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산업공학은 생각외로 대단한 학문이군요

용감한 리처드 파인만*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2.11.26

10

8280

문돌이 대학원생으로써 쟤는 왜 공대지 싶었는데

이번에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을 보면서 왜 러시아가 빌빌대는지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우수한 제품도 좋지만, 그 제품들의 불량을 낮추는 것도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군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2.11.26

맞습니다! 의외로 간과하기 쉬운 부분인데 공업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은 우수한 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만으로는 성립하지 않습니다. 제품을 얼마나 많이, 얼마나 빠르게, 물적, 인적 자원 사용을 얼마나 효율적인지, 그리고 불량품이 적게 나와 얼마나 신뢰 가능한지 등이 종합적으로 평가되어야 합니다.

대댓글 1개

용감한 리처드 파인만작성자*

2022.11.26

A급 1개 C급을 99개 만드는 것보다 100개의 B급을 만드는 것이 좋다는 것을 배웁니다

2022.11.26

문돌이대학원생이 뭐길래 쟤들이 왜 공대지 같은 생각을하셨는지 ㅎㅎ 산공도 세부분야마다 다르지만 생각보다 수학 많이씁니다

대댓글 1개

용감한 리처드 파인만작성자*

2022.11.26

상경쪽인데 저희랑 같이 수업을 많이 듣길래....ㅎㅎ
똑똑한 버트런드 러셀*

2022.11.26

입학후 전공선택 가능할 경우에는 대학때 연애도 하고 대학생활도 좀 더 즐겨보고 좀 편하게 살고 싶은 애들이 산공 많이 감.

대댓글 1개

2022.11.26

산공 자체가 좋아서 산공으로 가는 사람도 많음 일반화 ㄴ

2022.11.26

전통적인 품질관리 측면에서는 괜찮은데... 딥러닝쪽은 아직까지 컴공이 압도하고 있는게 현실...

대댓글 1개

건강한 마리 퀴리*

2022.11.27

애초에 인공지능이 컴퓨더과학, 통계학의 세부분야에서 시작된 학문이니 딥러닝쪽은 당연히 컴공이 압도하죠... 올바른 비교는 아닌것 같네요.

같은 맥락에서 아직까지가 아니라 앞으로도 딥러닝 분야에서 산공이 컴공을 앞서서 학계를 주도할 가능성은 희박할 것 같네요. 산공은 딥러닝 보단 데이터 마이닝 쪽에서 전통적인 강자죠.

2022.11.27

결국 산업공학과가 다 해먹을 거에요• 산업과 관련된, 것이라면 분야를 구분짓지 않고 도입하거든요.

2022.11.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통계학 + cs + 기타잡학 = 산업공학
어디에도 있지만 어디에도 없는 그런 학문
산공(학부)만 배워서는 아무것도 아니지만
산공을 베이스로 특화시키면 좋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