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기업 취업이나 교수 임용은 가능한가요? 물론 미박이 세계물에서 놀려고 받는거지만 일본대학들 교수진 보니까 미박출신 거의 없더라구요... 반대로 한국은 90프로가 미박이지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2.12.01
굳이왜일본을.? 미국이좋을텐데요
2022.12.01
굳이왜일본을.? 미국이좋을텐데요
2022.12.01
일본이 잘하는 분야들에서 학회열리는곳에 몇번 참여하면서 느낀건 일본 학계는 상당히 폐쇄적인것 같다는 느낌이 강했습니다. 일본에서 생활을 한것이 아니기에, 제 의견이 정확하다고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유학을 고집하기보다는 본인나라에서 학위받는걸 선호하는것도 큰것같습니다.
이게 장점일수도 있지만, 저희분야에서는 어떻게보면 상당히 시대흐름에 뒤쳐지는 연구를 할때도 있는것같았습니다. 저희분야도 옛날.. 하다못해 제가 학위받던시절만 해도 일본이 잘하던 분야였지만, 최근에는 사실 크게 경쟁상대로 느끼지도 않습니다.. 물론 기어와 같은 제조 기술쪽을 보면 대단하다고 느끼는것들도 많지만요.
이런 느낌으로 볼때는.. 일본에서 자리잡으실 생각이면, 미국 탑대학이 아닌이상 일본에서 학위받는게 많이 유리해보이긴 했습니다.
대댓글 4개
2022.12.02
그리고 조금 첨언드리자면 최근에 우리나라도 보면 국박임용 비율이 상당히 높아지고있기는 합니다. 저희랩은.. spk내에서도 유독 학계쪽으로 많이빠지긴했지만, 박사학위자중 20명이상이 교수로 임용됐습니다. spk에 계신분들도 꽤있으시고요..
저는 이게 국가적으로 상당히 긍정적인 신호라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국내대학 나와도 실력이 충분하다는것을 입증하는거니까요.
2022.12.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는 조금 다른 의견입니다. 미박들 중 상당수가 미국에 눌러 앉아요. 한국은 인구절벽으로 문 닫는 학교가 늘어나는데 돌아오게 되면 리스크가 크죠. 미국 테뉴어는 한국과 달리 정년없는 종신직이기도 하고.. 그 빈자리들을 국박들이 채워서 국박출신이 상대적으로 많아 보이는 것 같습니다.
2022.12.02
저 현재 CS TOP10 에서 박사 중인데..윗분 말이 진짜 맞아요
주변에 보면 한국을 들어가야하는 이유가 특별히 없는 한
한국 교수하겠다는 사람 없어요 진짜..
여기서 대우받고 취직해서 10년만 일해도
한국교수 해서 정년까지 버는 수익 그 이상 버는게
요즘 실정인지라.. 저도 그래서 고민이 많네요
진짜 연구가 좋은거면 미국에서 교수하지 굳이 한국갈
이유가 있나 싶기도 하고..
2022.12.02
진짜 농담이 아니고 시켜줘도 안한다는 형들 많이 봤어요
연봉 80프로 삭감당하면서 왜 개고생하러 가냐고
2022.12.02
포닥할때 같이있던 도쿄대 출신 교수가 자기 일본 돌아가고싶은데 자긴 일본 시스템에서 한번 빠져나와서 돌아가기 너무힘들다고.... (여러번 일본대학 면접깄는데 별의별 이상한 공격당하고 자기보다 훨씬 실적 떨어지는 경쟁자들 임용된다고...) 근데 너는 일본대학 가고싶으면 외국인 to 따로있어서 훨씬 쉬울거라고.. 하던 기억이 나네요.
2022.12.02
외국인 + 미국박사면 오히려 외국 TO가 있어서 오히려 좀 쉬울수도?? 저희분야 구제국대에 독일+일본혼혈, 독일 박사 출신이 임용되는걸 본적이 있긴합니다.
대댓글 7개
2022.12.02
다만 교수 말고 일본 대기업 수석연구원도 문뚫기 유리해지나요? 저희 과선배 두명은 버클리,uiuc 박사로 삼성 수석연구원 들어갔더라구요..
울적한 소크라테스*
2022.12.02
냉정하게 말해서 버클리 박사가 삼전 갔으면 잘 안풀린겁니다..
2022.12.02
안풀렸다기엔... 거기서 연봉 3억 받고 더 높은 사람까지 승진할수도 있는데....
울적한 소크라테스*
2022.12.02
ㄴ 그건 모르는거죠. 이론상 그냥 대졸도 상무 전무 달면 3억 가능한데요..
2022.12.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버클리 박사라고 3억을 줄 거 같냐 ㅋㅋㅋㅋㅋㅋ
2022.12.02
- 일본 대학은 외부 공채로 교수하는 시스템이 아니라 내부에서 승진해서 올라가는 시스템이라, 그 시스템에서 나가는 순간 일본교수 매우 어려워집니다.
- 박사가 수석으로 입사해서 임원되는 케이스 거의 없습니다. 대부분 책임으로 입사해서 입지 다지면서 올라가던가, 아예 한방에 임원으로 들어가던가 하지, 수석은 바로 다음 단계가 임원인데, 신규 수석으로 들어가면 사내 정치력이 제로인데 직급은 무지하게 높은거라.... 회사 안와보면 뭔소린지 잘 모를겁니다.
- 삼성 촉탁 수석가면 연봉 3억 받을 수 있습니다. 베네핏도 일반 수석보다 훨씬 좋습니다. 문제는 그 연봉 계속 버틸 수 있느냐지. (촉탁은 계약직이라 계약기간 끝나면 임원되던가 나가던가 연봉 까이던가.)
- 글쓴이가 얘기하는게 촉탁 수석인진 모르겠지만, 버클리 박사가 삼성 촉탁 수석 오퍼 받을 정도면, 잘 안풀렸다고 할 순 없을걸요? ㅎ 촉탁 수석 오퍼 아무한테나 나가지 않습니다.
2022.12.01
2022.12.01
2022.12.01
대댓글 4개
2022.12.02
2022.12.02
2022.12.02
2022.12.02
2022.12.02
2022.12.02
대댓글 7개
2022.12.02
2022.12.02
2022.12.02
2022.12.02
2022.12.02
2022.12.02
2022.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