부 컴공 수업을 따로 청강해서 최대한 듣고 있긴 한데, 본과로 진학하면 이제 그럴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따로 어떤것을 공부하면 좋을까요? (현재 이산수학, 컴구, 자료구조 쪽만 수업을 들었습니다)

3. 인공지능 대학원을 가려면 학점을 어느정도까지는 높아야 할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2.11.12

반갑습니다. 아시겟지만 bioinformatics 아니면 의공학 쪽으로 md들 많이 옵니다. 군문제 해결 하시는 분들도 많구요.
애매한게 bioinformatics에서 ai를 많이 쓰지만 안쓰는 분야도 아주 많습니다. 굳이 ai학과를 안가도 되고 컴공으로 가도 상관 없을겁니다. ai쪽은 ai끼리의 경쟁이고 bioinfor쪽 끼리 경쟁이고 소수의 사람들은 두 분야에 저널이나 학회발표를 합니다.
1.
영어,통계,프로그래밍,알고리즘,ml,ai 를 알고 오면 좋습니다. 오면 어짜피 공부해야 합니다.
2. 과목으로 한다면 선대? 시스템소프트웨어?
3. 굳이 인공지능으로 안가도 될거 같습니다. 옆에서 보면 딱히 좋은점 없습니다. 수업도 전컴이랑 공동으로 열리고 bioinfor 쪽은 생명 통계 컴공 ai에 있고 연구실 마다 컨셉이 많이 다릅니다.
-추가적으로 컨택해서 인턴 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이쪽 분야가 그렇게 처음부터 하고 싶어서 둘다 공부 한사람이 적어서 잘 컨택하면 어디든 가실수 있을 겁니다.

대댓글 3개

속편한 시몬 드 보부아르작성자*

2022.11.12

답변감사합니다.
bininfor쪽을 하려면 컴공 대학원과 의과학 대학원 중 어느곳이 더 좋을까요? 연구실 찾아보니까 컴공, 의과학쪽 둘다 bioinfor쪽을 하는 연구실이 있더라고요.

2022.11.12

저희 분야가 흔치 않은데 반갑네요 개인적으로든 익명으로든 추가적인 질문 있으시면 답해드리겠습니다

2022.11.12

수업도 다르고, 교수님도 의과학은 md phd이시고 다른 점이 꽤 많을 거 같습니다. 주관 적으로는 저라면 컴공쪽 갈거 같습니다. 찾아보시면 장단점이 있을거에요 bric이런곳에

2022.11.12

대단하시네영
화난 하인리히 헤르츠*

2022.11.12

이런 분들 생각보다 엄청 많네요 여기서도 하이브레인에서도 최소 세 번 이상씩 비슷한 글 봣는데

2022.11.12

안녕하세요 충남의대 미래의학 동아리 COMET 회장 의예2 김건영입니다. 우리 동아리에서는 인공지능, 유전체 분석 등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 모여 스터디를 진행하거나,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학생들은 겪고 있는 애로사항을 서로 공유하고 있습니다. 현재 동아리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은 20명 가량으로, 이제 막 파이썬 기초를 배우는 학생부터 의공학교실 교수님과 컨택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학생까지 그 수준이 다양합니다. 같은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의학도로서 서로 연락을 주고받으며 정보를 공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 카카오톡 아이디는 poqwpo9512 이니, 관심이 생기신다면 부담 없이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스탠포드 대학의 강의인 CS231n을 활용한 동아리 내부 스터디에서 제가 발표를 맡아 진행한 영상 링크를 올려드립니다.
https://youtu.be/17syB8p7u3Y

2022.11.13

Bioinformatics 쪽으로 관심이 있으시다 했는데, 그 또한 순수 기초/응용 측면에서 다양해요. 만약 응용 (현존하는 bioinfor tool로 새로운 의학적 지식을 만들어내는)을 하고자 한다면, 의사만이 할 수 있는 시도가 많습니다. 본과 진입해서 겁나 공부하다 보면 생각도 많이 달라지고, 새로운 길이 보일 수도 있습니다. 어차피 본과 가면 사이드로 공부한다 해도 거의 못 합니다. 조급하더라도 참을성 가지고 일단 본업하면서 길을 구상해보길 바래요

2022.11.17

인생선배입장에서 말씀드리자면 이쪽은 의사가 신입니다
즉 레지 인턴 다 끝내시고 그 후에 하고 싶으신것을 강추합니다. 바이오를 하시던 그 무엇을 하시던 전공의 끝내시고 하시길 s대 s병원 등 많은 의사들과 일해본 저 라면 전 전문의 면허따고 하겠습니다
중간에 관심은 관심으로만 끝내시고 전자돌이 컴돌이 그 모든 다른 직군은 그게 옳은 결과라도 전공의가 아닌데하면 그결과는 아닌걸로 의사가 잘못말을 했더라도 그증명은 타직군이 옳다는것을 증명해야합니다. 의공박사 받아봐야 전공의와 비빌수 없습니다

2022.11.17

두번째로는 어짜피 전공의 입장에서는 저 모든짓? 들이 결과를 위한 하나의 툴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그 툴이 바뀝니다
그때가서 그 툴을 매우잘쓰는 사람과 만나 결과를 보여달라고 하면 됩니다
툴어 집착하실 필요없는 일이고 제가 보기엔 본질 전공의를 최종까지 가지고 가시길 바랍니다

2024.01.01

Bioinfo의 메인은

Bio지 info가 아닙니다

Md자격딴후 info겸비하는게 훨씬 유리함

2025.07.23

빨리 의대 졸업하셔서 돈이나 땡기세요..
시간지나고 나이들면 철들거라 믿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