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생 질문있습니다. 과제 5개진행중 인건비떨어지는 정도?

2022.12.20

22

4903

현재 박사 2명, 석사과정 5명 있는 실험실에서 공부하고 있는 중에 문득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과제 예산 규모에 따라 금액이 차이가 있겠지만 위와 같은 인원에 과제 5개 정도면 월급?(인건비?)가 어느 정도 떨어져야 정상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당당한 알프레드 노벨*

2022.12.20

과제 금액에 따라 다르겠지만 학생 7명에 과제 5개면 많은 편임. 참여율 100%로 다 채워서 줄 수 있을 거 같은데.

대댓글 3개

2022.12.20

달에 50받아요

2022.12.20

정정 합니다 60받아요 오고나서 한두달간 50받고 10올라갔네요

2022.12.20

Run......
징징대는 카를 마르크스

IF : 1

2022.12.20

단순히 과제 갯수만 살펴보기보다 예산규모나 해당 분야가 재료비가 많이 드는 쪽인지도 살펴보는게 좋을듯 합니다.
나는 과제를 이렇게나 하고있는데 인건비가 적어! 라는 생각이라면 다른곳으로 가세요

대댓글 2개

2022.12.20

과제 관련 업무도 대학원생들이 나눠서 하고 있는데 실험에 필요한 재료비를 저희가 아무리 계산해봐도 남는 돈 들이 다 어디로 가는지 모르겠습니다.
과제 5개 전부 모든 학생들 참여 중 이고 실적도 내고있는 상황이에요.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징징대는 카를 마르크스

IF : 1

2022.12.20

인건비, 재료비, 연구활동비 등 연구비 산정 및 분배 기준은 지도교수님의 재량이라 학생들이 이게 맞니 저게 맞니 판단하는건.... 올바른 방법이라고 보기는 어렵네요. 연구비를 하나하나 따져서 저희가 벌어들이는게 얼마인데 겨우 50을 주십니까?라고 따질 계획이신가요?
각자의 상황이 있다고 보는데... 하는 일에 비해서 인건비가 적다고 교수님께 올려달라고 하시거나 자신이 떠나는게 맞다고 봅니다.

2022.12.20

윗분들 말씀대로 과제 갯수만으론 알 수 없고 과제 규모도 따져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규모가 작은 과제 여러개 하는 랩 보단 대형 과제가 있는 랩이 인건비 면에서 넉넉한 편인거 같았어요.

대댓글 1개

2022.12.20

규모가 억단위면 큰거라고 생각합니다. 몇개 과제가 5천~ 이정도고 나머지는 .. 그 이상입니다.
규모가 작은과제 1개 규모가 큰과제 4 개입니다. 모든 대학원생 급여 60에 과제서류 담당하는 원생은 80인가 받습니다.

2022.12.20

인건비라는게 등록금 지원하는 것 빼고 남는게 50만원인가요? 50만원 받는 걸로 등록금도 내야 하는건가요?

대댓글 1개

2022.12.21

등록금 지원안받았습니다 ㅠ

2022.12.20

윗분들말대로 과제개수는 안중요하고, 전체 과제규모가 더 중요합니다.
과제규모중 대충 학생인건비는 30%정도 잡으면 많이잡는겁니다. 즉 1억과제면 학생인건비에 3천만원이하로 잡아야되는거죠.
그 외에도 랩 세팅때문에 장비비에 투자많이해야할때도있고, 재료비가 많이 필요할때도있으니 이 비율은 상황에따라 달라지겠죠.
그리고 윗분들말대로 등록금 포함/비포함 등의 유무도 중요해보입니다. 특정과제에서는 등록금을 과제계정에서 바로 내줄수있는곳이 있는데, 이경우 본인은 사실상 60만원+(등록금/6달)을 받고있는거라고 보시면되고요.

대댓글 2개

2022.12.20

등록금이 없거나 미포함이라고 생각할때, 박사가 100, 석사가 60받는다고 하면 대충 연간 학생인건비만 6천이네요. 이정도면 최소한 과제총합비용이 2억이상돼야할겁니다.
그마저도 등록금을 따로 주는게 포함된다고하면(대충 사립대라서 월100정도라고 하면), 본인이 받는금액은 월 160만원이고, 연구비입장에서는 학생인건비로 쓰는게 1.5억가량이네요. 그럼 최소한 5억이상의 펀딩이 있어야되는거고요.

