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MDPI 저널에 대한 논란에 질문을 던집니다.. 혹 해당 출판사 논문 중 IF가 7을 넘는 Q1 저널들도 많던데 이들도 제대로된 실적으로 인정 받을 수 없나요? 가령 예를 들어, Cancers,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Antioxidants, Cells 와 같은 저널들이요.. 해당 저널들은 피어 리뷰 프로세스도 만만치 않은것 같던데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2.12.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런게 걱정되면 굳이 mdpi에 투고안하시는게 나아요. 물론 거기에 저급의 논문만 있다는건 아닌데 사람들이 색안경 끼고 보는 저널에 굳이 낼 이유가 없죠. 저도 굳이 굳이 선입견 안가지려고는 하는데 본인분야 mdpi논문들 읽어보면 색안경 끼고 보는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IF : 2
2022.12.14
늘 나오는 이야기지만, 석사 실적으로는 훌륭하고~ 박사 졸업 후 sub 실적으로 좋음
2022.12.14
오픈억세스 계열은 당연히 if가 높은거고 self citation도 많을거고
2022.12.14
if는 분야마다 차이가 큽니다. 어떤분야에서는 5-7이 탑인곳도, 어떤분야에서는 5-7이면 많이낮은 경우도 있죠. 첨언드리면 웬만큼 잘굴러가는 연구실에서는 Q1저널이 아닌곳에 투고할일 자체가 거의 없습니다.. 찾아보시면 mdpi가 아니라해도 엥? 할만큼 if높은 저널들 꽤많습니다. 최근 처음듣는데 중국애들이 지들끼리 만들어서 뻥튀기시킨 if높은 저널들도 있고요.
대댓글 1개
2022.12.14
마지막으로 윗분들 말대로 서브실적으로는 훌륭합니다. 이거 똑같은 질문에 매번 똑같은 답변다는데도 도로마무 처럼 항상 mdpi저널내면 큰일나나요? 같은 질문 올라오네요.. 좀 예전글들 찾아보세요
순수한 프리모 레비*
2022.12.14
IJMS랑 Molecules는 바이오 하는 교수들 엄청 많이 냄. 내는 이유는 같은 데이터로 다른곳 내면 IF 3~4 정도에 밖에 못내는데 여긴 IF가 5~6정도로 높기 때문. 그리고 reject이 거의 안됨. 그냥 실험데이터 어느정도 있으면 거의 accept됨. 비슷한 IF인 JMB나 JBC가 엄청 reject때리는거랑 비교됨. 그래서 어차피 그냥저냥한 곳에 나갈 데이터는 IJMS에 많이 냄. 리뷰가 빡세다고하니 답글하자면 나는 박사 올해 졸업했는데 IJMS 등 MDPI 나한테 리뷰요청 매주 옴. 리뷰 되게 형식적이라고 생각함. 그리고 IF높은게 진짜 저널이 좋아서 그런거냐? 아님. 리뷰페이퍼 많이 받아서 IF오르는거고 MDPI끼리 인용하는것도 만만치 않음. 중국이 끼면 IF는 엄청 오르게 되어있음. 지금 십수년이상 탑저널인 명문저널들 (Genes and development나 plos biology 등) JCR % 엄청 떨어진게 중국 관련된 저널들 때문임.
IF : 1
2022.12.14
antioxidants 했는데 리뷰어 3명에 내용도 꽤 만만찮던데요
2022.12.14
논문은 저널보다 그 논문 자체의 가치로 평가 받아야 한다면... 그 가치가 충분한 논문을 내가 주저자라면 MDPI는 차선으로, 분야 전통/탑 저널을 최우선으로 두드려 볼 것 같은데...
멍때리는 아르키메데스*
2022.12.14
찜찜하면 안내는게 맘 편합니다
그래도 내고 싶은건 억셉이 잘된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이죠
2022.12.14
정량 서류점수는 다 똑같이 평가 받음. 요즘은 mdpi 전반적으로 자리잡은 느낌이기도하고. 어짜피 박사면 일단 본인 대표논문은 누구나 아는 탑티어나 정통 저널 하나 들고 있어야 되기 때문에 대표실적만 아니면 상관없음
2022.12.14
2022.12.14
2022.12.14
2022.12.14
대댓글 1개
2022.12.14
2022.12.14
2022.12.14
2022.12.14
2022.12.14
2022.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