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명이서 리뷰 논문을 작성하면서 3명이 공동1저자로 들어가는 걸로 합의 보고 각자 파트 나눠서 작성하여 2022년 초에 출판되었습니다.
당연히 공동1저자로 제출되었을 거라고 생각하고 잊고 있다가 실적 제출 때문에 제 논문이라고 제출하니 공동1저자 표기가 없다고, 그냥 공동저자라고 하네요. 혹시나 하는 마음에 아무리 찾아봐도 "equally" contributed라는 말은 없고 그냥 authors were contributed라고만 적혀있습니다.
1저자가 장난질을 친 건지, 몰랐던 건지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그 사람은 같은 저널에 공동1저자 중 1저자로 논문을 출판한 적이 있어서 공동1저자를 어떻게 표기해야 하는지 분명히 알았을 겁니다.
그리고 더 화나는 건 사건이 터진지 시간이 꽤 지났는데도 그 1저자한테는 따로 연락도 안 오네요.
논문 출판 후 저자 변경은 안 되겠죠? 오랫동안 고생하면서 작성한 논문이 한편 날아가서 아주 씁쓸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상처받은 앨런 튜링*
2023.01.20
어떤 방법이 있을지 에디터한테 상황 설명하고 연락해보세용.
얌전한 척척박사*
2023.01.20
1저자가 계속 연락 없을시 저널에 게재취소 요청하고 사유로 1저자가 공동저자를 속이고 협의없이 단독 1저자로 기재하외 연구성과물을 갈취했고 이는 연구윤리를 위반하는 심각한 부정행위이다 라고 레터 쓰세요. 그리고 관련해서 학교 대학원위원회나 연구윤리위원회에 고지하세요. (물론 공동 1저자로 제출하기로 합의했다는 증거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추가로, 이건 좀 극단적인 방법인데. 만약 국내소재 유명대학에 재학중이시면, 관련해서 연구윤리위반 행위로 언론사 고발을 준비하세요. 최근에 모연예인, 청와대 그분, 모대학유명학회 표절사건 등으로 언론사에서 논문표절, 대학원생 착취, 연구비 사유화 및 꼼수식 전용 등 국내학계의 연구 부정행위 보도에 상당히 협조적입니다. Authorship 문제도 흥미롭게 들어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1.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기자들 그렇게 한가롭지 않아요. 코웃음 칠거에요. 경험자가.......
2023.01.20
ㅎㅎ 원래 자기 밥그릇은 자기가 챙긴다고. 게재 되고 인터넷에서 공동 1저자 확인 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저자들하고 커뮤니케이션 해야되요. 어떻게 보면 알아서 잘 되겠지 손 놓고 있다가 얻은 결과라고 보이기도 하네요. 원래 저자 문제가 연구자들 사이에서 제일 치열한 소리없는 아우성 아닌가요?ㅎㅎ
무서운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3.01.20
최종본 만들었을때 확인 안하셨나요? 최종본때 공동1저자인지 체크하고 제출본도 공동1저자인지 확인을 하고 문제있으면 바로 문제제기를 해야죠. 자기 밥그릇은 자기가 챙겨야됩니다. 너무 안일하게 있었던걸로 보입니다. 이제와서 문제제기해도 저자 바꾸는건 불가능할것으로 보입니다.
2023.01.20
1차적으로 일저자가 잘못한 건 맞지만, 저자가 젤 중요한데 2022년 초에 출판되고 지금까지 1년 동안 그렇게 나온 지도 모르고 있다가 지금 발견하는 정도의 상황이면... 윗 댓글들이 다 맞습니다. 저자가 별로 중요하지 않은 상황인 것 같은데 그정도면 그냥 잊어버리세요.
2023.01.20
지금까지 몰랐던게 더 이상한데...최종 제출전에 proof도 하고 몇번이나 확인할 수...
2023.01.20
윗분들 말씀이 맞습니다. 원고 투고할 시점부터 revision까지 여러 질문이 들어오고, 수정 검토도 여러번할 텐데 지금까지 모르셨다고요.......? 그러면 1저자이신데 그 작업들을 안하신건가요? 본인 이름 부분은 당연히 여러번 볼 수 밖에 없는데 이해가 안가네요. 다른 1저자가 정말 고의성을 갖은 것이 아니라면, 글쓴이분 책임이라고 생각됩니다.
대댓글 1개
2023.01.20
저도 이 의견에 동의합니다. 고생한 것은 이해하지만 여태까지 몰랐던 것이면 revision 과정에서 전혀 관여하지 않았고 온 줄도 몰랐다면 공동 제1저자 자격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널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주저자 여부 상관없이 리비전 관련 메일이 올텐데요. 결국 나는 A 할 것 다 했으니 공동제1저자 줘 라고 밖에 안보입니다. 논문 쓰는 당시의 기여도 중요하지만 revision 단계의 기여도도 중요합니다. 어떻게 보면 reject 될꺼 제1저자가 계속 revision 해서 accept 된거 아닌가요? 그럼 좋은 것일텐데요. 없어질뻔한 실적을 그래도 revision 과정을 통해 생긴 것이니깐요. 물론 제1저자가 아니지만.
후회하는 르네 데카르트*
2023.01.20
어케하면 자기가 1저자인지 아닌지 확인도 안하고 투고를 할 수가 있죠..
2023.01.21
A.A and B.B were contributed. 이러면 문장자체가 존재이유가 없는데 뭐지
IF : 1
2023.01.21
사기 당한놈이 병신이 아니라 사기 친 놈이 개새끼인 겁니다.
순진하고 사람 믿은게 죄인가.
2023.01.21
보통 authores are equally contributed 일텐데 eqally 를 의도적이든 아니든 뺀것같긴하네요. 이건 교신저자가 요청하면 수정해줄수도있어요. 저같은경우에는 교신저자가 여러명인데 빠져서 요청했더니 수정본으로 다시출판?됬더라구요
2023.01.22
이런 양아치들이 아직 있군요.. 우선 1저자가 정말 몰랐는지 확인해보시고, 알고 그런거면 저널을 통해 retraction 까지 이의제기 가능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 전에 교수랑 저자들이 철회 해달라 연락오겠죠) 우선, 실수인지 고의인지 확인 먼저 해보는게 맞을꺼 같네요. 1저자 냈었다고 알고있었을 거란건 성급한 판단일수도..
2023.01.22
근데 공동1저자급 기여를 했는데 이런일이 발생한걸 1년동안 모르셨던게 어떻게 가능했는지 궁금하긴 합니다
2023.01.23
리뷰논문은 proof도 안오나요? 저도 논문 뺏겨봐서 아는데 그거 진짜 화남
대댓글 1개
2023.01.23
리뷰도 프루프 나옵니다
조급한 아담 스미스*
2023.01.25
글쓴이가 한심한 케이스. 투고 - 리뷰 - 프루프 체크 최소 세번 이상을 확인하고 수정 가능한 단계가 있었음. 빠르게 간다고 해도 1~2 개월 정도의 시간인데 그동안 한번도 제대로 확인을 안했다? 본인 업보라고 생각합니다.
2023.01.20
2023.01.20
대댓글 1개
2023.01.22
2023.01.20
2023.01.20
2023.01.20
2023.01.20
2023.01.20
대댓글 1개
2023.01.20
2023.01.20
2023.01.21
2023.01.21
2023.01.21
2023.01.22
2023.01.22
2023.01.23
대댓글 1개
2023.01.23
2023.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