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공대 석사를 하는 이유

2023.01.20

11

23057

컴퓨터 공학 전공으로 학사 졸업 예정입니다.
나이 지긋하신 교수님들 또는 학교 행정부 직원분들 말씀 들어보면 공대는 대학원 가는 게 좋다고들 말씀하시던데요.
학부 졸업이랑 비교했을 때 공대 석사까지 해서 좋은 점이 무엇일지 궁금합니다.
R&D 직무에 지원할 수 있다는 것 말고도 다른 메리트가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IF : 2

2023.01.20

공대 석사는 대부분 회사에서 경력 2년으로 쳐주는 데다가, 최종 학력이 학사가 아니라 석사가 됩니다.

대기업으로 갈수록 박사가 넘쳐나는 요즘 세상에 학사인 것보다 석사인 것이 그래도 회사에서 살아남기 좋습니다 (제 주변에서 그래서 대기업 다니다가 학위가 필요하다고 느껴 대학원으로 유턴한 분들 꽤 계십니다).

그리고 2년이란 기간 동안 내가 박사와 맞는 사람인지를 테스트해보는 기간이 될 수 있습니다.

취업 문이 좁아질 수 있다고 하는 박사와 달리 석사는 취업 문이 좁아지지도 않습니다.

2023.01.20

공대 석사는 부담없이 추천할 수 있고 rnd 생각있으면 왠만하면 하는 게 좋음.

특히 우리 나라 사람들은 잘 모르는 게,
우리 나라는 상위권 대학원 가면 대부분 등록금은 충당할 만큼 이상은 월급이 나오는데 미국 대학은 석사는 거의 월급 안 나오고 돈 내고 다녀야 함.

즉, 석사를 하면서 경제적 손실이 크지 않고, 이는 우리 나라에 있는 몇 안 되는 장점 중 하나임.

2023.01.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우리나라는 석사는 필수 분위기입니다. 다만 석사도 걸려들면 다 뽑아먹기에..변수발생합니다. 대학교 장사로만 이제 잘 안되니까 석사장사로 되면서.. 필수처럼 몰고 갈겁니다. 석사도 잘못 기어들어가면 죽을 고생만 하다가 겨우 졸업할 수도 있죠
재빠른 마이클 패러데이*

2023.01.22

그냥 개발자 하려면 궂이 석사안해도 되고 뭔가 전문성있는 분야를 하려면 석사를 하여 채계적으로 공부를 하는게 낫습니다. 회사에서는 그런거 공부할 시간을 안주고 응용만 바로 하게 시키죠

2023.01.22

R&D 하실려면 석사는 필수입니다.

2023.01.22

그냥 2년 학부보다 편하게 놀고 경력인정받을수 있어서 개꿀임

대댓글 1개

2023.09.27

뭐 어느 대학원이냐, PI냐 에 따라 다르겠죠..
저는 진짜 죽을 맛입니다... ㅅㅂ

2023.01.22

어차피 그냥 대기업 갈거면 바로 가서 2년 연봉 받으면서 경력 쌓는게 나은데.. 여기는 필수인 것처럼 말씀하시는 분이 많네요.
연봉도 석사 2년치 인정 받은 금액보다 학사로 들어가서 2년 평고과 받고 연봉 상승되는게 훨씬 크고요.
2년 석사 했다고 뭔가 되게 더 전문성이 있다고 보지도 않는데.. 대한민국 대기업이 석사 전공 고려해서 배치하지도 않구요.

만약 박사를 가고 싶은데 논문 실적이 필요하거나 할 경우 버퍼로는 작용하는 경우를 보긴 했으나, 만약 미국 박사를 타겟으로 한다면 석사 건너뛰고 학사 마치고 다이렉트로 가는게 제일 효율적인 루트이기도 합니다. 미국은 박사하는데에 석사가 필수가 아닌데다, 박사과정 2년이 지나서 퀄시험 또는 프릴림 시험 통과하면 석사학위 나오거든요.

그냥 지나가려다, 질문자분이 균형잡힌 답을 얻지 못하실 것 같아 몇자 남깁니다.
어차피 박사까지 할 생각 없고, 그냥 대기업 가서 개발하실 생각이시면 학사 마치고 바로 대기업 지원하시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에 달린 답변 말고 대기업 간 선배랑 친구들한테도 의견 물어보세요.
여기 김박사넷이 그렇게 다양한 경험과 생각을 가진 사람들 의견을 들을 수 있는 곳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3개

2023.01.23

제가 한국 대기업에 재직했었던 경험 및 다른 대기업에 있는 주변 친구들 경험에 비추어보면, 학부졸업 입사후 2년경력자와 석사 신규입사자는 연봉과 사내처우가 같지 않습니다. 학부졸업후 2년경력이 연봉이 더 적습니다 (하지만 그 차이는 대부분 무시할만큼 크지 않습니다).

저는 미국에서 박사를 취득하고 올해 귀국했지만, 박사후과정 포함 8년동안 한국에서 석사를 취득하지않고 다이렉트로 박사입학한 한국인 학생은 보거나 듣지 못했습니다. 미국 교수님들도 수많은 미국 학부출신들이 많은데 굳이 익숙하지 않은 한국 대학 학부출신을 뽑을 이유가 없습니다. 석사 또는 글로벌 대기업경력등이 있는 박사 입학생이 대부분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2023.01.23

미국에서 8년 넘게 계시면서 한국 학부 마치고 다이렉트로 미국 박사과정 입학한 사람을 하나도 못 보셨다니 쇼킹한데요. 제가 본 주변 케이스를 굳이 들지 않더라도 고해커스만 가봐도 그런 케이스 한해에 꽤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 대기업 어디를 말씀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아는 삼성전자의 경우엔 석사신입이랑 학사신입이랑 정말 어이 없을 정도로 차이가 안나서 석사신입들이 허탈해 할 정도였습니다.
대댓 쓰신분의 경험과 정보가 저의 경우랑 많이 다르네요.

2023.09.27

팩트만 알려드릴께요,
코스웍이 개빡센 SPK 기준으로 잡죠 뭐 그 밑 석사는 솔직히 진학 해도 큰 차이는 없다고 생각하니까요

1. 회사 들어갈 때, 즉 입사할 때 알게 모르게 큰 도움이 됐을 것입니다.
입사할때의 스펙으로 보면, 석사 안하고 그대로 학사로 지원했으면 떨어졌을 수도 있었겠지만, 석사라는 타이틀이 영향을 미친 요소는 부정할 수 없을 것입니다.

2. 부서 배치에서도 알게 모르게 영향이 있을 것이구요 R&D 직무에 배치 될 확률이 학사보다 훨씬 낫겠죠

3. 먼 미래의 승진, 뭐 이거는 사실 일머리에 따라 다르다고 하겠지만, 일단 석사를 하면서 적어도 과제도 해보고, 특허도 내보며 회사 1~2년차가 특허내고 과제 단독으로 혼자서 맡아서 진행하고 그런적은 본적이 없는 것 같은데 그차이로 인해서 경험치의 차이가 분명히 있겠죠..

4. 그럼에도 불구하고 2년이란 기회비용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생각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