2022.12.20

아이디처럼 명석하시네요.
아주 여러 번 이야기 나오는데 인건비 이야기할땐 등록금 지원을 받는지도 명확하게 명시합시다.
등록금 + 월 60~80이면 평균보다는 많이 받는 편이고, 등록금 안주고 그정도면 적은 편이라서 등록금 지원 여부를 알아야 판단을 할 수 있음.

2022.12.21

등록금여부도 큰 영향이 있나보네요.
등록금은 못받아서 학자금대출 했습니다

2022.12.21

등록금 지원없이 그냥 60이면 분야 막론하고 매우 적은듯.
근데 지원이 의무사항은 아니고 연구책임자 재량이라 줬다뺐는 거 아니면 교수는 원칙적으로는 잘못없음.
그냥 그 랩이 그런 랩인거고 런할지 버텨서 졸업할지는 학생 몫

2022.12.21

제가 랩사정을 정확히 모르지만, 전체 과제규모를 봐야 알것같네요.
박사과정은 많이 주고 석사는 적게주는 곳인지, 인건비에서 행정선생님의 비용 등이 지출되는지 등등에요.
참고로 오버헤드 규정도 있고, 보통학교의 경우 교수인건비를 많이 잡아도 교수한테 이득이 안되고 학교산단으로 다 가는경우도 있어서, 교수 참여율(인건비)도 규정에 맞춰서 최소로 잡았을겁니다.
위에서 말씀드린것처럼, 현재 장비/재료비가 많이 필요하거나, 해외학회등을 많이나가서 국내외여비를 많이 잡거나 등등 상황을 봐야 지금상황이 비정상적인지 정상적인지 알것같네요.
너그러운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2.12.22

학생이 과제 두개 이상을 학생이 실제로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 됩니다. 무슨 초인이라고 다른 주제를 2개이상 학생이 할수 있을 까요? 비슷한 주제 자랑하는 것이 아니면. 따라서 한과제당 참여율 50프로로 보고 두개 면 100프로로 보면. 이번에 오른 기준으로는 석사생은 200에서 250만원 ㅏ박사생은 250에서 300정도 받는게 맞읍니다. 그보다 턱없이 적다면 교수가 문제가 있는 사람이거나. 과제가 매우 특이한 상황이겠죠.

대댓글 3개

2022.12.24

석사과정학생 200-250. ?????
정말이예요?
너그러운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2.12.24

학부 130만원 석사생 220만원 박사생 300만원이 내년부터 시행되는 정부연구사업 100프러 기준입니다.

2023.01.16

기준단가 오르는건 맞는데, 과제비는 올리지 않았죠.
사실상 정부에서 생색내기 하는 효과밖에 없다고 봅니다.
최저임금 올려서 알바 짤리는거랑 다를게 없는 처사인데,
최저임금은 법적 효력이라도 있지만 이건 그것도 없어서 교수가 지키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과제 1개하면 50%씩 참여해야한다는건 어디서 나온 논리인지..한 과제에서 인건비가 한 학생한테만 지급되는게 아닌데, 이상한 괴변이네요.

2022.12.24

법적으로 인건비 제한으로 5개를 하던 8개를 하던 상관없이 참여율 100프로 기준으로 과제벼로 참여율 나누기 때문에 과제수는 의미없고 약 20년전 당시 석사 월 80, 박사 월 120인가가 맥스였어요.
최근 최저시급보다 못하다 등 논란으로 상향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결국 과제비에서 원생들 참여율 줄이고 자재비 늘리는 조정 등으로 가능한 부분들이라 즉 아무리 상향되도 교수가 얼마나 챙겨서 주느냐에요. 교수들도 다 자기들 몫 따져서 큰 기대는 마세요 더러워도 참고 학위 따야하는 을의 입장은 세월이 아무리 지나도 별 수 없어요.
웃프지만 옆 랩에서는 교수 차 세차해주고 교수 자식들 공짜로 과외까지 해준 사례도 있고 석박 통합과정에 못버티고 2년 넘어 그만두고 학사로 취직한 사례도 있어요
저의 경우 석사 장학금 80프로 받고 의무로 추가지원없이 조교했고 교수한테 받은거라곤 한학기 100이 전부로 딱 나머지 20프로 되는 정도였죠. 월 17만원인 샘이였죠 ㅋㅋ
그냥 학비 커버 외에 용돈 수준만 되도 잘 받는거에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